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차 문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ja판에서 문제의 개요 가져옴(번역 도중), 같이 보기 가려둠(생성된 문서 없음)
1번째 줄:
{{미번역}}
'''노면전차 문제'''(trolley problem)는 [[윤리학]]의 [[사고실험]]으로, [[필리파 푸트]]가 제시하고 [[주디스 자비스 톰슨]] 및 이후의 [[피터 엉거]]와 [[프란세스 캄]]이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역사적으로 유사한 문제가 [[형법학]]에서 다루어졌으며 특히 [[대륙법]]계의 법전에서 고려되기도 했다. 고전적으로는 [[카르네아데스]]가 [[스토아 학파]]의 윤리 이론의 모순을 지적하기 위해 만든 [[카르네아데스의 널판지]]라는 문제가 있었다. 전통적 철학의 영역 밖에서도, 노면전차 문제는 [[신경윤리학]]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진다.
 
== 개요 ==
아래의 질문 모두, 다른 방법을 쓸 여유는 없고, 법적 책임은 지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다. 오직 도덕적인 견해만을 문제삼는 것이다. 응답자는 질문에 대해 (도덕적 관점에서) "허용된다"와 "허용되지 않는다"로 응답하게 되어 있다.
 
:'''1.'''[[노면 전차]]가 운행 중 이상이 생겨 제어 불능 상태가 되었습니다. 이대로는 선로에 서 있는 5명이 치여죽고 맙니다. 그런데 다행히도 이반이 [[전철기]]의 옆에 있고, 전철기를 돌리면 전차를 다른 선로로 보냄으로써 5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 다른 선로에 1명이 있어서 그 사람이 치여죽고 맙니다. 어느 쪽도 대피할 시간은 없습니다. 이 때 도덕적 관점에서 이반이 전철기를 돌리는 것이 허용됩니까?
 
이는 요약하면 '''5명을 살리기 위해 1명을 죽여도 되는가'''는 문제가 된다. [[공리주의]]적인 관점에서는 1명을 희생해서라도 5명을 구해야하지만, [[의무론]]을 따르면 누군가를 다른 목적을 위해 이용해서는 안 되며, 따라서 아무것도 해서는 안 된다.
 
그럼 다음과 같은 파생문제는 어떻게 될까?
 
=== 파생문제 ===
:'''2.'''앞의 문제와 동일하게 폭주중인 노면 전차가 달리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그 앞에는 5명이 있고 달아날 틈이 없습니다. 다행히도 제프가 선로 위의 육교에 있습니다. 뭔가 무거운 물체를 떨어뜨려 노면전차를 탈선시키면 5명을 구할 수가 있다. 그런데 문제는 제프의 근처에 있는 무거운 물체라고는 뚱뚱한 사람이 있을 뿐입니다. 도덕적 관점에서 제프가 그 뚱뚱한 사람을 밀어 떨어뜨리는 것이 허용됩니까?
 
공리주의에 따르면 전철기를 돌리는 일이나 1명을 밀어 떨어뜨려 탈선시키는 일이나 1명을 죽여 5명을 살리는 점에 있어 같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앞의 질문에 대해서는 '''허용된다'''고 대답한 데 반해 뒤의 질문에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답하고 있다. 이 두 질문의 다른 점은 처음 질문에서는 행위자가 직접 의도한 결과가 아니라 부차적인 일로 생각할 수 있는데 반해 두번째 질문에서는 행위자의 직접적인 의도에 의해 1명이 죽는다는 것이다.
 
=== 다시 합류하는 선로 ===
:'''3.'''앞의 문제와 동일하게 폭주중인 노면 전차가 달리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그 앞에는 5명이 있고 달아날 틈이 없습니다. 다행히도 프랭크가 전철기의 옆에 있지만, 분기한 선로는 5명을 지나기 전에 다시 합류합니다. 그러나 분기된 선로에는 뚱뚱한 사람이 있어, 그 사람을 노면전차에 치게하면 5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도덕적 관점에서 프랭크가 전철기를 돌리는 것이 허용됩니까?
 
:'''4.'''앞의 문제와 동일하게 폭주중인 노면 전차가 달리고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그 앞에는 5명이 있고 달아날 틈이 없습니다. 다행히도 데니스가 전철기의 옆에 있지만, 분기한 선로는 5명을 지나기 전에 다시 합류합니다. 하지만 분기된 선로에는 커다란 쇳덩이가 있어 노면전차는 쇳덩이에 부딪혀 멈추겠지만, 쇳덩이 앞에는 사람이 한 사람 있어 피하지 못하고 죽을 것입니다. 이 때 도덕적 관점에서 데니스가 전철기를 돌리는 것이 허용됩니까?
 
세번째 질문은 최초의 질문과 마찬가지로 누군가를 직접 죽음으로 몰아넣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두번째 질문과 마찬가지로 그 죽음은 부차적 결과가 아니고 행위자의 의도의 결과이다. 네번째의 문제는 세번째와 거의 같지만, 1명의 죽음은 행위자의 의도된 결과가 아니고 부차적 결과이다.
 
どの質問にも一貫して合理的な判断を下すのなら、同じ回答が導きだせる。つまり一人を犠牲にして5人を助けるか、5人を犠牲にして一人を助けるかのどちらかである。または[[義務論]]に従って判断するなら(誰かの命を他の目的のために利用すべきではないと考えるなら)すくなくとも2と3には反対しているはずである。もし判断が一貫しないのであればそれは何故だろうか。何故ある場合は誰かを犠牲にすることが許されて、他の場合には許されないと感じるのかを、合理的に説明できるだろうか。少なくともこれらのようなジレンマを一貫して合理的に解決できる倫理学の指針はない<ref name=greene>Greene J.D. et al. [http://www.wjh.harvard.edu/~jgreene/GreeneWJH/Greene-et-al-Science-9-01.pdf An fMRI Investigation of Emotional Engagement in Moral Judgment]</ref>。
 
生物学者[[マーク・ハウザー]]はネット上でこれに類する30以上の質問を行い、何故そのような判断を行ったかの理由を聞いた。回答した500人の内3割ほどしか自分の判断を正当化できなかった(質問の間の違いを正しく認識し、それが自分の判断の基礎となっていることを示せた場合に「正当化に成功した」と判断された)<ref>Cushman, F., Young, L., & Hauser, M.D. [http://www.wjh.harvard.edu/~mnkylab/publications/recent/CushmanMoralPrinciplesPsySci.pdf The role of conscious reasoning and intuition in moral judgments: Testing three principles of harm. ] Psychological Science. 17(12):1082-1089.(2006).</ref>。また5000人以上が回答したテストでは、最初の質問に対して89%の人が許されると答えたのに対して、二番目の質問に許されると回答したのは11%であった。三番目の質問には56%が許されると答え、四番目の質問は72%が許されると答えた。この傾向には教育の程度、宗教的背景、民族などの影響がほとんど無かった<ref>Hauser, M.D et. al. [http://www.wjh.harvard.edu/%7Emnkylab/publications/recent/HauserMoralJudgeML.pdf A dissociation between moral judgments and justifications. ] Mind & Language. 22(1):1-21. (2007).</ref>。
 
意図的な行動の結果の害には責任を問われ、ただ単にその結果が予見されたに過ぎないときには責任を問われないことを[[ダブルエフェクト]]と呼ぶ。1と4を許されると回答している人の割合が大きいのは、直観的に人がダブルエフェクトを考慮している事で説明できるかも知れない。ハウザーの主張は、人の道徳的判断は理性と理論よりも、直観と感情の影響を受けていると言うことである。そしてどのような要因が非道徳的と判断されるのかを次の三つにまとめた<ref>Fiery Cushman et al. [http://www.wjh.harvard.edu/~mnkylab/publications/recent/CushmanMoralPrinciplesPsySci.pdf The role of reasoning and intuition in moral judgment]</ref>。
*行動の原理:行動による害(例えば誰かが死ぬような出来事)は行動しなかったことによる危害よりも、非道徳的だと判断される
*意図の原理:意図を持ってとった行動は、意図を持たずにとった行動よりも非道徳的だと判断される
*接触の原理:肉体的な接触を伴う危害は、肉体的な接触のない危害よりも非道徳的だと判断される
 
神経哲学者ジョシュア・グリーンによれば、特に二番目の質問では他の質問と異なる[[脳]]の部位が反応する。人を直接死に追いやるとき、強く否定的な反応を示すようである<ref name=greene />。
 
米[[タイム (雑誌)|Time]]誌の記事によれば調査対象の実に85パーセントが5人を救うためでも1人を突き落とさないとした、とのことである。また現実では殺人の理由は多岐にわたるが、犯罪や事故が進行中であるという理由で殺人が行われることは皆無である。したがって実際にこのような場面に遭遇した場合、人は五人を見殺しにする可能性が高いようである。
 
<!-- 생성되어 있는 문서가 하나도 없으므로 가려둠
==함께 보기==
*[[결과주의]]
줄 8 ⟶ 44:
*[[덕윤리학]]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폭 투하에 대한 논쟁]]
-->
 
== 참고자료 ==
*Philippa Foot, ''The Problem of Abortion and the Doctrine of the Double Effect'' in ''Virtues and Vices'' (Oxford: Basil Blackwell, 1978) - 노면전차 문제가 처음으로 제기된 글.
*Shelly Kagan, ''The Limits of Moralit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줄 18 ⟶ 54:
*[http://www.wjh.harvard.edu/%7Ejgreene/ Homepage of Joshua Greene]
*Joshua D. Greene, "The secret joke of Kant’s soul", in Moral Psychology, Vol. 3: The Neuroscience of Morality, W. Sinnott-Armstrong, Ed., (Cambridge, MA: MIT Press)
 
== 각주 ==
{{주석}}
 
[[분류:사고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