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감의 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되돌려진 기여
태그: 되돌려진 기여
15번째 줄:
 
== 삼감의 정체 ==
상서대전에서는 삼감이라는 용어를 썼지만 정작 삼감이 누군지는 등장하지 않아서, 삼감의 정체를 밝히고자 하는 노력이 한대 이후 계속되었다. 사기의 관숙과 채숙을 삼감 중 둘로 보아도 한 명이 비는데, 이 한 명을 《일주서》 작락해에서는 [[곽숙 처]]를 꼽았고 《상군서》에서도 “주공 단이 관숙을 죽이고 채숙을 추방하고 곽숙을 유배했다”고 하여 곽숙이 삼감의 난에 가담했다고 보였다. 그러나 《좌전》, 《여씨춘추》, 《국어》, 《회남자》에서는 삼감에 대한 언급이 없고, 관숙과 채숙만을 가담자로 거론했다. 또 《맹자》, 《순자》 유효편, 《일주서》 극은해, 대광해에는 관숙의 이름만이 보인다. 한편, 《한서》에서는 무경 · 관숙 · 채숙을 삼감으로 꼽았으나, 상나라 왕자인 무경이 상나라 유민의 감시를 맡게 된다는 점, 또 상서대전에서 무경과 삼감이라 하여 무경은 삼감에서 제외한 듯하다는 점 때문에 문제가 있다.<ref name="sssh17"/> 서주 주나라 인구 15만 작은 족읍였고, 큰 상나라를 통치할 수 없어 상나라 왕실을 존속시켰다. 허수아비 왕을 둠으로서, 역성혁명이 아님을 분명히 한 것이고, 삼감의난 평정과 함께 상나라가 멸망, BC1046년 주나라가 성립하게 된것이다. 상나라 왕자자체를 뜻하는 적자(嫡子) 무경이 상나라 유민을 감시한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얘기다얘기고, 무경을 죽이고 후사가 없었기 때문에 상나라가 실제로 망한 것으로, 송나라에 분봉된 미자 계로 상나라 제사를 모시게 했어도, 자성미씨(子姓微氏)로 적자(嫡子)가 아니다. 적자는 글자 적(嫡) 자체가 제(帝)임금이 되서 조상 'ㅂ'제사를 모실 사람이란 뜻이고, 1부 다처제 호족(豪族) 서자는 임금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모계 가족을 이끌고 씨(氏)를 창성(創姓)하게 된다. 자성(子姓) 적자(嫡子)가 죽지 않고 어딘가에 살아남게 되면 망한 나라 이름을 딴 상씨(商氏)가 된다.
 
삼감의 난을 언급하는 여러 문헌에서 관숙만이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는 점 때문에 진몽가(陳夢家)는 관숙이 주모자였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김정열교수는 삼감의 3이라는 숫자가 참으로 감이 세 명이었다는 의미가 아니라 다수, 혹은 무한의 수를 대표하는 수로 3을 언급한 것일 가능성을 제시했다.<ref name="sssh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