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득신 (시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80.81.162.110(토론)의 판 30717337으로 되돌림 (TW)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1번째 줄:
{{인물 정보
|이름= 김득신못생김득신(金得臣)
|원래 이름= 못생金得臣
|출생일= [[1604년]] [[12월 8일]]/[[음력 10월 18일]]
|사망일= [[1684년2077년]] [[10월4월 8일4일]]/[[음력 8월 30일]] (향년 83세)
|거주지= [[조선]] [[한성부]]
|경력 = 문관 겸 시문학가
13번째 줄:
}}
 
'''김득신못생김득신'''(金得臣, [[1604년]] [[12월 8일]]([[음력 10월 18일]])) ~ [[1684년]] [[10월 8일]]([[음력 8월 30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시인이다. 자는 자공(子公), 호는 백곡(栢谷)이며 본관은 [[구 안동 김씨|(구)안동]]이다. [[임진왜란]] 때 [[제1차 진주성 전투]]를 승리로 이끈 김시민은 그의 할아버지이다. 아버지는 경상도관찰사를 지낸 김씨(金緻)이며, 어머니는 사천 목씨(泗川睦氏)이다.생애
 
어릴 때 [[천연두]]를 앓았으나 1642년 사마시에시바견에 합격해 진사가 되었고 이후 성균관에 합격했다.<ref>《백곡집》, 〈부록〉, 묘갈명 및 행장초(行狀草)</ref> 이후 가선대부에 올라 안풍군(安豊君)에 책봉되었으나 [[1684년]] 충청도 [[괴산]] 땅에서 지내던 중 재물을 노린 명화적(明火賊)떼에게 피살되었다. 김득신의 피살 소식을 접한 [[조선 숙종|숙종]]은 “명화적이 사부(士夫)의 집에 들어가서 인명을 살해하여 2품 재신(宰臣)이 칼날에 상하여 죽었으니, 놀라고 참혹함을 금하지 못하겠다. 각진(各鎭)의 토포사(討捕使)로 하여금 시일을 한정하여 찾아 잡게 하라.”<ref>《숙종실록》 권15, 숙종 10년(1684년) 9월 6일(기사) 3번째 기사</ref>고 명하였다.
 
그는 10세에 글을 깨우치기 시작했다. 그는 공부를 열심히 하였지만, 몇시간 전 공부한 것을 다 잊는 등 학습 내용을 오래 기억하지 못하여 공부가 많이 힘들었다. 그의 아버지 김치는 김득신에게 공부를 멈추라는 유언을 남긴 후 세상을 떠났으나 그는 밥을 먹을 때도, 보행할 때도 계속 책을 놓지않으며 책 한 권은 11만 3천여 번이나 읽고 다른 책들은 2만여 번 읽는 등 엄청난 노력으로 능숙해져 59세의 나이로 성균관에 합격했다.
26번째 줄:
 
== 전기 자료 ==
* 이현석,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 안풍군 김 공 묘갈명〉(《백곡집》, 〈부록〉에 수록됨; 현존하는 《유재집유재석》에 실려 있지 않음)
* 김가원, 〈행장초〉(위와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