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인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자열 변경 ( 를 → 를 )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자열 변경 ( 으로 → 으로 )
91번째 줄:
첫 번째 주장은 본 영화가 가장 미국적인 영화 중 하나라는 점이었다. 그 이유는 미국을 대표하는 정신 중 하나인 '합리적 개인주의'가 조지 베일리라는 인물을 통해 영화 속에서 잘 구현되었기 때문이라고 그는 설명하였다. 그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는 바와 달리, 조지는 단순히 남들을 위해 희생하는 이타적 인물이 아닌 본인의 장기적 이익을 생각할 줄 아는 인물이다. 신혼여행 자금을 자신의 사업을 유지하는 데에 사용한 것은 단순히 희생적인 행동이 아닌, 본인의 장기적인 효용을 고려해볼때도 합리적인 판단이었다는 것이다. 또한 주식시장의 위기로 불안감에 휩싸인 마을 주민들이 예금을 상환 받으려고 할 때도 조지는 단순히 사람들의 인정에 호소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들이 예금을 유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미래의 이익을 설명함으로써 설득하는데, 이러한 모습이 미국인의 합리적 개인주의를 잘 드러낸다고 그는 설명하였다.
 
두 번째로 그는 본 영화가 사회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로서 개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역설함과 동시에 조지 베일리라는 인물을 통해 아메리칸 드림이 무엇인지 잘 그려냈다고 주장하였다. 그에 따르면 실제로 본 영화가 개봉된 후 Frank Capra 감독은 '개인'의 힘과 의지의 중요성이야말로 본 영화의 주제라고 밝혔으며, Frank Capra 감독이 아메리칸 드림 (강한 의지를 통해 고난을 극복하고 middle class American 으로American으로 거듭나는) 에 이끌려 미국으로 건너온 1세대 이탈리아 이민자라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고 주장하였다. 동시에 영화 속에서 조지는 유럽여행을 포기할 때도, 동생 대신 계속 가업을 잇게 되었을 때도, 자신의 보다 크고 지속적이며 고차원적인 가치를 위해 눈앞의 즐거움을 유예한 강한 의지의 인물로 묘사되었는데, 이는 강한 의지로 고난을 극복하고 결국 사회적으로 성공하는, 아메리칸 드림을 이뤄낸 인물의 표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또한 Frank Capra 감독과 조지 베일리 역을 맡은 주연배우 Jimmy Stewart가 굳이 그럴 의무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2차 세계대전 당시 자발적으로 나서서 각각 propaganda 영화제작자로, 그리고 공군 파일럿으로서 국가에 헌신한 사실이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단위인 개인의 중요성" 이라는 감독이 밝힌 본 영화의 주제에 진정성을 제공한다고 Robert L. Jones는 서술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