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의 변증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그림 추가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자열 변경 (]] 을 → ]]을 )
19번째 줄:
개인의 자아 또는 자아 형성의 역사뿐만 아니라 인간 사회의 역사는 당시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가 이 역사의 궁극적인 결과로 인식한 관점에서 재평가된다. [[이성|이성은]] 국가 사회주의의 부상과 함께 역사적 진보나 발전의 결과로 이성이 출현했다고 추정되는 바로 그 형태의 미신과 신화와 유사한 무언가(대부분의 텍스트에서 단순히 "계몽"이라고 함)로 바뀌었다.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계몽"의 과정에서 현대 철학이 지나치게 합리화되고 [[기술관료제|기술]] 지배의 도구가 되었다고 믿다. [[빈 학파|그들은 비엔나 서클]] [[논리실증주의|의 논리적 실증주의]] 와 이 운동과의 연속성에서 본 광범위한 경향을 모두 언급하는 [[실증주의]] 로 이 과정의 절정을 특징짓다.<ref>{{서적 인용|url=https://books.google.com/books?id=xZ5yDgAAQBAJ|제목=The Myth of Disenchantment: Magic, Modernity, and the Birth of the Human Sciences|성=Josephson-Storm|이름=Jason|날짜=2017|출판사=[[University of Chicago Press]]|위치=Chicago|쪽=244–5|isbn=978-0-226-40336-6}}</ref>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은 너무 광범위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들은 특히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을 실증주의자로 ''[[논리철학 논고|해석하고(당시 그의 후기 작품이 아닌 논리철학 논고]]'' [[분석철학|만 출판되었음), 분석철학]] 내에서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을 조사하지 못한 점에 대해 비판을 받다.<ref>{{하버드 인용 본문|Josephson-Storm|2017}}</ref>
 
이 역사를 특징짓기 위해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노동경제학|"노동]] "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마르크스의 초기 저작에 [[철학적 인간학|포함된 철학적 인류학을]] 포함하여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다. [[프리드리히 니체|니체]] [[도덕의 계보|도덕 계보]] [[권력 의지|와 권력 의지]]의 포기를 통한 [[양심]]의 출현; 원시 아버지의 살인에 대한 문명과 법의 출현에 대한 ''[[토템과 터부|토템과 금기]]''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대한 프로이트]]의 설명;<ref>''Dialectic of Enlightenment'', 7, 159, 162.</ref> 원시 사회의 마술과 의식에 대한 [[민족학|민족학적 연구;]]<ref>''Dialectic of Enlightenment'', 10, 256.</ref> [[신화|신화비평]], [[문헌학]], [[문학평론|문학적 분석]] .<ref>Sadean Nature and Reasoned Morality in Adorno/Horkheimer's 'Dialectic of Enlightenment', Psychology and Sexuality 1 (3), September 2010, 249-260.</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