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 및 태양권 관측위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0번째 줄:
통상 임무에서, 위성은 200 kbit/s의 영상 자료 및 기타 자료를 [[미국항공우주국]] [[Deep Space Network]](DSN) 관제소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내온다. 소호의 [[태양]] 활동에 관한 자료는 [[태양플레어]]를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전력송신]]과 [[인공 위성]]을 태양플레어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준다.
 
2003년 [[유럽우주국]]은 [[안테나]] 구동 [[모터]] 중 하나의 고장을 보고하였는데, 이 모터는 소호 위성이 높은 [[대역폭]]의 정보를 지구로 송신하기 위해 안테나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며, 이 고장으로 말미암아 위성은 매 3개월마다 2-3주 정도 송신불능상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유럽우주국과 미항공우주국 DSN의 과학자들은 DSN 관제소의 34 m 및 70 m 대형 안테나를 이용해서 소호 위성의 저이득 안테나와 교신을 하며, 또한 정보의 완전 손실을 막기 위해서 소호 위성의 기록기를 사용한다. 덕분에 매 3개월마다 정보가 아주 약간 감소된 현상만을 겪고 있을 뿐이다{{<ref|2}}>[http://www.esa.int/export/esaCP/SEM0VZWO4HD_index_0.html 소호 안테나 고장: 예상보다 훨씬 양호한 상태]</ref>.
 
== 관측 장비 ==
45번째 줄:
-->
 
[[태양]]을 관측하는 중에, 소호 위성은 태양의 밝기를 가로막는 [[혜성]]을 예상치 못하게 많이 발견하였다. 현재 알려진 혜성의 거의 절반이 소호 위성이 발견한 것이다. 최근, 소호 위성은 자신의 관측만으로 1,000번째 혜성을 발견하였다{{<ref|comets}}>[http://www.nasa.gov/vision/universe/solarsystem/1000comet.html 역사상 최고의 혜성잡이, 1000번째 혜성을 발견하다]</ref>.
 
== 같이 보기 ==
54번째 줄:
<!-- 2005년 12월 19일 현재 연결되지 않음
#{{note|1}} [http://spdext.estec.esa.nl/content/news/index.cfm?aid=1&cid=1&oid=32426 안테나 고장은 소호 위성의 정보 송신에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references/>
# {{note|2}} [http://www.esa.int/export/esaCP/SEM0VZWO4HD_index_0.html 소호 안테나 고장: 예상보다 훨씬 양호한 상태]
# {{note|comets}} [http://www.nasa.gov/vision/universe/solarsystem/1000comet.html 역사상 최고의 혜성잡이, 1000번째 혜성을 발견하다]
 
== 바깥 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