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계약: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사회계약론'''(社會契約論)은 철학, 정치학, 사회학에서 국가와 그 시민 사이의 책임과 권리에 관해 국가 내부에서 통용되는 암묵적 동의로, 또는 좀 더 폭넓게는 그룹과 그 구성원 사이, 또는 개개인들 사이의 동의라는 개념으로도 쓰인다. 사회 내부의 모든 구성원들은 그들의 선택에 의해 그리고 폭력적 계약 없이 사회 안에 존재하게 된 사회계약의 조건들에 동의하는 것을 받아들이게 된다; 그와 같은 폭력은 자연상태로 돌아가려는 문제적인 시도를 의미할 것이다. 종종 지적되듯이 실제로 사회계약론은 인간의 선하거나 악한 인류학적 개념에 의존하고 있었다. [[토머스 홉스]], [[존 로크]], [[장 자크 루소]]는 이러한 사회계약론의 가장 유명한 철학자들이다. 특히 [[민주주의]]와 몇몇 종류의 [[사회주의]]의 이론적인 기초 작업을 했다는 점에서도 말이다. 이들은 또한 몇 가지의 경쟁하는 자유주의의[[자유주의]]의 이론적 기초 작업을 실행한 이들이기도 하다.
 
== 개론 ==
=== 자연상태와 사회계약 ===
 
사회계약은 정치적 이론으로서 국가와 [[인권]]의 목적과 정당성을 설명해준다. 홉스의 전형적인 이론에 따르면 그 본질은 다음과 같다: 사회가 없었을 때, 우리는 [[자연상태]]에 살고 있다. 즉 우리는 무제한적인 자유를 누리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자율성]]의 기초적인 부분(downside)는 해로운 자유와 해롭게 하는 자유도 포함되어 있다; 긍정적 권리는 존재하지 않으며, 오직 자연권과 끝없는 “[[만인의 만인에 대한 전쟁]]("Bellum omnium contra omnes", Hobbes, 1651)”만이 존재할 뿐이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우리는 암묵적으로 사회계약에 동의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이들의 권리가 가지는 명예를 존중하는 것을 받아들이는 댓가로 우리는 각각 [[시민권]]을 얻게 되고, 몇 가지 자유는 버리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만들어 낸 사회의 ‘군주적‘[[군주적 위치]](figurehead)’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우리의 공통된 이해를 대변하며 우리의 권능(power)의 위임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 군주적 위치가 바로 [[주권자]]의 자리이다.
 
=== 상상된 자연상태 ===
 
자연상태에서[[자연상태]]에서 발생하는 사회계약의 긴급함은 종종 이것을 역사적 필요에 따른 시도보다는 권리의 논리적 근거로 보려는 이에 의해 잘 꾸며진이야기로 간주되기도 한다. 루소의 《[[인간불평등기원론]]》(1754)은 좀 더 픽션같은데 이는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사실적인 서술보다는 어떤 것들이 지나갔는지에 대한 서술에 치중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루소에게서도 모호성이 지속되는 것이 사실이며 오히려 홉스의 자연상태에 대한 논쟁적인 개념(루소와는 반대되는)은 내전에 대한 사실적 묘사로부터 사회계약에 접근한다. [[리바이어던]]은 [[영국 내전]](1642-1651)으로 인해 부각된 문제를 풀기 위한 시도로 읽을 수 있는 책이다.
 
=== 계약의 위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