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도니아 국호 분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Choboty (토론 | 기여)
잔글 로봇: 분류:지명에 관한 분쟁 수정; 예쁘게 바꿈
1번째 줄:
'''그리스-마케도니아 국호 분쟁'''은 [[1991년]] 구 [[유고슬라비아]]에서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독립하면서 그리스 북부에 있는 지명과 같은 국명을 사용하자, [[그리스]]가 이의를 제기하고 나라 이름을 변경하라고 요구하여 발생한 분쟁이다. 이 분쟁은 1990년대 이후 유럽의 다른 분쟁들과 달리 전쟁까지 가지 않았고, 해결 과정 또한 평화롭게 끝났다. 이 분쟁은 [[1995년]] [[9월 14일]]에 양국간에 국경선 승인 합의문서에 조인하면서 끝났다.
 
== 그리스의 주장 ==
12번째 줄:
== 그리스의 보복 조치 ==
 
이렇게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자신들의 요구를 거부하고, 보란 듯이 국제연합에도 가입하자 그리스는 [[1994년]] 1월에 국기 문양 및 헌법조항을 삭제할 것을 요구했고, 이 요구에 불응하면, 국경을 봉쇄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그 요구에 응하지 않자, 그리스는 경고를 실행에 옮겨 2월에 [[테살로니키]] 항구를 폐쇄하였다. 이로 인해 마케도니아 경제는 극심한 타격을 입게 되었다. 내륙국인 마케도니아는 그 동안 주로 그리스의 테살로니키를 통해 원유와 식량 등을 수입하고 농산물, 철강 등을 수출해 왔기 때문이다. 수출과 수입이 모두 막히자 마케도니아의 경제는 파탄으로 치닫기 시작했다. 심지어 창고와 냉동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주요 수출품인 양고기와 포도주를 대량으로 폐기 처분하는 사태도 벌어졌다.
 
== EU의 개입 ==
 
양국의 분쟁이 본격적으로 심화되자 유럽 연합은 그리스의 무역 봉쇄 조치가 불법이라며 1994년 5월에 [[유럽재판소]]에 제소하였다. 유럽 연합은 그리스의 무역봉쇄조치가 불법적이며 지역 안정을 해치는 중요한 사안으로 인식했고, 안정을 위해 그리스의 조치를 유럽재판소에 제소한 것이다. 이 시기는 [[보스니아 내전]]이 격화되고 있었고, [[코소보]]도 불안한 상황에서 EU로서는 더 이상의 분쟁이 생기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다행히 그리스는 유럽 연합 가맹국으로서 조정이 상대적으로 쉬웠다.
 
== 갈등 종결 ==
28번째 줄:
이 사건의 의의는 [[발칸 반도]]에서 벌어졌던 여러 분쟁 중에서 무력 충돌없이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였다는 점이다. 코소보,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의 분쟁 과정에서 인종 말살과 같은 극단적인 무력 충돌이 계속되었던 것에 비하면 대화로 해결되었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사건이었다.
 
== 주요 일지 ==
* 1991년 [[9월 11일]] - 마케도니아, 유고연방으로부터 독립. 그리스, 마케도니아 국명 사용 및 독립 반대
* [[1992년]] 6월 - 그리스, 유럽연합 정상회담시 국명변경 조건으로 마케도니아 승인 주장
* 1992년 8월 - 마케도니아, 국명 변경불가 재천명
* 1992년 11월 - 그리스, 인접 나라 및 유럽 연합에 기존 국경선 보장 요구
* [[1993년]] [[4월 11일]] -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 구 유고슬라비아 공화국으로 국제 연합에 가입
* [[1994년]] 1월 - 그리스, 마케도니아에 대해 국기문양 및 헌법조항 삭제하라고 요구. 요구 불응 시에 국경선 폐쇄를 경고
* 1994년 2월 - 그리스 마케도니아에 대해 살로니카 항구 봉쇄를 감행.
* 1994년 [[5월 3일]] -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그리스의 마케도니아 경제 봉쇄에 유럽재판소에서 반대 결정
* [[1995년]] [[6월 1일]] - 그리스 의회, 영해 확대 허용 국제 해양 협약 비준
* 1995년 [[9월 13일]] - 미국, 마케도니아와 전면적 외교 수립(미국은 이미 마케도니아 정부를 승인하였으나 그리스 입장을 고려해 대사 임명 지연)
* 1995년 9월 14일 - 그리스, 마케도니아 외교관계 정상화와 경제제재 해제 합의서에 서명
49번째 줄:
[[분류:그리스의 역사]]
[[분류:마케도니아의 역사]]
[[분류:지명에 관한대한 분쟁]]
 
{{Link FA|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