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우장: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메이 (토론 | 기여)
자와 섬자와섬, 링크 고침. 갤러리 문법 고침.
75번째 줄:
[[태국]]·[[라오스]]의 '''까삐'''({{llang|th|กะปิ}}, {{llang|lo|ກະປິ}})는 [[남 프릭]]을 비롯한 여러 [[딥]]과 [[소스 (음식)|소스]]를 만들 때나, [[깽 솜]]을 비롯한 태국식 [[커리 페이스트]]를 만들 때 사용된다. [[캄보디아]]식 새우장인 '''까삐'''({{llang|km|កាពិ}})와 [[미얀마]]식 새우장인 '''[[응아삐]]'''({{llang|my|ငါးပိ}}) 또한 [[어원]]이 같다.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의 새우장은 '''블라찬'''({{llang|ms|l2=id|belacan}}) 또는 '''트라시'''({{llang|id|terasi}})라 불린다.<ref name="Kim">{{뉴스 인용|성=김석일|제목=[지구촌 맛순례] 싱가포르 스트리트 푸드와 ‘말레이 음식’|url=http://style.mk.co.kr/view.php?year=2017&no=662260|날짜=2017-10-05|확인날짜=2017-12-22|뉴스=[[매일경제]]}}{{깨진 링크|url=http://style.mk.co.kr/view.php?year=2017&no=662260 }}</ref> 말레이시아식 블라찬은 작은 [[젓새우상과|젓새우]]로 만들며, [[삼발]] 등 [[딥]]과 [[소스 (음식)|소스]]를 만들 때 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자와 섬자와섬|자와]] 요리에 트라시가 많이 쓰인다. 트라시는 주로 고형으로 판매되지만 가루 형태로 팔기도 한다.
 
[[필리핀]]의 새우장인 '''바구옹 알라망'''({{llang|tl|bagoong alamang}})은 생선 등으로 만든 다른 [[페이스트]]들과 함께 [[바구옹]]의 일종이다. 다른 지역의 새우장과 달리 필리핀의 바구옹 알라망은 그 속에 든 새우의 형체를 알아볼 수 있는 경우가 많다.
83번째 줄:
== 사진 갤러리 ==
<gallery>
파일:Drying shrimp paste.jpg|[[홍콩]]의 하고({{lang|zh-yue|蝦膏}})
파일:Mắm tôm.JPG|[[베트남]]의 맘 똠({{lang|vi|mắm tôm}})
파일:Kapi thailand.JPG|[[태국]]의 까삐({{lang|th|กะปิ}})
파일:Shrimp.paste-Belachan-01.jpg|[[말레이시아]]의 블라찬({{lang|ms|belacan}})
파일:Trassie Poeder.jpg|[[인도네시아]]의 트라시({{lang|id|terasi}}) 가루
파일:Philippine shrimp paste.jpg|[[필리핀]]의 바구옹 알라망({{lang|tl|bagoong alamang}})
파일:Raw ngapi.JPG|[[미얀마]]의 응아삐({{lang|my|ငါးပိ}})
파일:Petis.JPG|[[인도네시아]]의 프티스 우당
</gall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