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백두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재상'''(宰相)은 [[군주제]]에서 [[군주]]의 국정을 보좌하는 최고 책임자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근대 이전의 내각 수반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에는 [[행정부]]의 장(長)이라는 의미로 [[수상]](首相)이라는 칭호가 주로 사용된다.
 
== 중국의 재상 ==
{{토막글}}
 
중국은 오래전부터 재상급 관료제가 시작되었고 청나라 말엽까지 계속 유지되었다. 당나라 말엽까지는 삼공(三公) 제도로서 삼공이 같이 국가의 대소사를 의논하여 처리하였다.
 
{| class="wikitable"
|- bgcolor="#efefef"
<!--<TABLE cellspacing="0" border="2">-->
<TR>
<TD>'''황조'''</TD>
<TD>'''재상의 벼슬명'''</TD>
<TD colspan="2">'''비고'''</TD>
</TR>
<TR>
<TD>[[주나라|주]](周)</TD>
<TD>태사(太師)→총재(冢宰)<br>태부(太傅)<br>태보(太保)</TD>
<TD colspan="2">제사장으로 태제(太宰)로도 불림.<br><br></TD>
</TR>
<TR>
<TD>[[진나라|진]](秦), [[전한]](前漢)</TD>
<TD>[[승상]](丞相)<BR>[[태위]](太尉)<BR>[[어사대부]](御史大夫)</TD>
<TD>[[대사도]](大司徒)—황제를 보좌하며 백관을 통솔함. <BR>[[대사마]](大司馬)—국방, 군사를 총괄함.<BR>
[[대사공]](大司空)—[[어사]]를 통솔함.</TD>
<TD>[[삼공]]</TD>
</TR>
<TR>
<TD rowspan="3">[[후한]](後漢)</TD>
<TD>[[사도]](司徒)→승상(丞相), [[상국]](相國)<BR>태위(太尉), 대사마(大司馬)<BR>
[[사공]](司空)</TD>
<TD>승상은 사도로, 어사대부는 사공으로 명칭이 바뀜.<BR>실권은 상서에게 이동하여서 명예직에 불과함.</TD>
<TD>삼공</TD>
</TR>
<TR>
<TD colspan="3">↓</TD>
</TR>
<TR>
<TD>[[상서 (관직)|상서]](尙書)</TD>
<TD colspan="2">황제의 개인 비서</TD>
</TR>
<TR>
<TD rowspan="5">[[위 (삼국)|위]](魏),[[진 (위진)|진]](晉), [[수나라|수]](隋)</TD>
<TD>승상(丞相)</TD>
<TD colspan="2">삼공</TD>
</TR>
<TR>
<TD colspan="3">↓</TD>
</TR>
<TR>
<TD>[[녹상서사]](錄尙書事)</TD>
<TD colspan="2">상서의 최고직이며 수장.</TD>
</TR>
<TR>
<TD colspan="3">↓</TD>
</TR>
<TR>
<TD>[[상서령]](尙書令)<BR>[[시중]](侍中)<BR>[[중서령]](中書令)</TD>
<TD colspan="2">상서성의 수장.<BR>황제의 최측근.<BR>황제의 비서실장, 사관의 수장.</TD>
</TR>
<TR>
<TD rowspan="7">[[당나라|당]](唐)</TD>
<TD>승상(丞相)<BR>태위(太尉)<BR>어사대부(御史大夫)</TD>
<TD></TD>밑으로 사도(司徒), 대사마(大司馬), 사공(司空)을 둠.
<TD>삼공</TD>
<TR>
<TD colspan="3">↓</TD>
</TR>
<TD>상서령(尙書令)<BR>시중(侍中)<BR>
중서령(中書令)</TD>
<TD>[[상서성]] 장관.<BR>[[문하성]] 장관<BR>[[중서성]] 장관</TD>
<TD>[[3성]] 장관</TD>
</TR>
<TR>
<TD colspan="3">↓</TD>
</TR>
<TR>
<TD>[[상서복야]](尙書僕射)<BR>시중(侍中)<BR>
중서령(中書令)</TD>
<TD colspan="2">상서령 겸임, 후에 상서령 직을 폐지하고 상서복야를 장관으로 삼음.</TD>
</TR>
<TR>
<TD colspan="3">↓</TD>
</TR>
<TR>
<TD>[[동중서문하평장사]](同中書門下平章事)</TD>
<TD colspan="2">[[당 숙종|숙종]] 이후, 중서령과 시중, 상서복야의 권한을 모두 가진 재상.</TD>
</TR>
<TR>
<TD rowspan="3">[[북송]](北宋)</TD>
<TD>[[동평장사]](同平章事)</TD>
<TD colspan="2"></TD>
</TR>
<TR>
<TD colspan="3">↓</TD>
</TR>
<TR>
<TD>[[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 - [[문하시랑]](門下侍郞)<BR>[[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 [[중서시랑]](中書侍郞)</TD>
<TD colspan="2"></TD>
</TR>
<TR>
<TD>[[남송]](南宋)</TD>
<TD>좌승상(左丞相)<br>우승상(右丞相)</TD>
<TD colspan="2">좌·우복야를 좌·우승상으로 바꿈.</TD>
</TR>
<TR>
<TD>[[원나라|원]](元)</TD>
<TD>우승상(右丞相)<br>좌승상(左丞相)</TD>
<TD colspan="2">중서성, 상서성만 남기고 문하성 폐지. 몽골의 풍속으로 우승상이 좌승상보다 상관임.</TD>
</TR>
<TR>
<TD rowspan="3">[[명나라|명]](明)</TD>
<TD>승상(丞相)</TD>
<TD colspan="2">일인 승상제. [[호유용]] 모반사건 후 폐지.</TD>
</TR>
<TR>
<TD colspan="3">↓</TD>
</TR>
<TR>
<TD>[[내각대학사]](内閣大學士)</TD>
<TD colspan="2">황제의 비서겸 경연관.</TD>
</TR>
<TR>
<TD rowspan="5">[[청나라|청]](淸)</TD>
<TD>내각대학사(内閣大學士<)/TD>
<TD colspan="2">최고 행정기관인 내각의 수장.</TD>
</TR>
<TR>
<TD colspan="3">↓</TD>
</TR>
<TR>
<TD>[[군기대신]](軍機大臣)</TD>
<TD colspan="2">[[군기처]](軍機處)의 수장.</TD>
</TR>
<TR>
<TD colspan="3">↓</TD>
</TR>
<TR>
<TD>[[내각총리대신 (청나라)|내각총리대신]](内閣總理大臣)</TD>
<TD colspan="2">일본의 제도를 모방함.</TD>
</TR>
</TABLE>
 
[[분류:관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