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전거 통제 틀 추가
영문판 위키백과 문서를 참조, 번역하여 이를 기반으로 기사 내용 및 전거자료들을 추가로 작성, 보완하였습니다.
1번째 줄:
'''유지겸'''(劉知謙<ref name=NBT190>《[[구당서]]》, [[:zh:s:新唐書/卷190|vol. 190]].</ref><ref name=BSH01>《[[:zh:南漢書|남한서]](南漢書)》, [https://archive.org/details/02079310.cn/page/n28/mode/2up 권1].</ref><ref>대부분의 종래의 전거자료들은 그의 이름을 유지겸이 아닌 유겸(예를 들어, 《[[구오대사]]》·《[[신오대사]]》)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실제 [[열전]]을 포함한 유일한 종래의 전거자료에서는 그의 아들들의 열전에서 단순히 그를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그를 유지겸(《[[신당서]]》)으로 표기하고 있는데, 다른 전거자료들이 [[후한 (오대)|후한]]의 전거자료(후한의 개국 황제인 [[후한 고조|고조]]([[유지원]])의 이름을 [[피휘]]하기 위하여 "지(知)" 자를 제거하였을 것이다)들에 의존하였을 수도 있기 때문에, "지(知)" 자를 잘못 제거하였다고 믿었던 것으로 보인다. [[북송|송나라]]의 [[역사가]] [[구양수]]가 《신당서》와 《신오대사》의 주요 편찬자였음에도 불구하고, 모순은 존재하였다.</ref>, ? ~ [[894년]])은 [[중국]] [[당나라]] 말기 청해군(淸海軍, [[본부]]는 지금의 [[광둥성]] [[광저우시]]) 번진(藩鎭)의 [[장교]]이자 [[오대 십국 시대]] [[남한 (십국)|남한]]의 창시자인 [[유은]]·[[유엄]] 형제의 아버지이다. 《[[구오대사]]》·《[[신오대사]]》 등의 기록에는 이름이 '''유겸'''(劉謙)<ref name=HFD135>《[[구오대사]]》, [[:zh:s:舊五代史/卷135|권135]].</ref><ref name=NHFD65>《[[신오대사]]》, [[:zh:s:新五代史/卷65|권65]].</ref><ref name=LiuHua>진홍균(陳鴻鈞), “[[복건]]에서 출토된《[[당나라|당]] 고 연국명혜부인 [[:zh:彭城劉氏|팽성 유씨]] [[묘지 (문서)|묘지]](唐故燕國明惠夫人彭城劉氏墓誌)》에 대한 고찰과 분석”, [[:en:Ningbo University|닝보 대학교]] 학보 (인문과학판) 제23권, 5기([[2010년]] [[9월]]).[http://wenku.baidu.com/view/4fc515ec551810a6f52486d4.html]</ref>으로 전한다. 유지겸은 그의 공적 덕분에 청해군의 전신인 [[영남 (중국)|영남]]동도(嶺南東道) 번진(藩鎭)의 봉주(封州, 지금의 [[광둥성]] [[자오칭시]])를 그곳의 [[자사 (관직)|자사]]로서 장악하고, 그곳에서 그의 군사력을 증강시켰다. 결국 그의 사후, 그의 아들 [[유은]]이 청해군 번진의 전역을 모두 점령하였고, 이후 유은의 동생인 [[유암]](훗날의 [[유엄]])이 [[남한 (십국)|남한]]이라는 새로운 나라를 세우게 되었다. 남한 건국 후 유엄에 의해 '''대조'''(代祖) '''성무황제'''(聖武皇帝)로 추숭되었다. [[자 (이름)|자]]는 '''덕광'''(德光)<ref name=BSH01/> 또는 '''내광'''(內光)<ref name=LiuHua/>
'''유지겸'''(劉知謙, ? ~ [[894년]])은 [[중국]] [[오대 십국 시대]] [[남한 (십국)|남한]]의 창시자인 [[유은]]·[[유엄]] 형제의 아버지이다. [[자 (이름)|자]]는 덕광(德光)이다. 《[[구오대사]]》《[[신오대사]]》 등의 기록에는 이름이 '''유겸'''(劉謙)으로 전한다. 남한 건국 후 유엄에 의해 대조(代祖) 성무황제(聖武皇帝)로 추숭되었다.
 
== 가계생애 ==
=== 배경 ===
* 아버지: [[유안인]]
종래의 전거자료들에서는 유지겸의 가세(家世, 집안 배경)에 대한 기록이 충돌하나, 그가 당시 빈약한 사회적 지위로 간주되었던 출신이었다는 점에서는 기록이 일치한다. 《[[신당서]]》에 의하면, 그는 [[상채현|상채]] 출신이었으나, 고향에서 있었던 전란 때문에 봉주로 피난, 거주하게 되었다고 한다.<ref name=NBT190/> 《[[구오대사]]》에 의하면, 그의 아버지는 유인안(劉仁安)으로 기록되어 있고, 조주(潮州, 지금의 [[광둥성]] [[차오저우시]])장사(長史)를 역임한 후에 [[영남 (중국)|영남]] 지방에 거주하게 되었다고 한다.<ref name=HFD135/> 《[[신오대사]]》에 의하면, 그의 아버지는 유안인(劉安仁)으로 기록되어 있고, 상채 출신으로 민(閩, 즉 지금의 [[푸젠성]] 일대 전역에 해당한다) 지방으로 피난을 갔으며, 후에 영남 지방([[남해군 (중국)|남해]])에 정착하여 [[상인]]이 되었다고 한다.<ref name=NHFD65/>
* 아들: [[유은]]
* 아들: [[유엄]]
 
유지겸의 손녀인 [[유화 (896년)|유화]](유지겸의 아들인 [[유은]]의 딸)의 [[묘지 (문서)|묘지]]에는 유지겸의 아버지(유화의 증조부)는 유안(劉安)으로 기록되어 있고, 그의 [[선조]]는 [[동진]] 건국 당시, 조상 대대로 거주해 왔었던 [[팽성군|팽성]]에서 [[광주 (오)|광주]]로 [[:zh:衣冠南渡|피난, 남하한]] [[:zh:彭城劉氏|팽성 유씨]] 가문 출신이었으며, 이후 광주에 정착하였다가 묘지가 지어진 시점에서는 봉주 하수(賀水, 지금의 [[광시성]] [[난닝시]] [[상린현]]) 출신으로 기록되어 있다.<ref name=LiuHua/>
== 참고 문헌 ==
 
* 《[[신당서]]》 권190, 유지겸전
[[청나라]]의 [[학자]] [[:zh:梁廷枏|양정남]](梁廷枏, [[1796년|1796]]~[[1861년|1861]])이 저술한 《[[:zh:南漢書|남한서]]》에 의하면, 유지겸의 선조는 채주(蔡州, 지금의 [[허난성]] [[주마뎬시]]) 상채 출신으로, 그의 아버지는 유인안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당나라에서 [[차오저우시|조주]][[자사 (관직)|자사]]를 역임하였고, 민 지방의 천주(泉州, 지금의 [[푸젠성]] [[취안저우시]]) 선유(仙遊, 지금의 [[푸젠성]] [[푸톈시]] [[셴유현]])로 이사하였다가, 다시 번우(番禺, 지금의 [[광둥성]] [[광저우시]] [[판위구]])로 이사하였다고 한다.<ref name=BSH01/>
* 《[[구오대사]]》 권135, 참위열전, 유척전
 
=== 초기 경력 ===
유지겸이 어떻게 영남 지방에 있게 되었든 간에, 그는 결국 청해군의 소교(小校, 하급 장교)가 되었다. 이러한 그의 낮은 사회적 지위에도 불구하고, 유지겸의 재능이 출중하다고 생각한 이 지역(후에 청해군으로 군호(軍號)가 변경되기는 하였지만, 당시에는 영남동도로 알려져 있었다)의 [[절도사]] 위주(韋宙)는 자신의 형의 딸(조카딸)을 유지겸과 결혼시키기로 결심하였다. 위주의 아내가 반대하자, 위주는 이렇게 말하였다.<ref name=NBT190/>
 
{{인용문2|이 사람은 평범한 사람이 아니다. 아마도 언젠가는 나의 후손들이 그에게 의지할 수 있을 것이다.<ref name=NBT190/>}}
 
그 후, 유지겸은 [[농민]] [[반란|반란군]]과의 [[전쟁]]에서 그들을 격파하여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ref name=ZZTJ255>《[[자치통감]]》, [[:zh:s:資治通鑑/卷255|권255]].</ref>
 
[[879년]], [[황소의 난|황소의 농민 대반란군]]이 영남동도 번진의 [[수도]] [[광저우|광주]](廣州)를 점령하였다. [[880년]], [[황소 (당나라)|황소]]가 그곳을 버리고 떠나자, 이 일대는 혼란에 빠졌다.<ref name=ZZTJ253>《자치통감》, [[:zh:s:資治通鑑/卷253|권253]].</ref> 유지겸은 이 기회를 틈타 봉주를 차지하였다. [[883년]] [[7월 13일]],<ref name=AS>[http://sinocal.sinica.edu.tw/ 대만 중앙연구원 중국력(中國曆) ↔ 서력(西曆) 변환기]</ref> 당시의 [[황제]]였던 [[당 희종]]은 유지겸을 봉주[[자사 (관직)|자사]] 겸 하수진사(賀水鎭使, 지금의 [[광시성]] [[난닝시]] 소재)에 임명하였다.<ref name=ZZTJ255/><ref name=NBT190/>
 
=== 봉주의 통치 ===
유지겸은 봉주자사로 있으면서, 피난민들을 맞아들이고 경비를 절약하며 군사력을 증강시켰다고 한다. 이윽고 그는 1만 명이 넘는 규모로 그의 군대를 구축하고 상당수의 [[전함]]들을 보유하게 되었고, 그의 [[주 (행정 구역)|주]]는 안정되었다. 그 후, 그는 병이 들자, 자신의 아들들을 불러 그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ref name=NBT190/>
 
{{인용문2|요즈음 [[무릉군|무릉]] 일대의 [[도적]]들이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나는 강한 군사들과 날카로운 무기들을 가지고 있다. 너희들은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그것들을 가지고 대업을 이루도록 하라!<ref name=NBT190/>}}
 
[[894년]], 유지겸이 사망하자,<ref name=ZZTJ259>《자치통감》, [[:zh:s:資治通鑑/卷259|권259]].</ref> 그의 장병들은 그의 아들 [[유은]]을 자신들의 대장으로 추대하였다. 당시의 청해군 [[절도사]](이 시점에서 영남동도 번진은 청해군으로 군호가 변경되어 있었다) 유숭구(劉崇龜)는 당 희종의 동생이자 후계자인 [[당 소종]]에게 유은을 추천하였고, 소종은 유지겸의 후임으로 유은을 봉주자사에 임명하였다.<ref name=NBT190/>
 
== 가족 관계 ==
* 아버지: 유인안(劉仁安)<ref name=BSH01/><ref name=HFD135/>/유안인(劉安仁)<ref name=NHFD65/>/유안(劉安)<ref name=LiuHua/> : 사후 대조 성무황제로 추존
** 본인 : '''유지겸'''(劉知謙)/'''유겸'''(劉謙)
** 아내 : 위씨(韋氏) : 영남동도 절도사 위주(韋宙)의 딸. 사후 무황후(武皇后)로 추존
*** 아들 : [[유은]](劉隱) : 후에 청해군 절도사
*** 아들 : 유태(劉台)
** 아내 : 단씨(段氏) : [[측실]]
*** 아들 : [[유암]](劉巖) : 후에 [[유엄]](劉龑)으로 개명. [[남한 (십국)|남한]]의 초대 황제
 
== 출전·주해 및 참고 문헌 ==
<references/>
* 《[[신당서]]》, [[:zh:s:新唐書/卷190|권190, 유지겸전]].
* 《[[자치통감]]》, 권[[:zh:s:資治通鑑/卷255|255]]·[[:zh:s:資治通鑑/卷259|259]].
 
{{전거 통제}}
[[분류:생년 미상]]
[[분류:894년 죽음]]
[[분류:주마뎬시 출신]]
[[분류:당나라의 군인]]
[[분류:당나라의 장군]]
[[분류:남한의 추존황제]]
[[분류:팽성 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