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실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psp (토론 | 기여)
잔글 →‎요약: 공유되어지는 → 공유되는
Npsp (토론 | 기여)
잔글 →‎요약: 기대되어진다 → 기대된다
13번째 줄:
예를 들어, 사고실험이 어떤 주체가 다른 사람의 이익을 위해 무고한 사람을 의도적으로 죽인 상황을 표상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 실험은 이 행동이 도덕적인지 아닌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지만 더 넓게는 도덕성이 단지 행위의 결과에 의해서만 정의되는 도덕 이론이 올바른가에 대한 질문이다. [[존 시얼]](John Searle)은 중국어로 쓰여진 문장을 문이 잠긴 방 안에서 받아보고는 고도로 복잡한 안내서의 지시에 따라 다시 중국어로 씌인 문장을 돌려주는 사람을 가정해 보았다. 이 실험은 실험 대상이 중국어를 이해하느냐 못하느냐이기도 하지만 또 더 넓게는 [[기능주의 (철학적 사고)|기능주의적 사고]]에 대한 이론이 맞는지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사고실험의 결과를 도출해 내는 직관에 대해서는 보편적인 동의가 일반적으로 기대되어진다기대된다(따라서, 그 또는 그녀의 사고실험을 평가할 때 철학자는 “우리가 말해야만 하는 것”을 표현할 것이다). "대부분"의 성공적인 사고실험은 일반적으로 공유되는 직관을 사용한다. 하지만 철학자들은 시나리오에 작동하는 그들의 직관을 일반적인 것과는 다르게 만들 때도 있다.
 
사고실험 안에서 표상되는 시나리오는 어떤 특정 시각 안에서 가능한 것이어야만 한다. 많은 사고실험 내의 시나리오는 자연의 법칙에 따라 가능하거나 [[법칙론적 가능성|법칙론적으로 가능한 일]]이어야 한다. 존 시얼의 [[중국어 방]] 실험은 법칙론적으로 가능하다. 어떤 사고실험은 법칙론적으로 불가능한 시나리오를 표상하기도 한다. 그의 [[쌍둥이 지구 사고 실험]]에서, [[힐러리 퍼트남]](Hilary Putnam)은 우리에게 모든 관찰가능한 특성(맛, 색, 비등점 등)이 물과 동일하지만 화학적으로는 물과 다른 물질이 존재한다는 시나리오를 가정해 볼 것을 주문한다. 이것은 다른 시각([[형이상학적 가능성]]과 같은 시각 말이다)에서는 가능할 이 사고실험이 법칙론적으로 불가능함을 논증해준다. 사고 실험의 물리적 불가능성이 이것의 뒷받침된 직관적 결과를 반박하거나 그렇지 않다는 것은 논쟁될 만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