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Hank2530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Hank2530(토론)의 30636519판 편집을 되돌림
3번째 줄:
{{군주주의}}
[[파일:Louis XIV of France.jpg|300px|섬네일|right|[[프랑스]]의 [[루이 14세]]. 많은 사람들이 절대주의의 상징으로 본다.<ref>{{웹 인용|url= http://www2.sunysuffolk.edu/westn/absolutism.html|제목= French Absolutism (프랑스 절대군주제)|확인날짜= 2010-03-29|형식= |웹사이트= SUNY Suffolk history department|보존url= https://web.archive.org/web/20100124100916/http://www2.sunysuffolk.edu/westn/absolutism.html#|보존날짜= 2010-01-24|url-status= dead}}</ref>]]
'''절대주의'''(絶對主義, Absolutism)는 군주가 절대적인 권한을 행사하는 정치 체계를 일컫는 말로, [[전제 정치]]의 한 형태이다. 초기 [[자본주의]] 시대를 특색지어 주는 독재정치 형태이다.
 
==개요 ==
이 시대는 [[봉건제]] 아래 커다란 토지를 가지고 있었던 [[영주 (작위)|영주]]의 힘이 점점 약해지고 농업이나 공업에서 생산을 하던 [[부르주아]]적 계층이 힘을 키우고 있었다. 국왕은 봉건 영주의 약체화에 대응하여 그들이 소유하고 있던 농민 수탈의 여러 권리를 자기 수중에 집중화(集中化)시키고집중화시키고 중앙집권적 체제를 구축하면서 [[국민국가|국민적 통일국가]]의 실현을 꾀하고 있었다.
 
국왕은 자기 권력을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하여 팽대(膨大)한 [[관료제|관료 기구]]와 국왕 직속의 [[상비군]]을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이것은 거액의 경상비를 필요로 했다. 이 비용은 왕의 광대한 영토로부터의 수입, 중앙집권화된 지대(地代)로서의 지조(地租), 그 위에 신흥 시민계급인 상인·공업인에 부과한 세수입에 의하여 잘 처리되었다.
14번째 줄:
경제발전은 궁정을 중심으로 한 국왕의 생활을 점점 사치스럽게 하고 여기에 더하여 국왕의 위세(威勢)를 보이기 위해 되풀이되는 대외전쟁은 국가 재정을 핍박하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한때 국왕의 권력은 봉건적 세력에 의해서도 제한되지 않고, 시민계급 또한 왕권을 통제할 정도의 실력을 가질 수 없었기 때문에 왕권은 전국민적 이해(利害)를 대표한 듯이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도기적 성격이 절대왕제(絶對王制)와절대왕제와 [[전제주의]](專制主義) 일반을 명확히 구별해 준다.
 
== 프랑스의 절대주의 ==
33번째 줄:
국내 질서의 재건으로 도망농민의 귀환을 강화하고 농민의 영주(領主)에 종속성(從屬性)을 굳혀 사족계급의 권리가 강화되었다. 이러한 농노제(農奴制)의 재편성 강화는 1662년의 모스크바 민중 반란이나 1770년대의 [[스텐카 라진]] 대반란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이 반란이 진압되자 차리즘(Tsarism)은 다시 강화되고, [[미하일 1세 (러시아)|미하일 1세]]의 아들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알렉세이]]의 만년이 되면 전국회의(全國會議, Zemckii Sobor, 젬스키 소보르)의 소집은 차차 적어지고 군주권은 강화되었다. 사족계급과 유산층도 확실히 세력을 강화하고, 특히 사족계급 출신 지사(知事)를 중심으로 지방 권력의 이행(移行)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절대왕제의 강화와 중앙 행정기구의 재편성이 진척되었다.
 
== 같이 읽기각주 ==
{{각주}}
* [[계몽절대주의]]
* [[전제 정치]]
 
== 참고 자료 ==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각주같이 보기 ==
* [[계몽절대주의]]
{{각주}}
* [[전제 정치]]
 
{{권위주의적 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