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사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psp (토론 | 기여)
주관적 서술과 주장을 제거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편집 필요}}
'''시민 사회'''(市民社會)는 불평등한 신분·[[봉건제]]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혁한 [[시민혁명]]으로 성립된 근대[[민주주의]]사회로 부르주아(시민)사회라고 했고 오늘날엔 [[대중사회]],또는 신분없는 [[평등사회]]로 불린다. 인민 주권에 의한 시민 국가를 구성하고 봉건적인 토지 소유제의 철폐,모든 [[시민]]에 대한 기본적 [[인권]]으로서의 인간존엄성 보장,정치적 [[자유]],권리에 있어 평등과 법 앞에의 [[평등]]의 보장이 그 목표이다. 개인주의와 사회적 번영의 조화 발전을 꾀했으나 빈부격차의 심화로 [[자본가]]계급과 [[노동자]]계급과의 투쟁이 격화되어 사회적 갈등을 겪고 있다. 이 현상을 시민사회의 위기라고 부른다.
 
서구적 맥락에서 또다른 '''시민사회'''가 있는데, [[국가]]·정부와 대립,대응하는 시민사회다.흔히 [[시민운동]]단체로 불리는 [[참여연대]],[[환경운동연합]],[[인권운동사랑방]] 등의 [[시민단체]]가 시민사회의 전형이다.한국에선 전통적으로 공과공公과 사의 개념은 있어도 민주주의적 경험이 축적되지 않은 관계로 '''국가·자본''' '''개인''' 사이의 제'''3의 공(共)적 영역'''인 시민사회의 위상을 알지 못했고 자리잡을 기회를 갖지 못했다.원래 시민사회는 '모든'시민과 민중이 정치에 참여해서 견제하고 비판하는 것이지만,이것이 일시에 가능한 것은 아니니까 시민사회(단체)를 통해 시민의 의사를 대변하는 것이다.물론 정당이 있고 언론이 있지만 이들이 시민의 의사를 반영해 주지도 않을뿐더러 의사를 왜곡하고 공익을 해치기도 하기에 시민이 직접 조직적으로 나서는 것이 시민사회다.
 
시민사회의 힘이 세지면강화되면 국가와 자본,언론을 견제하고 통제할 수 있다.주권재민을 실현하는 진정한 [[시민권력]]도 행사할수립할 수 있는 것이다.
{{글로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