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극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생몰년 분류 수정
전문윤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이극배'''(李克培, [[1422년]] ~ [[1495년]] [[음력 6월 2일|6월 2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겸보(謙甫), 본관은 [[광주 이씨|광주]](廣州)이다. [[이인손]](李仁孫)의 장남이자 [[이세필]](李世弼)·[[이세광]](李世匡) 형제의 아버지이다.
{{공직자 정보
| 이름 = 이극배
| 원래 이름 = 李克培
| 출생일 = [[1422년]]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일 = [[1495년]] [[10월]] (74세)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 국적 = [[조선]]
| 별명 = [[호 (이름)|호]](號)는 우봉(牛峰)
| 종교 = [[유교]]([[성리학]])
| 자녀 = 이세필(장남)
| 정당 = [[훈구파]]
| 본관 = [[광주 이씨|광주]](廣州)
| 직책 = 前 [[조선|조선국]] [[의정부]] [[영의정]] 겸 [[섭정|섭정승]]
| 임기 = 1494년 12월 ~ 1495년 3월 20일
| 형제 = [[이극돈]](아우) <br/> [[이극균]](아우)
| 부모 = 이인손(부), 노씨 부인(모)
| 친인척 = 최유종(빙부) <br/> 이지직(친조부) <br/> 이장손(친백부) <br/> 이예손(친숙부) <br/> 노신(외조부)
| 군주 = [[조선 연산군|조선 연산군 이융]]
| 배우자 = 최씨 부인
| 학력 = 1447년 식년문과 급제
| 경력 = [[조선|조선 시대]] [[문신 (관료)|문관]] 겸 [[정치가]]
}}
'''이극배'''(李克培, [[1422년]] ~ [[1495년]] [[10월]])는 조선 전기의 문신 겸 정치가이며 시인이다. 본관은 [[광주 이씨|광주]](廣州)이며, 자는 겸보(謙甫), 호는 우봉(牛峰), 시호는 익평(翼平)이다. 그는 [[이극균]]의 형이기도 하다.
 
== 생애 ==
[[1447년]](세종 29) 식년 문과에 급제했으며<ref>『국조문과방목』</ref>, 병조좌랑(兵曹佐郞)으로 있을 때 판이병조사(判吏兵曹事) [[수양대군]](首陽大君)이 그를 눈여겨보았으므로, 수양대군이 세조(世祖)로 즉위한 후 추충좌익공신(推忠佐翼功臣)에 책록되었다.<ref name=a>『연산군일기』</ref>
1447년에 식년문과에 급제한 이후 승문원부정자, 사헌부지평, 사헌부감찰, 사헌부장령, 사헌부헌납, 사헌부정언을 거쳐 1449년, 병조좌랑 겸 형조좌랑이 되고 이어서 1457년, 예조참의와 경상도관찰사를 겸하고 병조참판, 예조참판, 집현전제학을 거쳐 1462년, 이조,예조,형조,병조의 판서를 거쳐 우참찬, 판중추부사, 영중추부사가 되고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다. 이후 [[1494년]] [[12월]]에서 이듬해 [[1495년]] [[3월 20일]]까지 영의정이라는 관직 신분으로 [[조선 연산군|연산군]]의 [[섭정]]을 3개월간 담당하였으며 [[1495년]] [[3월 20일]]을 기하여 영의정 겸 섭정 직위를 사퇴하였다. 그로부터 7개월 후 [[1495년]] [[10월]]에 향년 74세로 별세하였다.
 
[[1457년]](세조 3) 1월 판통례문사(判通禮門事)에서 예조참의(禮曹參議)로 승진해 당상관의 반열에 올랐으며, 7월 공조참의(工曹參議) 겸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로 옮겼다.
 
[[1459년]](세조 5) 광릉군(廣陵君)에 봉해지고 이후 병조참판(兵曹參判), 예조참판(禮曹參判) 겸 집현전제학(集賢殿提學), 경기도관찰사(京畿都觀察使) 등을 거쳐 [[1462년]](세조 8) 1월 이조판서(吏曹判書)가 되었다가 7월에는 형조(刑曹), 10월에는 예조(禮曹)로 옮겼다.
 
이듬해 3월 평안도도관찰사(平安道都觀察使)로 나갔다가 6월 아버지 [[이인손]](李仁孫)이 병을 얻은 것으로 인해 다시 광릉군에 봉해졌다.
 
[[1467년]](세조 13) 6월 병조판서(兵曹判書)가 되었다가 7월 [[이시애의 난]]으로 인해 군사를 거느리고 함길도(咸吉道)로 간 [[한계미]](韓繼美)를 대신해 평안도절도사(平安道節度使)를 임시로 맡았다.
 
[[1468년]](세조 14) 평안도관찰사(平安道觀察使)로 옮겼다가<ref>『세조실록』</ref>, 이듬해 우참찬(右參贊)으로 소환되었으며, 이후 병조판서, 좌참찬(左參贊)<ref>『예종실록』</ref>, 병조판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거쳐 [[1485년]](성종 16) 우의정(右議政)에 올랐다.
 
[[1493년]](성종 24) 영의정(領議政)으로 승진했으며<ref>『성종실록』</ref>, 이듬해 [[조선 연산군|연산군]](燕山君)이 즉위하자 나이를 이유로 여러 차례 치사(致仕)를 청한 끝에 또 그 이듬해 3월 치사를 허락받고 광릉부원군(廣陵府院君)에 봉해졌다.
 
동년 6월에 졸했으며, 익평(翼平)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향년 74세.<ref name=a/>
 
== 가족 관계 ==
* 증조부:증조 - [[이집]](李集, [[1327년]] ~ [[1387년]]) :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호는증(贈) 둔촌좌찬성(左贊成)
** 조부 - 이지직(李之直) : 형조우참의(刑曹右參議)·보문각직제학(寶文閣直提學), 증 영의정(領議政)
** 할아버지: 이지직(李之直), 이조참의, 호 탄천
*** 아버지: - [[이인손]](李仁孫), [[1395년]] ~ [[1463년]]) : 우의정(右議政), 충희공(忠僖公)
*** 백부: 이장손(李長孫, 1390 - 1429)
*** 어머니 - 별장(別將) 노신(盧信)의 딸<ref>『급고유고』 「광릉이씨세계」</ref>
**** 사촌: 이극규(李克圭, 병조참의, 대사헌)
**** 동생 - [[이극감]](李克堪, [[1423년]] ~ [[1465년]]) : 형조판서(刑曹判書), 광성군(廣城君), 문경공(文景公)
*** 숙부: 이예손(李禮孫, ? - 1459, 관찰사)
**** 동생 - [[이극증]](李克增, [[1431년]] ~ [[1494년]]) : 판윤(判尹), 광천군(廣川君), 공장공(恭長公)
**** 사촌: 이극기(李克基, 1426 - 1491, 참판)
**** 동생: - [[이극돈]](李克墩, [[1435년]] ~ [[1503년]]) : 좌찬성, 광원군(廣原君), 좌찬성익평공(翼平公)
**** 사촌: 이극견(李克堅, 통례원좌통례)
**** 동생: - [[이극균]](李克均), 광남군,[[1437년]] ~ [[1504년]]) : 좌의정(연산군左議政), [[갑자사화]]로 사사됨
*** 아버지: [[이인손]](李仁孫), 우의정
**** 부인 - 좌필선(左弼善) 최유종(崔有悰)의 딸<ref name=b>『씨족원류』</ref>
*** 어머니: 노신(盧信)의 딸
***** 장남 - 이세충(李世忠)<ref name=b/> : [[이정립]](李廷立, [[1556년]] ~ [[1595년]])의 고조
**** 동생: [[이극감]](李克堪)
***** 차남 - [[이세필]](李世弼, ? ~ [[1488년]]) : 호조참판(戶曹參判), 명에 사신으로 가다가 요동(遼東)에서 졸함
***** 조카: [[이세좌]](李世佐), 갑자사화로 화를 입었다.
***** 조카:3남 이세우- [[이세광]](李世匡) : 동부승지(同副承旨)
***** 조카:4남 이세걸- 이세주(李世)<ref name=b/>
***** 첫째 사위 - 홍효손(洪孝孫)<ref name=b/>
**** 동생: [[이극증]](李克增), 광천부원군, 우찬성
***** 둘째 사위 - 남정(南禎)<ref name=b/> : 사지(司紙)
**** 동생: [[이극돈]](李克墩), 광원군, 좌찬성
***** 셋째 사위 - 정해(鄭澥)<ref name=b/>
***** 조카: 이세전(李世銓, 부사)
 
***** 조카: 이세경(李世銓, 돈령부 첨정)
== 각주 ==
***** 조카: [[이세정]](李世貞, 1461 - 1529, 도승지,전라감사)
<references/>
**** 동생: [[이극균]](李克均), 광남군, 좌의정(연산군)
**** 부인: 최유종의 딸
***** 아들: 이세필(李世弼)
***** 아들: 이세광(李世匡)
 
{{전임후임|
줄 60 ⟶ 48:
{{영의정}}
{{우의정}}
{{토막글|조선|정치인}}
 
[[분류:1422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