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랑공주 (고려):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왕족 정보
|이름 = 낙랑공주<br><small>樂浪公主</small>
|작위 = [[고려]] 태조의 공주
|원래 이름 = 樂浪公主
|별명 = 안정숙의공주(安貞淑義公主)
|본명 =
----신란궁부인(神鸞宮夫人)
|작위 = [[고려]] 공주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다른 이름 =
|사망일 = [[몰년 미상]](沒年 未詳)
|별명 = [[신란궁부인]]
|배우자 = [[경순왕]](敬順王)
|출생일 = [[생년 미상]](生年 未詳)
|자녀 = 미상
|출생지 = [[황해북도]] 개성
|모후 =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 유씨
|사망일 = [[몰년 미상]](沒年 未詳)
|부왕 부친= [[고려 태조|태조]](太祖)}}
|사망지 = [[황해북도]] 개성
'''낙랑공주'''(樂浪公主. 생몰년 미상) 또는 '''안정숙의공주'''(安貞淑儀公主)는 [[고려]] [[고려 태조|태조]]의 맏딸이자딸이며 [[경순왕]]의 후비이다. 시호(諡號)는 효목(孝穆)이다.
|재위 = ?
 
|매장지 = 없음
== 개요 ==
|배우자 = [[경순왕]](敬順王)
낙랑공주는 [[고려 태조|태조]](太祖)와 [[신명순성왕후|신명순성태후]](神明順成太后) 유씨(劉氏)의 딸로, [[신라]]의 [[경순왕]]과 혼인하였다. '''안정숙의공주'''(安貞淑義公主), '''신란궁부인'''(神鸞宮夫人)으로도 일컬어진다.
|자녀 = [[헌숙왕후|헌숙왕후 김씨]]<ref>자녀(추정) : 1자 일, 2자 굉(또는 황), 3자 명(또는 명종), 4자 은열, 5자 중석(또는 석), 6자 건, 7자 선, 8자 종(또는 추), 2녀 [[경주 이씨]] 이금서에게 출가, 3녀 [[장수 황씨]] 황경에게 출가. 출처 김은열 묘지명</ref>
|부왕 = [[고려 태조|태조]](太祖)
|모후 =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
|형제 = [[왕태]]<br/>[[고려 정종 (3대)|정종]]<br/>[[고려 광종|광종]]<br/>[[흥방궁주]]
|능릉 = 없음
|묘호 = 없음
|시호 = 효목(孝穆)
|전임자 =
|후임자 =
|종교 = [[불교]](佛敎)
|가문 = [[개성 왕씨|개성]](開城)
|왕조 = [[고려]](高麗)
|연호 = 없음
|목록 = 고려의 공주
}}
'''낙랑공주'''(樂浪公主. 생몰년 미상)는 [[고려 태조]]의 맏딸이자 [[경순왕]]의 후비이다. 시호(諡號)는 효목(孝穆)이다.
 
== 생애 ==
[[935년]] 11월 22일, [[고려 태조|태조]] 왕건은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경순왕 김부]](金傅)가 입조(入朝)하자 정전(正殿)에 나와 백관을 모아놓고 예를 갖추어 경순왕과 낙랑공주의 혼인을 거행하였다.
'''낙랑공주'''(樂浪公主) 왕씨는 [[고려 태조]](太祖)와 제3왕비인 [[신명순성왕후|신명태후]](神明太后) 유씨(劉氏) 소생의 맏딸로, [[경순왕]]과 혼인 전에는 '''안정숙의공주'''(安貞淑義公主)라 불렸으며, 혼인 후에는 '''신란궁부인'''(神鸞宮夫人)이라 불렀다.<ref>외조부는 충주 지방의 호족으로 태사 내사령(太師 內史令)에 추증(追贈)된 [[유긍달]](劉兢達)이다.</ref>
 
[[935년]] 11월 22일 [[고려 태조]] [[왕건]](王建)은 신라 [[경순왕|경순왕 김부]](金傅)가 입조(入朝)하자 정전(正殿)에 나아와 백관을 모아놓고 예를 갖추어 첫째딸인 그녀와 혼인을 시켰다. 그녀는 [[고려 정종 (3대)|정종]](定宗)과 [[고려 광종|광종]](光宗)의 누이동생 이기도 하다. 이후 [[고려 태조]]는 후궁 [[성무부인]](聖茂夫人) 소생의 아홉째 딸도 [[경순왕]]과 혼인 시켰다.<ref>그녀의 외조부는 호족 박지윤(朴智胤)이다.</ref>
 
[[고려 태조|태조]](太祖) [[왕건]](王建)도 신라 [[경순왕|경순왕 김부]]의 백부 [[김억렴]](金億廉)의 딸을 제5왕비로 맞아들였는데, 그녀가 [[신성왕후|신성왕태후 김씨]](神成王太后 金氏)이다.<ref>[[고려 안종|안종]](安宗)으로 추존된 왕욱(王郁)의 생모이다.</ref>
 
이와 같이 지방 호족이었던 [[고려]] 왕실은 2명의 공주를 신라 [[경순왕|경순왕 김부]]와 혼인시키고, [[고려 태조]] 왕건 자신도 신라 [[경순왕|경순왕 김부]]의 사촌 여동생과 혼인을 하였는데, 이는 [[고려]]에 귀부한 신라왕 [[경순왕|김부]]에 대한 예우적인 측면도 있지만, 이중 혼인을 통해 [[고려]] 왕실의 신분을 [[신라]] 왕실과 대등하게 상승시켜 통일된 나라를 용이하게 지배할 수 있는 권위를 보장받으려는 의도에서 행해진 것이라 보여 진다.
 
이후의 행적에 관해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경순왕|경순왕 김부]]는 고려에 항복 후 슬하의 첫째딸을 고려 제5대 왕 [[고려 경종]]에게 출가시켰는데, 그녀가 [[헌숙왕후|헌숙왕후 김씨]](獻肅王后 金氏)이다. [[헌숙왕후|헌숙왕후 김씨]]의 어머니에 대해 [[조선]]조 말 [[1814년]](조선 순조 14) [[경주 김씨]] 일문들이 세운 《신라경순왕전비》에 [[경순왕]]의 [[죽방부인|전비 박씨]] 소생이라 하나, [[고려 경종]]은 [[고려 태조]]의 손자로 [[955년]] 태어나 [[975년]]에 왕위 올랐는바, 배우자인 그녀도 [[955년]]경 태어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할 것이다. 따라서 그녀의 어머니는 시대상으로 [[죽방부인]] 보다는, 후비인 [[낙랑공주 왕씨]] 소생이라 함이 타당하다 하겠다. 이에 대해서는 기록이 없어 자세히 상고할 수 없다.<ref>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5COa_A9999_1_0014552 {{웨이백|url=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5COa_A9999_1_0014552 |date=20160310123957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헌숙왕후〉항목]</ref><ref>http://gsm.nricp.go.kr/_third/user/search/KBD008.jsp?ksmno=8541]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신라경순왕전비(新羅敬順王殿碑)]</ref>
 
== 가족 관계 ==
* 부왕'''아버지''' : 고려 제1대 [[고려 태조|태조]](太祖, 877 ~943, 재위:918~943)
=== 혼인 전 ===
* '''어머니''' : [[신명순성왕후]] 유씨(神明順成王后 劉氏, 생몰년 미상)<ref>외조부는 충주 지방의 호족으로 태사 내사령(太師 內史令)에 추증된 [[유긍달]](劉兢達)이다.</ref>
* 조부 : [[고려 세조|세조]](世祖, ? ~897)
* 조모 : [[위숙왕후]](威肅王后)
* 부왕 : 고려 제1대 [[고려 태조|태조]](太祖, 877~943, 재위:918~943)
* 모후 :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 劉氏, 900?~947), [[유긍달]](劉兢達)의 딸
** 오빠 : 태자 [[왕태]](太子 王泰, 919~921)
** 오빠 : 고려 제3대 [[고려 정종 (3대)|정종]](定宗, 923~949, 재위:945~949)
** 오빠 : 고려 제4대 [[고려 광종|광종]](光宗, 925~975, 재위:949~975)
** 오빠 : [[문원대왕]](文元大王)
** 오빠 : [[증통국사]](證通國師)
** 여동생 : [[흥방궁주]](興芳宮主)
 
* 남편'''배우자''' : [[경순왕]](敬順王), [[김부]](金傅? ~ 978)
=== 혼인 후 ===
* 남편 : [[경순왕]](敬順王) [[김부]](金傅)
** 딸 : [[헌숙왕후|헌숙왕후 김씨]](獻肅王后 金氏) - [[고려 경종]](高麗 景宗) [[왕주]](王伷)에게 출가<ref>일설에 [[죽방부인]] 소생이라 하나, 부군(夫君) [[고려 경종]](955~981)의 출생 연대로 보아 [[낙랑공주 (고려)|낙랑공주]] 소생이 타당하다.</ref>
* 후비 : 공주 왕씨(公主 王氏)<ref>[[고려 태조]]와 [[성무부인]] 박씨 소생의 아홉째 딸로, 외조부는 호족 박지윤(朴智胤)이다.</ref>
 
== 자녀 등장==
줄 63 ⟶ 30:
 
=== 《김은열 묘지명》 ===
[[1784년]](정조 8)에 개성 어느 산 기슭에서 발견되었다는 「김은열 묘지석」을 바탕으로 김노규(金魯奎)가 기사한 《김은열 묘지명》에 [[경순왕]]은 고려에 항복 후 8자들을 두었는데 『'''일'''(鎰)'''·굉'''(鍠)'''·명'''(鳴)'''·은열'''(殷說)'''·중석'''(重錫)'''·건'''(鍵)'''·선'''(鐥)'''·종(鐘)'''(鐘)』이라 한다.
 
=== 《보국대안군 김은열 묘지명》 ===
이후 [[1785년]] [[김사목]](金思穆)은 [[경주 김씨]] 족보를 수보(修普) 하면서 추기한 《보국대안군 김은열 묘지명》에 2자 '굉'(鍠)을 '황'(湟)으로, 3자 '명'(鳴)을 '명종'(鳴鍾)으로 개명하고, 4자 은열(殷說)의 시호를 '보국대안군'(輔國大安君)이라 작호(作號) 하는 등 가필(加筆)을 심하게 하였다.<ref>월간조선 2015년 2월호 504페이지</ref><ref>인제문화원 '마의태자 유적지비'[[http://www.injeculture.org/bbs/board.php?bo_table=sub2_5&wr_id=43&page=]]</ref> 그리하여 8자들을 『'''일'''(鎰)'''·황'''(湟)'''·명종'''(鳴鍾)'''·은열'''(殷說)'''·중석'''(重錫)'''·건'''(鍵)'''·선'''(鐥)'''·종(鐘)'''(鐘)』이라 한다.
 
=== 《묘지명》 진위 여부 ===
줄 120 ⟶ 87:
[[분류:생몰년 미상]]
[[분류:고려의 왕녀]]
[[분류:신라의 왕비]]
[[분류:10세기 한국 사람]]
[[분류:고려 태조]]
[[분류:고려 혜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