충정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Cat-a-lot을 이용해 불교 신자 군주 분류에서 불교 군주 분류로 이동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구식 태그 시각 편집
1번째 줄:
{{왕족 정보
| 이름 =고려 충정왕<br><small>忠定王</small>
|본명 = <span style=font-size:90%>{{color box||고려 이름}}</span> 왕저(王㫝)
| 원래 이름 = 高麗 忠定王
----<span style=font-size:90%> {{color box||몽고 이름}}</span> 미슈간도르지(迷思監朶兒只)
| 휘=왕저(王㫝<ref>高麗史 卷三十七 世家 卷第三十七 - 忠定王 卽位年 12월</ref>)
| 출생일 = {{출생일|13381337|112|9}} {{font color|gray|(음력)}}
| 종교=[[불교]]
|출생지 =
| 섭정 = [[덕녕공주]]
|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352|3|237|13381337|112|9}} {{font color|gray|(음력)}}
| 출생일= {{출생일|1338|1|9}}
|사망지 = [[고려]] [[강화도]]
| 사망일= {{사망일과 나이|1352|3|23|1338|1|9}}
|재위 = 1349년 5월 8일 ~ 1351년 10월 6일 {{font color|gray|(음력)}}
| 재위=[[1348년]]~[[1351년]]
|능호 = [[총릉]](聰陵)
| 부왕=[[고려 충혜왕|충혜왕]]
|왕비 = 미혼
| 어머니=[[희비 윤씨]]
|부친 전임자= [[고려 충목왕충혜왕|충목왕충혜왕]]
|모친 어머니= [[희비 윤씨]]
| 후임자=[[고려 공민왕|공민왕]]
|자녀 = 없음
| 자녀 = 슬하 1남 1녀(그 중 서자 [[왕제]])
| 친인척전임자 = [[고려 공민왕|공민왕]](숙부) <br /> [[고려 충목왕|충목왕]](이복 적형) <br/> 왕숭(서손자)
| 후임자 = [[고려 공민왕|공민왕]]
| 작위=[[고려의 역대 국왕|고려의 제30대 국왕]]
|별호 = 경창부원군(慶昌府院君)
|시호 rowspan="2" |''' 충정대왕 '''<br> (忠定大王)
| 작위 = [[고려의 역대 국왕 목록|고려의 제30대 국왕]]
}}
'''충정왕'''(忠定王, [[1338년]]<ref><<고려사절요>> 충숙왕(忠肅王) 7년 무인년(1338년)에 출생하였다. 재위 3년, 수는 15세였다.</ref> [[1월 9일]](음력 1337년 [[음력 12월 9일|12월 9일]]) ~ [[1352년]] [[3월 23일]]([[음력 3월 7일]]))은 [[고려]] 제30대 [[군주|국왕]](재위: [[1348년]] ~ [[1351년]])이다. 휘는 저(胝), 첫 봉작은 경창부원군(慶昌府院君)이고,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정왕'''(忠定王)이며, 몽골 이름은 '''미슈간도르지'''({{llang|mn|{{만몽 유니코드|}}|Mishgan Dorji}}, {{한자|迷思監朶兒只|미사감타아지}})이다. 충정왕은 폐위됐기 때문에 고려 자체적으로 추숭한 시호는 없고 원나라의 시호 충정(忠定)에서 대왕(大王) 자를 붙여 '''충정대왕'''(忠定大王)이다. 외척인 윤시우와 배전 등의 발호로 정사가 문란해졌고, 왜구의 계속된 침입을 막지 못하여 숙부 [[고려 공민왕|공민왕]]의 정변으로 폐위, 유배되었으며 배소에서 독살된다. [[고려 충혜왕|충혜왕]]의 서자로, [[고려 충혜왕|충혜왕]]과 고려 출신 [[희비 윤씨]]의 아들이다.
 
'''충정왕'''(忠定王, [[1338년]] [[1월 9일]]([[1337년]] [[음력 12월 9일]]) ~ [[1352년]] [[3월 23일]]([[음력 3월 7일]]))은 [[고려]]의 제30대 [[고려의 국왕 목록|국왕]](재위: [[1349년]] ~ [[1351년]])이다.
[[1348년]]에서 [[1351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적모(嫡母) [[덕녕공주]](德寧公主)가 [[섭정]]을 하였다. 만 14세에 요절하였지만 그에게는 서자 1명과 서녀 1명이 있었다.
== 가계 개요==
휘는 '''저'''(胝), 작호는 '''경창부원군'''(慶昌府院君)이고,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정'''(忠定)이며, 몽골 이름은 '''미슈간도르지'''(迷思監朶兒只)이다. 폐위되었으므로 고려 내에서 자체적으로 추숭한 존호나 시호는 없고 원나라에서 '충정(忠定)'의 시호를 내려 ''''충정대왕'''(忠定大王)'으로 일컫는다.
 
[[고려 충혜왕|충혜왕]]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희비 윤씨]]이며, 이복형인 [[고려 충목왕|충목왕]]이 후사 없이 요절하자 즉위하였다. 재위 기간 중 외척인 윤시우와 배전 등의 발호로 정사가 문란해졌고, [[왜구]]의 빈번한 침입이 이어지는 등 내우외환을 겪다가 숙부 [[고려 공민왕|공민왕]]의 정변으로 폐위되었다. 이후 [[강화도]]로 유배되었으며 유배지에서 독살되었다.
 
== 생애 ==
=== 왕자탄생과 시절즉위 ===
[[1337년]](충숙왕 후6년) 12월 9일, [[고려 충혜왕|충혜왕]](忠惠王)과 [[희비 윤씨]](禧妃 尹氏)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 희비 윤씨는 [[파평 윤씨]]이며, 찬성(贊成) [[윤계종]]의 딸로 고려 여인이었다.
어머니 [[희비 윤씨]]는 [[파평 윤씨]] 찬성(贊成) [[윤계종]]의 딸로 고려 여인이었다. 2세 때인 [[1339년]] [[충정왕|경창부원군]](慶昌府院君)에 봉군되었고, 7세에 부왕의 죽음을 본다. [[1348년]]([[고려 충목왕|충목왕]] 4) [[충정왕|경창부원군]](慶昌府院君)에 봉작되었다.<ref name="na01">[http://100.naver.com/100.nhn?docid=148897 충정왕]{{깨진 링크|url=http://100.naver.com/100.nhn?docid=148897 }}</ref>
 
[[1348년]](충목왕 4년) 4월, '''경창부원군'''(慶昌府院君)에 책봉되었으며 그해 12월 [[고려 충목왕|충목왕]]이 요절하자, 대신들이 원나라에 표문을 보내어 [[고려 충혜왕|충혜왕]]의 서자인 경창부원군(충정왕)과, 동생인 강릉대군(江陵大君, [[고려 공민왕|공민왕]]) 중 한명을 택하여 고려의 국왕으로 세워줄 것을 청하였다.
 
다음해인 [[1349년]] 2월, 원나라에서는 확답을 내려주지 않은 채 충정왕을 원에 입조하게 하였으며 3개월이 지난 5월에서야 충정왕을 새로운 고려 국왕으로 정하고 왕위를 계승할 것을 명하였다.<ref>《[[고려사]]》 권37, 세가 권제37, 충정왕 원년(1349년) 5월 8일 (무술)
그러나 이복 형 [[고려 충목왕|충목왕]]이 후사없이 죽게 되자 이복 형 [[고려 충목왕|충목왕]]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다. 그의 뒤는 아들 [[왕제]]<ref name=autogenerated1>[http://100.empas.com/dicsearch/pentry.html?s=B&i=174166&v=43 '왕' - 네이트 백과사전<!-- 봇이 붙인 제목 -->]</ref> 대신 그의 숙부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차지하였다.
----'''원 황제가 왕저를 국왕으로 정하다'''
----5월 무술, 원(元) 황제가 원자(元子) 왕저(王㫝)에게 왕위를 계승하라고 명하였다.</ref>
 
=== 즉위와 폐위 ===
충정왕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고려 충목왕|충목왕]]의 어머니인 [[원나라]] 출신의 [[덕녕공주]]와 충정왕의 어머니인 [[희비 윤씨]] 및 [[윤계종]] 등 왕의 외척들이 정권을 두고 갈등하였는데, 얼마 후 덕녕공주가 원나라로 입국하면서 자연스럽게 희비와 그 일족, [[기철]]을 비롯한 부원배와 권문세족들이 관직을 차지하였다.
즉위 초반 [[원나라]]의 공주인 [[덕녕공주]]가 배후에서 섭정을 하려 할 시기에 그의 생모인 [[희비 윤씨]] 및 [[윤계종]]의 친족들이 반발 시도를 하였다.
 
[[1350년]](충정왕 2년), [[왜구]]가 경상도 해안가를 습격하였는데, 이때부터 왜구의 습격이 본격화 되어 [[고려 공민왕|공민왕]]과 [[고려 우왕|우왕]]때까지 이어졌다. 왜구는 장흥, 동래, 남해현을 침략하여 많은 피해를 끼쳤다.
외가 친척인 윤시우와 [[배전]] 등이 세도를 형성하여 정치가 문란해지고, [[1350년]]에는 [[고려]] 국내에서 처음으로 왜구의 습격이 있었다. 왜구의 침입이 잦아 3년만에 [[1351년]], 어린 군주가 계속 되는 [[고려]]의 상황에서 불만을 품어, 이때 [[충정왕]]과 함께 [[고려 충목왕|충목왕]]의 후계자로 물망에 올랐던 [[고려 공민왕|강릉대군]](江陵大君: 恭愍王)에게로 민심이 쏠리자, [[1351년]] 윤택(尹澤)·이승로(李承老) 등은 [[원나라]]에 투서를 보내 "[[충정왕]]은 나이 어려 국정을 감당할 수 없으니 폐위시켜 달라"고 원나라에 요청하였다. 이후 [[고려 공민왕|공민왕]] 옹립을 도모하는 [[원나라]]의 의해서 [[강화도]]에 옮겨졌다.
 
이러한 혼란 속에 [[1351년]](충정왕 3년), 윤택(尹澤)과 이승로(李承老) 등은 [[원나라]]에 투서를 보내 충정왕이 나이가 어려 국정을 감당할 수 없으니 폐위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따라 충정왕은 폐위되어 [[강화도]]로 옮겨졌으며, 숙부인 강릉대군([[고려 공민왕|공민왕]])이 왕위를 계승하였다.<ref>《[[고려사절요]]》 권26, 충정왕 3년(1351년) 10월 6일 (임오)
[[고려 공민왕|공민왕]]이 고려에 귀국한 후 그는 강화도로 추방되었다. [[1352년]]에 유배지에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원이 충정왕을 폐위하고 공민왕을 세우다'''
----[[원나라]]에서 강릉대군(江陵大君, [[고려 공민왕|공민왕]]) 왕기(王祺)를 왕으로 삼고, 단사관(斷事官) 울제이부카(完者不花)를 보내어 창고를 봉하고 국새를 거두어서 돌아가니, 왕은 [[강화도|강화]](江華)로 물러났다.</ref>
 
=== 사후최후 ===
[[강화도]]로 쫓겨난 충정왕은 유배지에서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하고, 외부와의 연락이 차단되자 근심과 걱정으로 울며 지냈다. 어머니 [[희비 윤씨]]가 [[고려 공민왕|공민왕]]에게 간청하여 직접 강화도에 가서 충정왕을 만나보고 오기도 하였다.<ref>《[[고려사]]》 권89, 열전2, 후비2</ref>
후궁에게서 얻은 서자 1명인 [[왕제]]는 혈통을 이어 개성왕씨 시중공파의 파조가 된다. 능은 [[개성]](開城)의 [[총릉]](聰陵)이다.
 
[[1352년]](공민왕 1년) 독살되었다.<ref>《[[고려사]]》 권64, 지 권제18, 예6, 공민왕 원년(1352년) 3월 7일 (신해)
----충정왕(忠定王)이 [[강화도|강화]](江華)에서 독살 당했다.</ref> 폐위되어 고려 내에서 올린 시호는 없으며, [[1367년]](공민왕 16년) [[원나라]]에서 '''충정'''(忠定)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능은 [[개성]]에 있는 [[총릉]](聰陵)이다.
== 평가 ==
충정왕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어머니 [[희비 윤씨|희비]]와 외척들이 전횡을 일삼았고 [[왜구]]가 출몰하는 등 내우외환에 시달렸다. 《[[고려사]]》와 《[[동국통감]]》은 충정왕의 광패한 행동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인용문|전왕('''충정왕''')이 일찍이 밤에 근시(近侍)들과 더불어 <br>서로 희학(戲謔)하여 밤을 새우고 <br>혹은 먹물을 시학관(侍學官)의 옷에 뿌리기도 하며,<br>혹은 여인을 가까이하고 다니는 자가 있으면 문득 질투하는 마음이 생겨서 <br>비록 재상이라도 몽둥이로 치는 일을 당하기도 하였다.<br>
<br>이따금 철퇴로 사람을 쳐서 거의 죽게 하고, 혹은 겨울철에도 얼음이나 눈이 녹은 물을 가져다 얼은 밥을 말아서 먹기도 하였으니, 광패함이 이와 같았다.|《[[동국통감]]》 권46 고려기 공민왕1 }}
《[[동국통감]]》에서는 충목왕과 충정왕의 시대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인용문|“[[충목왕]](忠穆王)·충정왕(忠定王)은 모두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는데, [[덕녕공주]](德寧公主)와 [[희비 윤씨|희비]](禧妃)가 어머니라는 존귀한 위치로 안에서 권세를 부리고,<br> 간신과 외척은 밖에서 권세를 부리니, 두 임금이 비록 영리한 자질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할 수 있었겠는가?<br><br> 또 충정왕의 때를 당하여 [[공민왕|강릉대군]](江陵大君)은 직접 숙부가 되므로 국인(國人)들의 마음을 얻었으며,<br> 또 [[원나라]]의 후원이 있었는데, 여러 윤씨(尹氏)들이 이런 사정을 돌아보지 않고 당파를 만들어 사욕을 부렸으므로,<br> 화근을 빚어서 마침내 왕으로 하여금 불행히 짐독(鴆毒)의 살해를 당하게 하였으니, 슬프다.” 하였다.|《[[동국통감]]》 권45 고려기   }}
 
<br>이따금 철퇴로 사람을 쳐서 거의 죽게 하고, <br>혹은 겨울철에도 얼음이나 눈이 녹은 물을 가져다 <br>얼은 밥을 말아서 먹기도 하였으니, 광패함이 이와 같았다.|《[[동국통감]]》 권46, 고려기 공민왕1[[고려 공민왕|공민왕]]1 |align=center}}
== 가계 ==
《[[동국통감]]》에서는 충목왕과[[고려 충목왕|충목왕]]과 충정왕의 시대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 class="wikitable"
{{인용문|“[[충목왕]](忠穆王) · '''충정왕'''(忠定王)은 모두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는데,<br>[[덕녕공주]](德寧公主)와 [[희비 윤씨|희비]](禧妃)가 어머니라는 존귀한 위치로 안에서 권세를 부리고,<br>간신과 외척은 밖에서 권세를 부리니, 두 임금이 비록 영리한 자질이 있었다고 하더라도<br>어떻게 할 수 있었겠는가?<br>
! rowspan="2" | 고려 제30대 국왕 
 
| rowspan="2" |''' 충정대왕 '''<br> 忠定大王
{{인용문|“[[충목왕]](忠穆王)·충정왕(忠定王)은 모두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는데, [[덕녕공주]](德寧公主)와 [[희비 윤씨|희비]](禧妃)가 어머니라는 존귀한 위치로 안에서 권세를 부리고,<br> 간신과 외척은 밖에서 권세를 부리니, 두 임금이 비록 영리한 자질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할 수 있었겠는가?<br><br> 또 충정왕의 때를 당하여 강릉대군(江陵大君, [[고려 공민왕|강릉대군공민왕]](江陵大君)은 직접 숙부가 되므로 국인(國人)들의 마음을 얻었으며,<br> 또 [[원나라]]의 후원이 있었는데, 여러 윤씨(尹氏)들이 이런 사정을 돌아보지 않고 당파를 만들어 사욕을 부렸으므로,<br> 화근을 빚어서 마침내 왕으로 하여금 불행히 짐독(鴆毒)의 살해를 당하게 하였으니, 슬프다.” 하였다.|《[[동국통감]]》 권45 고려기   |align=center}}
 
== 가족 관계 ==
<center>
{|
|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rowspan="2" | &nbsp;&nbsp;&nbsp;고려 제30대 국왕 &nbsp;&nbsp;&nbsp;
| rowspan="2" |&nbsp;&nbsp;&nbsp;'''충정대왕'''&nbsp;&nbsp;&nbsp;<br>忠定大王
!출생
!사망
|-
|'''[[1338년]] [[1월 9일]]''' (<small>('''[[1337년|음력 1337년]] [[음력 12월 9일|12월 9일]])'''</small>''')
|'''[[1352년]] [[3월 23일]]''' (<small>('''[[음력 3월 7일]])'''</small>''') (14세)<br>
----{{국기|고려}} [[강화도]]
|}
 
=== 부모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olspan="2" |
!생몰년
줄 62 ⟶ 84:
|-
!부
| style="text-align:center" |[[고려 충혜왕|충혜왕]] 忠惠王
|1315년 - 1344년
| style="text-align:center" |[[고려 충숙왕|충숙왕]] 忠肅王<br>[[공원왕후]] 홍씨 恭元王后 洪氏
| style="text-align:center" |&nbsp;&nbsp;&nbsp;''' 제28대 국왕 &nbsp;&nbsp;&nbsp;'''
|-
!모
| style="text-align:center" |&nbsp;&nbsp;&nbsp;[[희비 윤씨]] 禧妃 尹氏&nbsp;&nbsp;&nbsp;
|  ?   - 1380년
| style="text-align:center" |[[윤계종]] 尹繼宗<br>[[여흥 민씨]] 驪興 閔氏
|}
|}<br /center>
=== 자녀<ref name=":0" group="주" /> ===
 
* 서자 : [[왕제]](王濟)<ref name=":0" group="주">고려사, 고려사절요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고, 오직 개성 왕씨 족보에만 보인다.</ref>
=== 자녀<ref name=":0" /> ===
 
* 서자 : [[왕제]](王濟)<ref name=":0">고려사, 고려사절요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고, 오직 개성 왕씨 족보에만 보인다.</ref>
 
* 서녀 : 양천 허씨 허백(許伯, 양주군(陽州君), 시호는 문정(文正))에게 출가
 
== 각주 ==
줄 98 ⟶ 116:
* [[윤언이]]
{{Col-end}}
 
== 외부 링크 ==
* [http://koreandb.nate.com/history/people/detail?sn=13635 고려 충정왕]{{깨진 링크|url=http://koreandb.nate.com/history/people/detail?sn=13635 }}
* [http://koreandb.nate.com/history/people/detail?sn=522 윤시우]{{깨진 링크|url=http://koreandb.nate.com/history/people/detail?sn=522 }}
* [http://100.naver.com/100.nhn?docid=148897 충정왕]{{깨진 링크|url=http://100.naver.com/100.nhn?docid=148897 }}
 
{{전임후임|
전임자=[[고려 충목왕|충목왕]]|
후임자=[[고려 공민왕|공민왕]]|
대수=30|
직책=[[고려의 역대 국왕|고려왕고려 국왕]]|
임기=[[1348년1349년]] - [[1351년]]
}}
{{전임후임|
전임자=[[고려 충목왕|충목왕]]|
후임자=[[왕독타불화]]|
대수=4|
직책=[[심양왕|심왕]]|
임기=[[1348년]] - [[1351년]]
}}
{{전임후임|
줄 122 ⟶ 127:
후임자=[[고려 공민왕|공민왕]]|
직책=[[한반도]]의 국가 원수|
임기=[[1348년1349년]] ~ [[1351년]]
}}
 
{{고려의 왕자}}
{{고려의 역대 국왕}}
 
{{기본정렬:충정왕, 고려}}
[[분류:1338년1337년 태어남]]
[[분류:1352년 죽음]]
[[분류:고려의 왕]]
줄 137 ⟶ 143:
[[분류:독살된 사람]]
[[분류:살해된 군주]]
[[분류:경기도 출신|충정왕]]
[[분류:칭기즈 칸의 후예]]
[[분류:14세기 한국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