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조의 정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o to (토론 | 기여)
왜곡된 문서가 아니니 문제가 있는 부분은삭제보다는 수정하길 바람.
이유없는 트롤링은 하지 마시죠.
1번째 줄:
{{독자 연구}}
 
'''강조의 정변'''(康兆의 政變)은 [[강조]]가 [[1009년]] [[고려 목종|목종]]을 폐위시킨 정변으로, [[요나라]]의 제2차 [[고려]] 침입의 구실이 되었다.
 
== 배경 ==
당시 고려 조정에서는 외척 [[김치양]]이 [[천추태후]](千秋太后)와 더불어 정권을 농단하고, 천추태후와의 사이에 낳은 아들을 목종의 후계자로 삼으려고 음모하였다. 목종은 후사 없이 병을 얻어 중추원 부사(副使) [[채충순]](蔡忠順)에게 김치양의 음모를 말하고 [[고려 현종|대량군 순]](詢)을 후계자로 삼아 사직을 타성(他姓)에 넘기지 않도록 부탁했다.
[[고려사]]의 기록에 따르면 천추궁이 1009년 1월에 불이 나자 고려 7대 국왕 목종이 이에 쓰러져 위독하였다. 또한 아무도 만나지 않으려 했다. 그러다가 [[채충순]]을 불러 [[김치양]]이 모반을 꾀한다고 보고했고 목종은 곧 사직이 다른 성씨에게 넘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신이 위독하므로 [[고려 현종]]에게 양위할 것이라고 명하였다.
 
허나 고려사의 기록은 모순된 점이 많다. [[고려사]]의 기록에 따르면 목종이 폐위된 뒤 태후와 함께 궁 밖에 나가는 과정을 싣고 있는데 태후가 먹고자 하면 직접 그릇을 받들었고 태후가 말을 타고자 하면 직접 고삐를 잡았다. 만약 [[고려 목종|목종]]이 위독했다면 위의 기록은 불가능하다. 또한 목종이 강조에게 폐위된 후 궁성을 쉽사리 나가려 하지 않았다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목종은 [[고려 현종]]에게 양위할 뜻이 없었고 왕위에 미련이 있었다고 봐야 한다{{출처}}.
 
사실은 대량원군 세력이 자신들의 행동을 합리화하기 위해 적은 기록에 감추어져 있다. [[헌애왕후|천추태후]] 시기 천추태후는 경주를 낙랑군으로 강등하고 자신의 고향 황주를 중심으로 한 패서 지역 인사들을 등용했다. 경주세력은 이에 대해 위기감을 느꼈다. 또한 천추태후가 [[김치양]]과 관계를 가진 후 아이를 낳았는데 [[고려 성종]] 시기 유학을 이끌었던 그들로선 천추태후의 행동을 유교적으로 어긋난 것이라 판단하였다{{출처}}.
 
하여 경주세력은 [[고려 현종|대량원군 왕순]]을 후계자로 내세우려 했다. 왕순 또한 일찍이 어렸을 때 왕위에 대한 욕심을 품은 시를 지은 것으로 봐 경주세력의 행동에 동참했다. 그리고 천추궁 방화를 기점으로 정변을 시도했다. 곧 고려 궁이 장악되고 사람을 파견해 왕순을 개경으로 모셔오도록 했다{{출처}}.
 
== 경과 ==
한편 목종은 급변하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중추사 우상시 겸 [[평안도|서북면]] [[도순검사]](都巡撿使)인도순검사인 [[강조]]에게 개경의 궁궐을 수비케 하였다. 이때 세간(世間)에서는 목종이 위독한 틈에 김치양 등이 나라를 빼앗으려 한다는 풍문이 돌았다.
 
이윽고 목종이 죽었다는 헛소문이 전해지자 강조는 별장(別將)을 시켜 대량군 순(후일 [[고려 현종|현종]])을 맞게 하고, 자기는 개경으로 달려가 목종에게 퇴위를 강권하여 순을 왕으로 세웠다. 그 뒤 김치양 일파를 제거하고 태후와 그 무리는 귀양보내었다.
 
[[고려사]]에선 목종이 강조로 하여금 자신을 지키도록 명령했는데 [[강조]]는 시중꾼만 데리고 개경으로 향했다. 그 후 아버지로부터 목종이 죽었다는 소리를 듣고 그제서야 병력 5천을 이끌고 개경으로 향했다고 한다. 목종이 강조보고 자신을 지키라는 황명을 내렸다면 강조는 시중꾼만 데리고 개경으로 향했을 가능성이 없다{{출처}}.
 
사실은 달랐다. 대량원군 세력의 정변으로 고려 조정을 장악하자 [[헌애왕후|천추태후]]가 [[이주정]]을 보내 강조에 도움을 청하려 한다. 그러자 신라계는 이주정을 막고 강조를 소환한다. 강조는 동주 용천역에 와서 무슨 정변이 일어났음을 알게 되고 목종은 이미 죽었다고 소문이 나 있었다. 하여 강조는 자신의 군사가 천추태후 세력을 돕거나 대량원군 세력을 도울 수 있음을 알게 되고 병력 5000천으로 개경으로 향한다. 허나 평주에 와서 왕이 살아있음을 알게되고 [[김치양]]을 도우면 자신이 권력을 쥘 가능성이 적으므로 강조는 자신이 권력을 쥐려 결국 유학파 세력을 도와 현종을 옹립한다{{출처}}.
 
== 결과 ==
이 정변으로 대량군 순이 현종으로 즉위하였으며, 거란은 이 사건을 트집잡아서 제2차 [[고려-요 전쟁|고려-거란 전쟁]]을 일으키게 된다.
 
== 함께 보기 ==
* [[고려-요 전쟁]]
* [[강감찬]]
* [[하공진]]
 
== 함께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