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의 변증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자열 변경 (] 는 → ]는 )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자열 변경 (]] 의 → ]]의 )
1번째 줄:
'''《계몽의 변증법》''' ( {{Lang-de|Dialektik der Aufklärung}})은 [[프랑크푸르트 학파]] 철학자 [[막스 호르크하이머]]와 [[테오도어 아도르노|테오도르 W. 아도르노가]] 쓴 [[철학|철학과]] [[사회 평론|사회평론]] 작품이다. 1947년에 출판된 이 텍스트는 원래 저자들이 1944년에 '''''철학적 단편''''' ( {{Lang-de|Philosophische Fragmente}} )으로 있던 것의 개정된 것이다. <ref>{{저널 인용|제목='Language, Mythology, and Enlightenment: Historical Notes on Horkheimer and Adorno's Dialectic of Enlightenment.'|저널=Social Research|성=Schmidt|이름=James|날짜=1998|권=65|호=4|쪽=807-38 (p.809)}}</ref>
 
[[비판 이론]]의 핵심 텍스트 중 하나인 《계몽의 변증법》''은'' [[프랑크푸르트 학파]]가 [[계몽시대]] 실패로 간주했던 사회 심리적 ''현상'' 을 탐구한다. 아도르노의 ''권위'' 주의적 성격(1950), 프랑크푸르트 학파인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의 ''[[일차원적 인간]]'' (1964)과 함께 20세기 철학, 사회학, 문화,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1960년대와 1970년대 [[신좌파]]에게 영감을 주었다. <ref name=":0">Held, D. (1980). ''Introduction to Critical Theory: Horkheimer to Habermas''.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ref>
 
[[비판 이론]]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사회적 지배 의 궁극적인 근원 또는 기초에 관한 특정한 양가성이다.
19번째 줄: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계몽"의 과정에서 현대 철학이 지나치게 합리화되고 [[기술관료제|기술]] 지배의 도구가 되었다고 믿다. [[빈 학파|그들은 비엔나 서클]] [[논리실증주의|의 논리적 실증주의]] 와 이 운동과의 연속성에서 본 광범위한 경향을 모두 언급하는 [[실증주의]] 로 이 과정의 절정을 특징짓다. <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xZ5yDgAAQBAJ|제목=The Myth of Disenchantment: Magic, Modernity, and the Birth of the Human Sciences|성=Josephson-Storm|이름=Jason|날짜=2017|출판사=[[University of Chicago Press]]|위치=Chicago|쪽=244–5|isbn=978-0-226-40336-6}}</ref>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은 너무 광범위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들은 특히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을 실증주의자로 ''[[논리철학 논고|해석하고(당시 그의 후기 작품이 아닌 논리철학 논고]]'' [[분석철학|만 출판되었음), 분석철학]] 내에서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을 조사하지 못한 점에 대해 비판을 받다. <ref>{{하버드 인용 본문|Josephson-Storm|2017}}</ref>
 
이 역사를 특징짓기 위해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노동경제학|"노동]] "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마르크스의 초기 저작에 [[철학적 인간학|포함된 철학적 인류학을]] 포함하여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다. [[프리드리히 니체|니체]] [[도덕의 계보|도덕 계보]] [[권력 의지|와 권력 의지]] 의 포기를 통한 [[양심]]의 출현; 원시 아버지의 살인에 대한 문명과 법의 출현에 대한 ''[[토템과 터부|토템과 금기]]''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대한 프로이트]] 의 설명; <ref>''Dialectic of Enlightenment'', 7, 159, 162.</ref> 원시 사회의 마술과 의식에 대한 [[민족학|민족학적 연구;]] <ref>''Dialectic of Enlightenment'', 10, 256.</ref> [[신화|신화비평]], [[문헌학]], [[문학평론|문학적 분석]] . <ref>Sadean Nature and Reasoned Morality in Adorno/Horkheimer's 'Dialectic of Enlightenment', Psychology and Sexuality 1 (3), September 2010, 249-260.</ref>
 
저자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대중문화]]는 영화, 라디오 프로그램, 잡지 등 표준화된 문화 상품을 생산하는 공장과 유사하다고 주장하면서 <nowiki><i id="mwgA">문화 산업</i></nowiki> 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ref>[https://books.google.com/books?id=l-75zLjGlZQC&pg=PA94 pp. 94–5] quotation: {{인용문5|Culture today is infecting everything with sameness. Film, radio, and magazines form a system. Each branch of culture is unanimous within itself and all are unanimous together. Even the aesthetic manifestations of political opposites proclaim the same inflexible rhythm...All mass culture under monopoly is identical... Films and radio no longer need to present themselves as art. The truth that they are nothing but business is used as an ideology to legitimize the trash they intentionally produce.}}</ref> 이러한 균질화된 문화 산물은 대중 사회를 온순함과 수동성으로 [[여론조작|조종하는 데 사용된다.]] <ref>[https://books.google.com/books?id=l-75zLjGlZQC&pg=PA95 pp. 94–5] quotation: {{인용문5|...The standardized forms, it is claimed, were originally derived from the needs of the consumers: that is why they are accepted with so little resistance. In reality, a cycle of manipulation and retroactive need is unifying the system ever more tightly.}}</ref> [[대중 매체]] 인 라디오의 도입은 더 이상 청취자에게 전화의 경우처럼 응답 메커니즘을 허용하지 않다. 대신, 청취자는 더 이상 주체가 아니라 "다른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동일한 프로그램에 권위주의적인 방식으로" 노출되는 수동적 용기이다. <ref>[https://books.google.com/books?id=l-75zLjGlZQC&pg=PA95 pp. 95–6] quotation: {{인용문5|The step from telephone to radio has clearly distinguished the roles. The former liberally permitted the participant to play the role of subject. The latter democratically makes everyone equally into listeners, in order to expose them in authoritarian fashion to the same programs put out by different stations. No mechanism of reply has been developed...}}</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