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우빌 정리 (복소해석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Jkimath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Jkimath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리우빌의 정리'''(Liouville's theorem) 혹은 '''리우비유 정리'''는 만약 <math> f </math> 가 [[유계]](bounded)인 [[전해석함수]]이면 <math> f </math> 는 상수함수가 된다는 내용의 [[수학]] 정리이다. 다시 말하면: 전해석함수 <math> f </math> 에 대해 [[복소평면]] 위의 모든 점 <math> z </math> 에서 <math> |f (z) |\le M </math> 이 되게하는 양수 <math> M </math> 이 존재하면 <math> f </math> 는 반드시 상수이어야 한다.
 
[[피카르의피카드의 소정리]](Picard's little theorem)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복소수를 함수로 값으로 갖지 않는 모든 전해석함수는 상수라는 내용이다. 즉 모든 복소수<math> z </math>에 데해 <math> f(z)\neq a </math>, <math> f(z)\neq b </math> 인 서로 다른 두 복소수 <math> a, b </math> 가 존재하면 <math> f </math> 는 반드시 상수이어야 한다. 이 정리는 리우빌의 정리를 크게 발전시킨 더 넓은 의미의 정리이다.
 
=== 증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