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 리키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BULLET.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S.BULLET.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초기 이력==
[[미야기 현]] 출신으로 1904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16기로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하였다. 다시 [[1925년]] 장교의 출세코스인출세 코스인 [[일본 육군대학]]을 26기로 졸업하였다. 1925년부터[[1925년]]부터 1927년까지[[1927년]]까지 안도는 [[영국령 인도에인도]]에 주재무관으로 파견되었고, 돌아와 육군 참모부에서 근무하였다. 1928년에는 제13 보병제13보병 연대장을 역임하였고, 1930년에는 제5사단의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1931-1932년에는[[1931년]]~[[1932년]]에는 다시 참모부로 돌아왔고 소장으로 승진하여 일본 육군성의 병무과장에 임명되었다. 1932-1934년에는[[1932년]]~[[1934년]]에는 영국에[[영국]]에 주재무관으로 파견되었다. 일본에 귀국하여 도야마 육군보병학교의 교장이 되었고, 이후 중장으로 승진하였다. 이후에도 여러 후방직과 야전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세계 대전==
[[1940년]] 남지나방면군 사령관에 임명되어 중국의 최남단인 [[광시 성]]에 주둔하고 있었다. 이때 정부허가를정부 허가를 받지 않고, 유럽에서 독일에게[[나치 독일]]에게 항복하여 외부에 신경쓸 겨를이 없던 프랑스의[[프랑스]]의 식민지였던 [[베트남]]에 진주하였다. 원래 방침은 무력사용무력 사용 없는 진주였으나, 참모본부의 제1부장이었던 [[도미나가 교지]] 소장이 독단으로 무력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침략 행위는 미국과[[미국]]과 외교적 마찰을 야기하여 미국은[[미국]]은 일본에[[일본]]에 대해 석유금수조치와 자산동결조치를 취했다. 안도는 이에 책임을 지고 1941년 1월에 예편처분 되었다.
 
그러나 11월에 다시 현역으로 재소집되어 대장으로 승진하였고, [[타이완]]군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44년에는 타이완군이 개편된 제10방면군의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일본이 필리핀에서 패퇴한 이후([[레이테 해전]]) 타이완의 안보가 위험해지자, 12월 30일, 군사령관인 그가 [[타이완 총독을총독부|타이완 총독]]을 겸임하게 되었다.
 
==종전 이후==
일본의 항복 이후 그는 최후의 타이완 총독으로서 중국과[[중국]]과 대만에[[타이완]]에 주재하던 일본인의[[일본인]]의 본토 송환에 노력하였다. 그 이후 대만에서타이완에서 [[중화민국]]에 항복하였고, [[상하이]]로 압송되었으나, 감옥에서 음독자살하였다음독 [[자살]]하였다. 중국측에 의해 독살되었다는 설도 있다.
 
{{전임후임|
|전임자= [[하세가와 기요시]]
|후임자=없음
|임기=[[1944년]] [[12월]] ~ [[1945년]] [[10월]]
|대수=19
|직책=[[타이완 총독부|타이완 총독]]
}}
[[분류:1884년 태어남]]
[[분류: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군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