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술소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aaknor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pt:Consoante labial
잔글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서는 'ㅂ', 'ㅍ', 'ㅃ', 'ㅁ'의 4 자모가 설음에 분류된다. [[오음]]의 하나. 현대 [[음성학]]에서는 [[양순음|양순]] [[파열음]], [[비음]]에 해당된다. 순음에는 훈만정음 초성 체계에는 없지만 [[순경음]]이 있다.
 
{| borderclass=1 cellspacing=0"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style="background:#efefef;"| [[오음]]
! 전청
!style="background:#efefef;"| 전청 
! 차청
!style="background:#efefef;"| 차청 
! 전탁
!style="background:#efefef;"| 전탁 
!style="background:#efefef;"| 불청불탁
|-
!style="background:#efefef;"| 순음<br/>(입시울쏘리)
| [[ㅂ]] 彆<br/>{{IPA|[/p]/}}
| [[ㅍ]] 漂<br/>{{IPA|[/]/}}
| [[ㅃ]] 步<br/>{{IPA|[/p']/}}
| [[ㅁ]] 彌<br/>{{IPA|[/m]/}}
|}
*<small>현대 [[음성학]]에서 전청(全淸)은 [[무기음|무기]] [[무성음]], 차청(次淸)은 [[유기음|유기]] [[무성음]], 전탁(全濁)은 [[경음]], 불청불탁(不淸不濁)은 [[유성음]] 가운데 [[비음]], [[유음]], [[마찰음]], 두자음 없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것을 나타낸다.</small>
33번째 줄:
 
[[중국어]] 중고음(中古音, [[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두자음)을 표기하는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있다.
{| borderclass=1 cellspacing=0"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style="background:#efefef;"! colspan=2 | [[오음]]
! 전청
|style="background:#efefef;"|전청
! 차청
|style="background:#efefef;"|차청
! 전탁
|style="background:#efefef;"|전탁
! 차탁
|style="background:#efefef;"|차탁
|-
|-
!style="background:#efefef;" rowspan=2 | [[순음]](脣音)
!style="background:#efefef;"| 중순음(重脣音)
| 幫<br/>{{IPA|[/p]/}}
| 滂<br/>{{IPA|[/]/}}
| 竝<br/>{{IPA|[/b]/}}
| 明<br/>{{IPA|[/m]/}}
|-
!style="background:#efefef;"| 경순음(輕脣音)
| 非<br>{{IPA|[/f]/}}
| 敷<br>{{IPA|[/]/}}
| 奉<br>{{IPA|[/v]/}}
| 微<br>{{IPA|[/ɱ]/}}
|}
*<small>현대 음성학에서 전청(全淸)은 [[무기음|무기]] [[무성음]], 차청(次淸)은 [[유기음|유기]] [[무성음]], 전탁(全濁)은 [[유성음]] 가운데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차탁(次濁)은 [[유성음]] 가운데 [[비음]], [[유음]], [[반모음]], 영성모(零聲母, 음절이 두자음 없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것)을 나타낸다.</sm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