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5,604
번
(→계통과 역사) |
편집 요약 없음 |
||
}}
[[파일:Hindustani map.png|섬네일|힌디어 방언의 분포]]
'''힌디어'''({{lang|hi|हिन्दी}}, {{llang|en|Hindi}})는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영어와 함께 [[1965년]] [[1월 26일]] 이후로 [[인도]]의 [[인도의 국가언어 목록|공용어]]이다. 힌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인다. 힌디어와 [[우르두어]]는 많은 언어학자들에게 같은 언어로 간주되고 있으며, 힌디와 우르두어 외의 다른 방언들까지 포괄하는 말로 [[힌두스타니어]]라는 표현도 쓰인다. 힌디와 우르두의 근본적인 차이는 힌디가 [[산스크리트어]]에서 기원한 단어들을 차용해서 쓰는 데 비해 우르두가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어휘를 많이 빌려다 쓰며,
== 명칭 ==
‘힌디어’는 [[국립국어원]]의 표기로, 힌디어에서 그 자신을 이르는 말 ‘힌디’에서 왔다. 민족이나 지역 이름 뒤에 ‘-어(語)’를 붙이는 다른 언어 이름의 규칙에 맞지 않아 ‘힌두어’라는 말을 쓸 수 있지만, ‘힌두’는 [[힌두교]]를 믿는 사람을 아울러 부르는 말이며 특정 지역이나 민족을 나타내는 말이 아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 계통과 역사 ==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에 분류된다. 인도 국내와 [[파키스탄]]에서 사용되는 [[우르두어]]와는 기본적인 어휘와 문법이 거의 일치하며, 언어학적으로 동일한 언어의 변종이다. 역사적으로 [[산스크리트어]] 고전 언어로 [[아랍어]], [[페르시아어]] 계의 어휘가 매우 많이 참여해 성립한 [[힌두스탄어]]가 힌두어의 전신이며, 19세기 경에 우르두어와 불완전하게 분화하였다. 우르두어가 [[이슬람교]] 문화권의 영향으로 더 많은 아라비아어, 페르시아어 계의 고급 어휘를 도입한 반면, 힌디어는 일부 고급 어휘를 산스크리트어 유래의 단어들로 채워 성립하였다. 그러나 정치적, 종교적인 상황을 제외한 일상 생활에서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서민은 서로 말이 거의 일치한다. 또한 힌디어는 [[인도식 영어]]의 영향도 받았다.
힌두어를 인도 전역에서 통일된 공용어로 만들고자 하는 움직임도 있지만, 완전히 다른 어족인 남부의 [[드라비다어족]] 등 다른 계통의 언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인구가 많아 반발이 있다.
== 방언 ==
*[[서부 힌디어]] : 힌디어 주요 방언 중 하나이다.
▲[[동부 힌디어]] : 힌디어 주요 방언 중 하나이다. 정통 힌두어로되어 있으며, 우타르 프라데시 주를 중심으로 화자 인구도 많다.
▲[[서부 힌디어]] : 힌디어 주요 방언 중 하나이다. 동쪽 힌두어보다 화자 인구는 적지 만, 수도 뉴 델리를 포함한 지역에서 말한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작지 않다.
== 문자 ==
=== 데바나가리
{| class="wikitable"
|+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