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성 정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가 주어지면, 그 계수로부터 다음과 같은 [[생성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math>f(\tau,E)=\sum_{n=1}^\infty a_n\exp(2\pi in\tau)</math>
그렇다면, 모듈러성 정리에 따라서 <math>f</math>는 무게(weight)가 2이고 준위(level)가 ''N''인 [[모듈러 형식]]이다. 또한, 이 모듈러 형식은 모든 [[{{임시링크|헤케 연산자]]|en|Hecke operator}}에 대한 고유 형식이다.
 
== 역사 ==
19번째 줄:
1986년 게르하르트 프라이(Gerhard Frey)가 모듈러성 정리(당시 다니야마-시무라 추측)을 사용하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할 수 있을 수 있다고 추측하면서,<ref>{{저널 인용 | last=Frey | first=Gerhard | title=Links between stable elliptic curves and certain Diophantine equations | mr=853387 | year=1986 | journal=Annales Universitatis Saraviensis. Series Mathematicae | issn=0933-8268 | volume=1 | issue=1 | pages=iv+40}}</ref> 이 추측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1995년 [[앤드루 와일스]]와 [[리처드 로런스 테일러]]가 준안정(semistable) [[타원곡선]]에 대하여 모듈러성 정리를 증명하였다.<ref>{{저널 인용 | last=Wiles | first=Andrew | authorlink=앤드루 와일스 | title=Modular elliptic curves and Fermat's last theorem | jstor=2118559 | mr=1333035 | year=1995 | journal=Annals of Mathematics (2nd series) | issn=0003-486X | volume=141 | issue=3 | pages=443–551}}</ref><ref>{{저널 인용 | last=Taylor | first=Richard|저자링크=리처드 로런스 테일러 | 공저자=[[앤드루 와일스|Andrew Wiles]] | title=Ring-theoretic properties of certain Hecke algebras | doi=10.2307/2118560 | mr=1333036 | year=1995 | journal=Annals of Mathematics (2nd series) | issn=0003-486X | volume=141 | issue=3 | pages=553–572 | 언어=en}}</ref> 이를 사용하여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 와일스의 증명을 기반으로 하여, [[{{임시링크|프레드 다이아몬드]]({{llang|en|Fred Diamond}}), [[{{임시링크|크리스토프 브뢰이]]({{llang|fren|Christophe Breuil}}), [[{{임시링크|브라이언 콘래드]]({{llang|en|Brian Conrad}}), [[리처드 로런스 테일러]]가 모듈러성 정리 전체를 증명하였다.<ref>{{저널 인용 | last=Diamond | first=Fred | title=On deformation rings and Hecke rings | doi=10.2307/2118586 | mr=1405946 | year=1996 | journal=Annals of Mathematics (2nd series) | issn=0003-486X | volume=144 | issue=1 | pages=137–166|언어=en}}</ref><ref>{{저널 인용 | last=Conrad | first=Brian | 공저자=Fred Diamond, [[리처드 로런스 테일러|Richard Taylor]] | title=Modularity of certain potentially Barsotti-Tate Galois representations | doi=10.1090/S0894-0347-99-00287-8 | mr=1639612 | year=1999 | journal=Journal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 issn=0894-0347 | volume=12 | issue=2 | pages=521–567|언어=en}}</ref><ref>{{저널 인용 | last=Breuil | first=Christophe | 공저자=Brian Conrad, Fred Diamond, [[리처드 로런스 테일러|Richard Taylor]] | title=On the modularity of elliptic curves over '''Q''': wild 3-adic exercises | doi=10.1090/S0894-0347-01-00370-8 | mr=1839918 | 날짜=2001 | journal=Journal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 issn=0894-0347 | volume=14 | issue=4 | pages=843–939 | 언어=en}}</ref><ref>{{저널 인용 | last=Darmon | first=Henri | title=A proof of the full Shimura-Taniyama-Weil conjecture is announced | url=http://www.ams.org/notices/199911/comm-darmon.pdf | mr=1723249 | year=1999 | journal=Notice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 issn=0002-9920 | volume=46 | issue=11 | pages=1397–1401|언어=en}}</ref>
 
== 참고 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