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종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resa 99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41번째 줄:
== 미국인들에게 종교의 의미 ==
 
=== 1)미국 탄생 신화 속 종교(Pilgrim Father)===
 
 
49번째 줄:
미국인의 국가 정체성에는 보편적인 가치, 영어 구사능력과 함께 기독교 신앙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종교적인 신앙에 국가 정체성의 뿌리를 두는 종교적 민족주의(religious nationalism)는 근대화 이전의 유럽 사회나 아랍 세계와 같이 종교와 세속적 권위가 명확히 분리되지 않은 전통 사회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종교와 세속적 권위가 하나로 결합 된 경우 종교적 민족주의는 신정 국가(theocracy)처럼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글나 정치와 종교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도 종교적인 믿음의 토대 위에 집합적인 일체성을 구축하고 있다면, 종교적 민족주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생활의 모든 면은 종교적인 의미를 담게 되며, 종교적인 믿음과 상징체계는 문화적인 동질성을 유지하고 재생산하는 데에서 중심적인 역학을 한다.<ref>{{책 인용 |제목 = 미국문화의 기초|저자 = 이현송|출판사 = 한울아카데미}}</ref> .<ref>{{책 인용 |제목 = Made in USA|저자 = Guy Sorman|출판사 = 문학세계사}}</ref>
 
=== 2)기독교 교리와 미국 역사(American History based on Christian faith)===
 
 
55번째 줄:
유럽으로 부터의 대규모 이민을 유대인의 출애굽 경험으로, 미국을 약속의 땅으로, 초기 청교도 정착자들의 지도자 존 윈스럽(John Winthrop)을 모세로, 남북 전쟁을 피를 통한 속죄와 다시 태어남으로, 워싱턴이나 링컨 등 국민적 위인을 성인으로, 독립선언문과 헌법을 성경으로 대비하는 식이다. 이러한 공민 종교에서 미국인은 사명을 가지고 이 세계에 보내진 선택된 민족으로 그려진다.<ref>{{책 인용 |제목 = 미국문화의 기초|저자 = 이현송|출판사 = 한울아카데미}}</ref>
 
3)=== 공민 종교(Civil Religious)로의 미국 기독교 신앙 ===
 
 
70번째 줄:
공민 종교에서 볼 때 민족주의란 자신을 하나의 통일된 집단의 구성원으로 느끼는 시민들이 공유하고 그들의 생활 속에서 재생산하는 국가적 상징과 과거에 대한 기억에 신성성 내지는 절대성이 부가되어 있음을 뜻한다. 미국인의 민족주의는 혈연이나 지연보다 언어나 보편적 가치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국민들의 일체감과 헌신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상징과 기억에 대한 종교적인 경외심이 더욱 필요할지도 모른다.
미국의 예외주의가 담고 있는, ‘신에 의해 특별히 선택된 사람들’이라는 종교적인 의미는 미국인들에게 광범위하게 공유되고 있다. 미국인들이 입버릇처럼 외는 “신이여 미국을 축복 하소서(God bless America).”라는 발언은 이러한 심층 의식의 발로이다.<ref>{{책 인용 |제목 = 미국문화의 기초|저자 = 이현송|출판사 = 한울아카데미}}</ref>
 
 
== 관용의 원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