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 차륜직경 =
| 기동가속도 = 3.0
| 영업최고속도 = 9080
| 설계최고속도 = 100
| 감속도 = 3.5(상용), 4.5(비상)
41번째 줄:
| 궤간 = 1,435
| 구동장치 = [[농형 3상 유도전동기]]<ref>ABB MJA 260-1형, 정격출력: 200kW, 단자전압: 1,170V, 정격전류: 135A, 회전수: 2,100rpm</ref>
| MT비 = 4M 4T
| 보안장치 =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C]]/[[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 [자동/수동겸용]
| 구동방식 =
47번째 줄:
| 설계사 =
| 제작사 = [[현대모비스|현대정공]], [[현대로템]], [[우진산전]]
| 제작연도 = [[1994년]]: 501~514<br/>[[1995년]]: 515~550<br/> [[1996년]]: 551~576<br/>[[2017년]]: 577<br/>[[2018년]]: 578~580<br/>[[2020년]]: 신 501~507502<br/>[[2021년]]: 신 508503~
| 운영회사 = [[서울교통공사]]
| 생산량 = 88개87개 편성 704량696량
| 사용량 = 79개 편성 632량
| 도입단가 =
136번째 줄:
 
== 도입 역사 ==
=== 1차분 (501 ~ 546편성, 1994년1994. 9 9월~1995년 11월1995. 11) ===
'''501~527편성'''은 [[1995년]] [[11월 15일]] 강동 구간과 [[1996년]] [[3월 30일]] 마천지선 개통, '''528~546편성'''은 [[1996년]] [[3월 20일]] 강서 구간 개통에 대비하여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에는 객실 측면 유리창이 2열 1/3정도가 열리는 상부개폐식 방식이었으나 불연성 내장재 교체 작업과 동시에 노약자석 창문을 제외한 나머지 객실 창문이 복층 통유리로 교체되었다. 차량 전면의 LED 행선 안내 표시기가 후기형에 비해 작다. 501~521편성은 일본국유철도 205계 전동차의 영향을 많이 받은 당시 철도청과 서울지하철공사 차량과 마찬가지로 차체가 2톤 스테인리스였으나 522~546편성은 차량 전체를 유광 스테인리스로 통일하였다. [[2010년]] 538편성에 고객안전을 위해 객실 내 CCTV를 시범 설치하여 운영 중이다. [[2011년]] [[12월 15일]]에 502편성의 추진제어장치가 인피니온 라이센스 다원시스 2레벨 IGBT(1C4M)으로 개조되었으나, 기존 차량보다도 못한 결과를 초래하며 추가 개조 계획은 백지화되었다. [[2017년 3월]] 경에는 501편성 5101호의 전조등이 LED로 교체되었다. 구 518편성은 [[2017년]] [[2월]] 경 대차 및 주요 부품 결함에 의해 휴차되었고, [[2020년]] [[5월]] 고덕차량기지에서 방화차량기지로 568편성에 의해 회송을 하던 중 발산역에서 2량(5318, 5518)이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새벽 시간이라 부상자는 없었으나, 앞의 4량은 568편성에 의해 회송하였고, 뒤의 4량을 567편성이 뒤에서 미는 방식으로 회송하던 중 2차 탈선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오전 내내 방화 ~ 화곡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었고, 이 구간에 셔틀버스를 투입, 운행하였으며, 이 사고로 발산역 스크린도어가 파손되어 현재 교체되었고, 518편성은 현재 폐차되었다. 529편성은 [[2018년]] [[6월]] 경 5029호 부품 화재에 의해 사용 불가능이 되자, 5018호와 조성을 변경하여 재운행 중이다.
 
=== 2차분 (547 ~ 576편성, 1995년1995. 12 12월~1996년 7월1996. 8) ===
* '''제작:''' [[현대로템|현대정공]] 창원공장
[[1996년]] [[8월 12일]] 영등포 구간과 [[12월 30일]] 전 구간 완전 개통을 대비하여 도입되었다. 도입 당시부터 개폐가 되지 않는 복층 통유리(노약자석 부분 제외)를 적용하였고, 차량 전면 행선 안내 표시기가 전기형에 비하여 커져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전류계의 현시 방법(1차 반입분의 경우 최대 수치를 현시, 2차분 차량의 경우 평균치를 현시) 등 기술적으로도 자잘한 부분들이 개선되었으나, 1차분 차량에 비해 눈에 띄게 변화된 부분은 없다. 566편성은 [[2017년]] [[8월]] 경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핵심 부품 노후화로 폭발한 이력이 있다.
 
=== 3차분 (577 ~ 580편성, 2017년2017. 12 12월~2018년 3월2018. 3) ===
* [[현대로템]] 창원공장
*도입: [[2018년|2018.]] [[5월 1일|5. 1]](화) ~ [[2018년|2018.]] [[7월 9일|7. 9]](월)
150번째 줄:
577~580편성은 [[서울시메트로9호선 9000호대 전동차]]와 달리 현대로템 전동차 특유 두꺼운 창틀이 사라졌고, 운전실 전용 냉방기가 설치되었다. 전면부에 비상문 설비 공간이 있으나 장착되지 않은 점이 단점이다.
 
추진제어장치는 VVVF-IGBT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중 214, 232~238, 256, 273~284, 293편성,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 중 466, 470~471편성,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중 101~110, 112~116, 118, 120~121편성 등과 동일한 구동음이다.
 
=== 4차분 (신 501 ~ 525편성, 2020년2020. 12 6월~ 2022년2022. 6월6) ===
* 제작: '''[[우진산전]]''' '''증평공장'''
*도입: [[2021년|2021.]] [[3월 22일|3. 22]](월) ~ 진행 중
167번째 줄: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굵은 글씨'''로 표시하였다.
 
=== 5호선 차량 1차분1~3차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178번째 줄:
|'''503 편성'''|| rowspan="44" |[[1995년]]||운행 중||
|-
| '''504 편성'''||운행 중|
|
|-
|'''505 편성'''||운행 중
||
|-
|'''506 편성'''||운행 중
||
|-
|'''507 편성'''||운행 중|
|
|-
|'''508 편성'''||운행 중|
|
|-
|'''509 편성'''||운행 중
||
|-
|'''510 편성'''||운행 중|
|
|-
|'''511 편성'''||운행 중|
|
|-
|'''512 편성'''||운행 중|
|
|-
|'''513 편성'''||운행 중||
줄 204 ⟶ 213:
|'''516 편성'''||운행 중||
|-
|'''517 편성'''||운행 중||5117호에 선로검측장치가 있다.
|-
|518 편성||[[2017년]]||대차 균열 및 [[2020년]] [[5월 24일]] 고덕기지에서 방화기지로 회송도중 [[5호선 발산역 탈선 사고|발산역 탈선사고]]에 의해 영구 휴차되었고, [[2021년]] 부품용으로 폐차되었다.
줄 263 ⟶ 272:
|-
|'''546 편성'''||운행 중||
|-
|}
 
=== 5호선 차량 2차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width="50"|차호!!width="75"|도입 시기!! width="90" |운행 중단 시기!!비고
|-
|'''547 편성'''||rowspan="30"|[[1996년]]||운행 중||
줄 330 ⟶ 332:
|-
|'''576 편성'''||운행 중||
|-
|}
 
=== 5호선 차량 3차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width="50"|차호!!width="75"|도입 시기!! width="90" |운행 중단 시기!!비고
|-
|'''577 편성'''|| rowspan="4" |[[2018년]]||운행 중||
줄 348 ⟶ 343:
|}
 
=== 5호선 차량 4차분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85%;text-align:center;"
|-
!width="50"|차호!!width="75"|도입 시기!!width="90"|운행 중단 시기!!비고
|-
|501 편성|| rowspan="87" |[[2021년]]||시운전 중|| rowspan="87" |자전거 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다.
|-
|502 편성||시운전 중
줄 365 ⟶ 360:
|506 편성||시운전 중
|-
|507 편성|
|시운전 중
|-
|''508 편성||시운전 중''
|509 편성|| rowspan="1718" |[[2021년]] ~ [[2022년]](예정)|| rowspan="9" |도입 예정||
| rowspan="818" |제작도입 예정||
|-
|-
|''509 편성''
|509 편성|| rowspan="17" |[[2021년]] ~ [[2022년]](예정)|| rowspan="9" |도입 예정||
|}
|-
|''510 편성||''
|-
|-
|''511 편성||''
|-
|-
|''512 편성||''
|}
|-
|''513 편성||''
|-
|-
|''514 편성||''
|
|-
|''515 편성||''
|
|-
|''516 편성||''
|
|-
|''517 편성''|
|
|-
|''518 편성''
|
| rowspan="8" |제작 예정||
|-
|''519 편성''|
|
|-
|''520 편성''|
|
|-
|''521 편성''|
|
|-
|''522 편성''|
|
|-
|''523 편성''|
|
|-
|''524 편성''|
|
|-
|''525 편성''|
|
|}
 
줄 412 ⟶ 427:
=== 고덕기지 소속 528~536편성, 방화기지 소속 537~576, 고덕기지 소속 577~580편성 ===
[[현대정공]]과 [[현대로템]]이 소재한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선]] [[신창원역]]에서 [[경전선]], [[경부선]],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경유 [[신설동역]] 지하 3층에 위치한 연결선을 거쳐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과 [[성수역]]에서 내선 ([[건대입구역]] 방면)을 경유하여 [[신도림역]]으로 이동하였다. 이후 [[신도림역]]에서 2호선 [[신정지선]]을 거쳐서 [[신정네거리역]]과 [[까치산역]] 사이에 있는 연결선을 통하여 528~576편성은 [[방화차량사업소]]로, 577~580편성은 [[고덕차량사업소]]로 운송되었다. 다만, 528~538편성은 [[1996년]] [[12월 30일]] 전 구간 개통 이후 고덕차량기지 소속이 되었다. 이후 537~538편성은 하남선 구간 개통 이후 [[방화차량기지]] 소속이 되었다.
 
=== 신 501 ~ 525 편성 ===
[[우진산전]] 증평공장과 오창공장에서 [[경전선]], [[경부선]], [[서울지하철 1호선]]을 경유, [[신설동역]] 지하 3층에 위치한 연결선을 거쳐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과 [[성수역]]에서 내선 ([[건대입구역]] 방면)을 경유하여 [[신도림역]]으로 이동하였다. 이후 [[신도림역]]에서 2호선 [[신정지선]]을 거쳐서 [[신정네거리역]]과 [[까치산역]] 사이에 있는 연결선을 통하여
[[고덕기지]]로 반입되었다
( 현시점 501 ~ 508편성 반입완료, 509 ~ 525 편성은 도입예정 )
 
== 문제점 ==
=== 소음 ===
[[5호선]] 전동차는 대차에 세브론 고무를 사용하고 있는데, 세브론 고무를 사용하는 대차는 차륜의 [[사행동]](蛇行動, {{lang|en|snake motion}})에 대비하여 안티롤링 장치 등을 설치하여 [[사행동]]을 방지하여야 하나 이것을 설치하지 않아 차륜 및 대차의 [[사행동]]으로 인해 주행 소음이 더 심한 편이다.<ref>이후 [[1997년]]~[[1998년]]과 [[2001년]]에 제작되어 [[부산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중인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도 [[서울 지하철 5호선]]과 같은 방식의 대차를 사용하는데, 곡선 주행소음이 다른 차량에 비해 매우 심하다.</ref>
 
특히, 5호선은 노선의 특성상 곡선반경 250m 이내의 곡선과 하저터널에 의한 급구배 구간이 잦고 전 구간이 콘크리트 도상으로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주행소음의 난반사가 심해 특정 구간의 주행소음은 서울 시내 지하철 전 구간을 통틀어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측에서는 방음 패드 등을 사용하는 등의 대책을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