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지하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drenalin (토론 | 기여)
시들해봇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의 도움을 받아 동음이의 처리 : 왕십리 - 왕십리역 문서로 링크 걸음
4번째 줄:
[[1기 지하철]]의 건설은 [[1985년]]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의 완공으로 막을 내렸다. 하지만 [[서울특별시|서울]]의 확장은 주택 2백만가구 건설계획에 따라 지속되었고, 부족한 지하철 네트워크로 인해 [[1기 지하철]]만으로는 서울 전체 통행량가운데 16~20% 가량만을 처리할 수 있었다. 게다가 주택 2백만가구 건설계획에 의해 건설된 목동, 고덕, 노원, 수서지구 등지에 거대한 택지가 조성되어 새롭게 백만 명 이상의 인구가 배치되었지만 1987~1991년 사이에 진행된 6차 경제개발 시기에 도시철도에 투하되었던 정부의 예산은 불과 768억원에 불과했다<ref>한국교통개발연구원(KOTI), 《한국의 교통정책》, 2003: 96쪽</ref>. 이는 이미 2조원이 넘는 막대한 부채 위에서 운영되고 있었던 [[1기 지하철]]로 인한 재정압박이 재현될 것을 두려워한 정부가 신규 지하철 노선에 대한 자본투자를 꺼리고 있었다는 점을 정확히 드러내 준다.
 
하지만 막대한 양의 인구가 새로운 거대 택지에 배치되고 교통 상황은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상황 앞에서 시 정부가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을 수는 없었다. 1988년 1월 3,4호선 이후 최초의 지하철 계획이 서울시에 의해 발표된다. 이는 근본적으로 지선과 연장선을 놓겠다는 계획으로 이뤄져 있었다. 5호선, 6호선, 7호선의 신설 및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을 각각 [[성남시]]와 [[군포시]] 소재의 [[금정역]]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그 골자였다. 사업을 1, 2단계로 나누어 진행하겠다는 논의는 여기서부터 출발한 것 같다.{{모호}} 1단계 사업에서 5호선 [[영등포]]~[[화곡동]]~[[김포공항]] 및 6호선 [[왕십리역|왕십리]]~[[군자동]]~[[천호동]]을 [[1990년]]부터 건설해 [[1994년]]에 완공하고, 7호선은 [[잠실]]~[[둔촌동]]~[[고덕동]]을 잇는 노선으로 하여 앞선 두 개의 연장선과 함께 [[1999년]]에 완공한다는 계획이었다. 이 해 8월에는 새롭게 지방세로 전환되는 담배소비세를 이용하여 지하철 건설에 투하할 자본을 마련, [[1989년]]부터 공사를 시작할 것으로 시는 발표를 수정했다.
 
== 노선망의 확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