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반동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Deepthroat81 (토론 | 기여)
출처 요구 틀. 표현 다듬음.
7번째 줄:
이러한 종류의 무기는 [[제2차 세계 대전]] 때 처음으로 실전에 쓰일 정도로 개발되어 투입되었다. 보통 [[대전차]] 무기의 역할을 하였다. 무반동총은 [[대포]]형의 탄을 발사할 수 있었는데, 보통의 경량 [[대포]]에 필적할 만한 사정 거리와 탄환 속도를 보여 주었다. 비록 대개는 더 큰 탄을 근거리에 저속도로 발사하는 데 쓰였지만 말이다. [[반동]]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일부는 어깨에 견착시켜 사용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무반동총의 대다수는 가벼운 삼각대에 붙여 사용하는 종류였으며, 해체 후 한 명의 병사가 운반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 및 무게로 제조되었다.
 
== 한글한국어 명칭의 오류명칭 ==
{{출처 필요}}
무반동총이라는 명칭은 recoilless rifle이라는 영어 명칭을 그대로 한글로 번역하면서 생긴 오역이 정착된 것이다. 총포의 구분 기준인 구경 20mm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무반동총이라는 명칭은 명백한 오류이며, 중국과 일본, 북한의 한자권가 비교해도 '포'가 맡다고 할 수 있다. 영어 명칭의 rifle은 [[소총]]이 아닌 [[강선]]이 있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한다. 흔히 무반동총과 무반동포의 구별이라고 하는 '강선의 유무'와 '직사와 곡사'의 차이는 일종의 [[도시전설]]이라고 봐야 한다. 무반동총은 전부 강선이 있으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특히 한국군이 사용한 것들은- [[직접사격]] 무기이기 때문이다.
무반동총 대신 무반동포라고 불러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무반동총의 구경이 [[총포]]를 구분하는 기준인 구경 20mm을 넘기 때문이다.
영어의 rifle을 흔히 [[소총]]이라 번역하기에, 영어의 recoilless rifle 역시 무반동총으로 번역된 것으로 보이는데, 여기서 rifle은 총을 의미한다기 보다는 강선이 있다는 표현이라는 것이다.
 
== 대한민국 국군의 무반동총 ==
 
[[한국전쟁]] 당시 57mm 무반동총을 [[미군]]으로부터 인수하여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그 뒤, 90mm와 106mm 구경의 무반동총도 도입하였다. 106mm 무반동총은 차량으로 운반한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장갑차량의 방호력 증대로 인해 무반동총의 [[대전차화기]]로서의 의미는 퇴색되었고, [[인마살상용]] 무기로 사용된다. 90mm 무반동총은 대대급 대전차 화기-중화기 중대 운용-로, 106mm 무반동총은 연대급 대전차 화기-지원중대 운용-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