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백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Kangka322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Kangka322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 생애 ==
=== 가문 및 생애 초기 ===
한백겸은 [[1552년]]에 태어났다. 판관아버지 벼슬을 지내던 아버지는 일찍한효윤(韓孝胤)는 세상을경성판관을 떠났으나지냈고, 삼촌숙부인 [[한효순]](韓孝純)정승의[[대북]](大北)파의 지위에영수로서 있던[[광해군]]때 고관대작이었다.<ref좌의정으로서 name="경향신문"/>폐모론을 한백겸의주도했다. 아우 [[한준겸]](韓浚謙) 뒤에 문장에 뛰어난뛰어났고 [[선조]](宣祖)의 유언을 받은 일곱 신하의 한사람으로서 호조판서, 5도도원수를 고관으로역임하고 [[조선 인조|인조]]의 장인이장인으로서 되기도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에 하였다봉해지고 영돈녕부사를 지냈다. 그러나 한백겸은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젊은 시절부터 학문에 뜻을 두고 화담 [[서경덕]]의 제자이던제자였던 습정행촌(習靜杏村) [[민순]](閔純)을 찾아가 그의 문하에 들어가 그로부터 소학》과 《근사록(近思錄)》 등의 가르침을 받았다. 계속하여 의리(義理)에 관한 연구에 힘써 [[사서오경|육경논맹]](六經論孟)과 [[성리학|염락관민]](濂洛關閩)에 이르기까지 정통하였다.
=== 학문 연마와 관직 생활 ===
29번째 줄:
 
《[[반계수록]]》과 《[[동국여지지]](東國輿地誌)》를 쓴 반계 [[유형원]]은 “오직 근세의 한백겸이 변론했던 것이, 천년동안 정해지지 못했던 것을 깊이 알아냈으니 그분의 학설에 의해서 확정한다”고 격찬하며 그의 학설을 그대로 수용하였고, 여암 [[신경준]], 순암 [[안정복]] 등도 한백겸 학설에서 일정분의 영향을 받았음이 확인되고 있다. 실학의 집대성자 다산 정약용도 그의 저서 《[[아방강역고]]》에서 “한백겸의 학설은 바꿀 수 없는 정론(定論)”이라고 단정하여 높은 수준의 학문이라고 평가하고 있다.<ref name="경향신문"/> 역사학자 [[이기백]] 교수는 《구암유고 동국지리지》서문에서 “그의 주장이 반드시 옳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당시의 학문적 수준에 비추어볼 때 그의 주장은 실로 놀랍도록 참신한 새 학설이었다. 그러기에 그의 주장은 반계 [[유형원]], 성호 [[이익 (학자)|이익]], 다산 [[정약용]] 등 여러 실학자들의 전제개혁론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고 평가하였다.
묘는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부평리 산481-1
 
 
== 가족 관계 ==
줄 34 ⟶ 36:
* 아버지 : 한효윤(韓孝胤)
* 아들 : [[한흥일]]
* 딸 : 1명홍비(洪棐)와 혼인
* 동생 : [[한준겸]]한중겸(韓重謙), [[인조한준겸]]의 장인(韓浚謙)
* 조카딸 : [[인열왕후 한씨]], [[인조]]의 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