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문맥 보완 및 일본 공사관과 통감부의 기록 중 일부 내용에 근거한 부분 삭제
6번째 줄:
 
== 조직 ==
물론 대한제국군의 성립 기반은 [[조선군]]이었다. 그러나 [[1894년]] [[7월 27일]]에 시행된 [[갑오개혁]]으로 인해 기존의 군제가 모조리 바뀌면서 새로운 조직으로 편성되었다.
 
[[시위대 (대한제국)|시위대]], [[친위대 (대한제국)|친위대]], [[진위대]] 등의 조직을 통해 세를규모를 불려 나갔으나확장하였으나 일본의 개입 및 국가의 역량 부족, 여기에그리고 고위 관료들의 고위층들의판단 욕심이오류가 겹쳐 제대로 된 활동을 하지 못하고 최후를 맞았다.
 
병력 충원에 있어서는 국민개병제에 의거한 [[징병제]]를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은 있었지만 여건과 의지의 부족으로 시종일관 [[모병제]]를 채택, 유지하였다. 통수권자는 [[황제]]였다.
26번째 줄:
== 육군 ==
{{참고|대한제국 육군}}
[[1895년]] [[5월]]에 설치된 [[시위대 (대한제국)|시위대]] 대한제국의 핵심부대로 [[덕수궁]] 경비와 [[황제]] 호위를 담당했다. 2개 대대로 구성된 1개연대로서 각 대대가 2개 중대고 각 중대는 3개 소대 였다. 정원 약 8000명 가량으로 추정되며 을미사변때 일본군을 저지하다 실패했고,실패한 후 곧 해산되었지만 [[1897년]] [[1월]]에 [[러시아]] 군사고문의 지도로 시위대가 다시 편성되었고편성되었다. 최고최대 인원은 20,000여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 역사 ==
대한제국 개국 이전의 조선군은, 대원군이 집권할 당시에 약 16,000명의 규모의 중앙군을 가진 미약한 군대였으며, 대부분의 병력이 훈련이 결여되었고, 절반 이상의 인원이 노약자로 구성되어 있었다<ref>국방부, 한말 군 근대화 연구 ,군사편찬연구소,2005,p.33.</ref>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대원군은 화약무기를 다루는 포군(砲軍)을 증강하는 정책을 채택하게 되고, 특히 강화유수부(江華留守府)를 [[진무영]](鎭撫營)으로 개편하는 등 지방군의 강화를 꾀하였다.
 
또한,서양 군함들의 출몰로 인한 수차례의 난을 겪었던 고종은 해안 포대를 강화함으로써 이를 극복하려 하였다. 1873년 [[흥선대원군]]이 실각하고 고종의 친정 체제가 이루어지자 [[고종]]은 가장 먼저 친위부대인 무위소(武衛所)를 설치하여 그의 친정체제를 공고히 하려하였다. 1876년과 1880년에 고종은 일본에 수신사(修信使)를 파견하여 [[일본제국]]의 신식군제와 무기 및 기술들을 배우려 하였으며, 청국에는 1879년에 신식 무기 구입을 요청하였고,양국 양국간 군사지원에 관련된 조약을 역시 체결하였다.
 
[[갑오개혁]] 직후 조선의 군대는 새롭게 만들어진 훈련대와 해체된 기존 군영의 군사들을 모아 임시로 편성한 신설대가 유일했으며 그나마 서울에만 있었고 지방은 아예무방비 무방비상태였다상태였다. 덕분에 을미의병이 아주일어났을 제대로 일어나게이를 된다.제어할 막을 관군도군대가 없었다. 무기는 관아에 쌓여있었다. 물론당시 김홍집 내각도내각이 지방에 새로 만들어진만든 군대를 둔다는배치한다는 구상 정도는정도가 있었고, 실제로 [[을미개혁]] 당시 평양 등지에 훈련대 대대를 두기도 했지만 [[아관파천]]으로 김홍집 내각이 무너지면서 이는 제대로 시작도 하지 못하고 [[중단]]되고중단되고 만다.
 
이후 제정 러시아 고문단의 지원을 받아 시위대가 다시 만들어지고 지방에는 해산된 구식군대의 병사들을 임시로 편성한 지방대와 [[진위대]]가 만들어진다. 또한 장교들을 양성하기 위한 무관학교도 만들어지게 된다만들어졌다. [[육군무관학교]]는 1896년부터 1909년가지 존속했고 해군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은 [[통제영학당]] 정도가 있지만 1894년 이후엔 유명무실해졌다.
 
이후 점차 그럴듯한 모습을 갖춰가면서 제주에도 진위대가 설치되고 한성에는 육군법원과 병원까지 만들어지게 된다만들어진다.
 
1899년(광무 3년)에는 최고통수기구인 [[원수부]]와 참모본부인 참모부가 개설되어 근대 군 통수기구가 도입되었다. 원수부 산하에는 군무국, 검사국, 기록국, 회계국이 설치되었으며 [[헌병]]사령부가 원수부 직속으로 설치되었다. 또한 [[황제]]의 근접경호를 맡는 경호실 격의 호위대가[[호위대]]가 창설되었는데, 원수부 군무국 총장이 호위대장을 겸임하였다.
 
초기엔 중앙군을 구성하고 지방군을 중앙군과 비슷한 편제로 고쳐나갔는데 편제상 1901년에 18,378명 규모였다. 실제론 1897년에는 중앙군인 [[시위대]]가 약 2,600명, 지방의 지방대는 7천 명 수준이었다. 1904년 전까지는 중앙군인 [[시위대]]와 [[친위대]]의 규모가 각각 5,700여명,700여명과 4,840명에 이르렀으며 지방군은 도합 18,000명이였다. 1905년부터는 [[러일전쟁]]이 끝나고 일본의 입김이 강해지면서 군축이 이뤄져 시위대는 2,513명으로 축소되고 [[친위대]]는 폐지되었고폐지되었다. 당시 지방군인 [[진위대]]는 4,438명 수준이었다. 합해서즉, 중앙궁과 지방군을 합쳐 7천 명 수준수준이었다. 1907년엔 다시 군제개혁이 이뤄져 중앙군이 개편되면서 늘어나 4,215명이 됐지만 진위대는 4,305명이었다. 인원변화는 그리 크지 않은 것 같지만 일본은 남부의 병력을 북부로 이동시키는 등 중국을 대비한 식민화 작업에 들어갔다.
 
1899년 청에서 [[의화단 운동]]이 일어나 대한제국 내 평안도 함경도에도 의화단과 청군 비적이 쳐들어와 대대적으로 약탈하는 사례가 발생한다. 당시 열강 8개국이 참전하였고 대한제국군은 군세가 열악하고 국내에 침입한 의화단을 막기에도 벅찬 관계로 참전을 거부했다.
 
시간이 흘러 [[의화단 운동]]에서 연합군의 승전이 확실해지자 고종이 직접 뒤늦게 일본 공사를 통해 참전 의사를 피력했으나, 일본 공사는 [[대한제국군]]의 전력까지 필요한 정도는 아니라며 거절했다. 일본 공사는 본국으로 보내는 전문에전문에서 다음과이러한 같은일의 사실을전말을 전하면서 "우스운 일이다."라며 고종을 비웃었다.
 
1900년특히 [[의화단 운동]]으로 [[청나라]]가 약해지고 [[러시아제국]]이 대병을 이끌고 [[만주]] 일대를 군사적으로 장악했을 때, [[간도]]의 한국인들은 이것을 호기로 여기고 편복을 벗고 한복으로 바꿔 입으면서 [[대한제국]] 정부에게 보호를 청했다. 1901년, 대한제국 정부는 간도에 대한 행정권을 펴기 위한 태세를 갖췄고, 1902년 5월 22일 당시 46세였던 [[이범윤]]을 북간도시찰로 임명해 [[대한제국군]]을 간도지역으로 파견한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za_14008011_001</ref>
대한제국군 진위대는 1905년 이후 의병 대장 원용팔을 체포한 것을 비롯하여 강릉·단양·예천의 의병을 체포하거나 의병을 진압하기 위해 출동하였다. [[을사조약]]으로 국권을 잃은 후 진위대는 오히려 국권을 회복하기 위한 의병운동을 진압한 것이다.[[남대문 전투]] 이후 해산당한 대한제국군은 최대 550여명이 서소문을 통해 탈출 한것으로 추정되며, 일부는 정미의병에 참가하였다.
 
대한제국군 진위대는 1905년 이후 의병 대장 원용팔을원용팔(元容八)을 체포한 것을 비롯하여 강릉·단양·예천의 의병을 체포하거나 의병을 진압하기 위해 출동하였다. [[을사조약]]으로 국권을 잃은 후 진위대는 오히려 국권을 회복하기 위한 의병운동을 진압한 것이다. [[남대문 전투]] 이후 일제에 의해 해산당한 대한제국군은대한제국군 가운데 최대 550여명이 서소문을 통해 탈출탈출한 한것으로것으로 추정되며, 일부는 정미의병에 참가하였다.
 
시위대는 1907년 8월 1일에 해산되었다. 시위대 1연대 1대대장이었던 [[박승환]]이 이 일로 자결하고 해산에 반대한 2개 대대는 일본군에 맞서 [[남대문 전투]]를 전개하였으나 일본군에 의해 진압당하였다. 강제 해산 이후 2연대 2대대와 기병대대 일부는 [[조선보병대]]와 조선기병대가 되어 황실근위를 맡았고 이후 조선기병대는 1913년에, [[조선보병대]]는 1931년에 해체되었다. 1931년 해체 당시 약 200명의 인원이 남았고 이들은 일본군 헌병보조원<ref>한때 항일 투쟁에 직접 참가했던 이들조차 헌병보조원이 되곤 했다. 물론 기회주의자들도 있었으며, 상당수는 강제병탄 후 일본의 앞잡이로 완전히 전락하고 말았다.</ref>과 순사보조원이 되었다.
줄 56 ⟶ 58:
 
6월 변계경무관 최남륭·김병약, 진위대 육군참령 김명환은 연길청 및 길강군 관리들과 변계선후장정이라는 약장을 체결하여 이범윤의 소환과 현상유지(두만강을 잠정적인 국경으로 유지 등)를 합의하게 된다. 이후 국경 문제는 [[간도협약]]으로 해결하게 된다.
== 분쟁및 전쟁범죄 ==
1900년 [[의화단 운동]]으로 [[청나라]]가 약해지고 [[러시아제국]]이 대병을 이끌고 [[만주]] 일대를 군사적으로 장악했을 때, [[간도]]의 한국인들은 이것을 호기로 여기고 편복을 벗고 한복으로 바꿔 입으면서 [[대한제국]] 정부에게 보호를 청했다. 1901년, 대한제국 정부는 간도에 대한 행정권을 펴기 위한 태세를 갖췄고, 1902년 5월 22일 당시 46세였던 [[이범윤]]을 북간도시찰로 임명해 [[대한제국군]]을 간도지역으로 파견한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za_14008011_001</ref>
 
대한제국군이 간도를 침공하는 과정에서 전쟁범죄가 일어났는데, 내용은 아래와 같다.
 
'''光緖27년(1901) 吉林'''
* 5월
한국 총순(경무청관직) 안수익, 김치운이 두만강을 건너 화룡옥 지방에 이르러 “경무관 이경순의 명을 받들었다.”고 주장하며, 종 10여 명을 이끌고 와서 간도 한국인의 관할 문제를 다투고 있다. 우리 위원이 그들과 논박을 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칼을 뽑아 무도한 짓을 했다.
* 8월
한국 警務官이 중국인 孔廣心의 건물 8칸을 부수고, 공광심의 숙부 孔繼昌을 돌로 쳐 죽음에 이르게 했다.
* 9월
茂山城의 한국 병사가 무리를 이끌고 도문강을 건너 安遠, 善化, 德化, 崇化, 尙化 등(중국 지역 이름인듯)의 성에 와서는 사람을 묶고 집을 부수고 재물을 강탈하고 벼를 마구 베어갔다. 동시에 강 건너편에서는 대포로 練會를 공격했다.
* 10월
외무부의 편지에 이르기를, “圖們, 鴨綠 두 강에 대한 감시를 잠시 중단하여 변민들의 당혹함을 해소하자고 한국 외부(외무행정관청)에 조회했다.”
* 11월
洙水坪 지방의 한국 관리 이씨가 상무사에 군사를 파견하여 중국인 왕슈촨을 납치한 후 한전 500조吊을 요구했다. 왕문괴, 서보증(사람이름)도 억류당했다. 또한 한국 병사들이 국경을 넘어 무리를 이끌고 崇化社, 善化社에 이르러 중국인 昊仁安 등을 구타했고, 총 20여 家의 식량과 재물을 강탈해갔다.
'''奉天'''
* 4월
한국 외부의 문서에 이르기를, “關西察邊使가 通化 差總 王懋忠이 한국인에게 軍餉을 걷어가고 이들을 병사로 편제했다는 사실을 알아갔다.”
* 8월
한국 병사가 懷仁縣 현성에서 懋廣慶 부자를 납치하여 몸값을 받아냈고, 編家修의 재산을 약탈해갔다.
* 11월
장저우성 맞은편의 總和堡에 사는 한국인 60여 명이 국경을 넘어가 揚惟春이 중히 여기는 수목을 베어갔다.
한국 楚山城 밖의 병사 10여 명이 孫罷渡의 집에 들이닥쳐 王公純, 宋得財 2명을 윤간하고 총살했다. 屯民들이 金應宗, 趙恒起 2명을 포획하고 총 2자루를 빼앗았다.
盛京將軍의 來文에 이르기를, “王壽山 소유의 저수지는 道臺의 승인을 거친 것이며 해마다 正稅를 완납했다는 증빙문서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국경을 넘어 관할하겠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 8월
한국 병사가 劉氏를 데리고 圖們江을 건너 白王社 지방에 이르러 陳松全 家의 大麥 30石을 강탈해갔다. 또한 茂山의 劉氏라는 병사는 紀萬仁의 곡식 100여 석을 빼앗아갔다. 뿐만 아니라 가는 집마다 식량과 돈을 가져가고 제멋대로 집회를 가지는 등의 행동을 했다.
* 11월
한국 병사 李小山 등이 林上珎의 가게에서 돈을 강탈하고 劉殿元을 총살했다.
'''光緖29년(1903)'''
* 9월
한국 병사가 무리를 이끌고 도문강을 건너와 월간 한민을 규합하여 우리 군대를 공격하고 우리 백성의 점포를 불태웠다. 또한 강 너머에 참호를 파고서는 우리 병사가 왕래하면 총을 쏘며 공격해왔다.
* 9월
한국 병사가 배로 1,000여 명을 데리고 압록강을 건너 長生堡의 會房을 공격하고는, “上江 일대는 모두 한국 영토에 속한다.”고 주장하면서 건물을 방화하고 부녀자를 겁탈하고 노약자를 살해했다. 또 慶田堡에서도 한국 三水城 병사들에 의해 집 3채가 불탔다. 또 安東縣 사람 極忠慶, 報芹旭과 李氏가 한국 병사에 의해 살상되었다. 또 王永昌을 납치해갔고 李氏는 고문을 받아 죽었다.
* 10월
한국 병사 7~800명이 快槍을 써서 臨江縣을 공격하고 무수히 살인을 저질렀다. 우리 外務部는 한국 정부에 李範允, 徐相懋 2인을 철수시키라고 촉구했다.
'''출처'''<ref>http://db.history.go.kr/item/compareViewer.do?levelId=jh_026_0100_0080</ref>
 
== 계급 ==
줄 168 ⟶ 133:
 
== 같이 보기 ==
* [[대한제국 육군]]
* [[별기군]]
* [[임오군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