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목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동음이의 링크
5번째 줄:
=== 수렵 채집형 유목민 ===
유목 생활은 농경 생활의 다음으로 나타난 발전된 생활 수단이다. 유목민과 농경민을 마치 민족처럼 나누는 것은 잘못된 것으로 유목을 마치 농경보다 야만적인 생활 방식으로 이야기 하는 경우가 있는데 유목은 오히려 농경보다 나중에 생긴 발전된 생활 양식이며 농경을 주로 하는 농경민족도 귀족층은 유목적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원래 농경민들이 생활 방식을 유목민으로 발전한 것이다. 유목민들은 말을 타고 고귀하게 행동하였으며 유목민들도 농경 생활을 어느정도 하거나 노예들을 사용하여 농경을 한 적이 많다. 중국의 경우 청나라 시절 만주족과 한족의 인구는 비슷하였다. 하지만 1930년 이후 중국에서 족보가 없던 인구 80%의 농민들이 한족에 편입되어 한족의 인구가 많아졌다.
중국 학계에선 [[환경]]의 생활방식의 일부분일 뿐인 것을 마치 민족을 유목민족, 농경민족으로 나눠 한국과 일본도 농경민족으로 나누는 [[동북공정]]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많은 민족들이 농경을 하다가 유목으로 발전하였고 이후 다시 정주하며 농경을 한 적이 많기 때문에 생활방식으로 농경민족, 유목민족 농경국가, 유목국가로 나눌 수가 없다. 또한 한국이나 일본도 농경생활이 퍼졌지만 귀족층은 [[소작]]을 하지 않고 유목적 생활을 하였다. 또한 선비족, 투르크, 퉁구스는 지역에 따라 농경생활을 하는 자들도 있었다. 하지만 현재 몽골공화국의 경우 농경지 부족으로 유목을 주로 하고 있어 이들이 역사적으로 유목만 하였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정주하여 농경을 하게 된 민족이라고 해도 귀족층은 유목적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유목민족, 농경민족을 마치 다른 민족으로 나누는 것은 잘못된 중국 학계의 방법이다.
 
[[계절]]에 따라 먹을 수 있는 [[식물]]을 찾거나 사냥감을 찾아 떠나는 것이다. 목축형 유목민은 [[소]]와 [[양]] 같은 [[짐승]] 떼들을 길러 그 짐승들과 이주한다. 한 지역에서 오래 머물면 [[목초]]가 다시 자라날 수 없을 정도로 고갈되기 때문이다. 소요형 유목민은 산업화 국가에서 흔하다. 이 사람들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장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