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XiKi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tr:Kalıtım
새롭게 편집
1번째 줄:
{{다른 뜻}}
[[파일:Baby Mother Grandmother and Great Grandmother.jpg|thumb|250px|4세대가 함께한 사진<br /><small>[[홍채]], [[피부]], [[머리카락]]의 [[색]]은 유전된다.</small>]]
[[파일:Begat.jpg|thumb|250px|유전의 진행]]
 
'''유전'''(遺傳, Heredity)은 부모의 형질이 자손으로 전달되며 그 과정이 일정한 법칙이 있다는 것이다.
'''유전'''(遺傳)은 부모의 특징이 자손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개요==
새롭게 태어나는 자식 [[세대]]는 부모로부터 [[유전형질]]을 물려받는다. 유전형질에는 [[홍채]]나 [[피부]], [[머리카락]]의 [[색]] 같은 것들부터<ref>Lorin J. Elias, 김명선 역, 임상 및 실험 신경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7, ISBN 89-58-32392-2,417-419쪽 </ref> [[혈액형]]과 같은 특성,<ref name="최현석">최현석, 아름다운 우리 몸 사전, 지성사, 2006, ISBN 89-78-89135-7, 283-285쪽 </ref> [[혈우병]]과 같은 [[유전병]] 등이 있다.<ref>데릭 홀, 김윤택 역, 인간의 몸, 에코리브르, 2007, ISBN 89-90-04893-1, 261쪽</ref>
 
[[생물]]의 유전 정보가 담겨있는 것은 [[DNA]]이다. [[원핵생물]]은 별도의 [[세포핵]]이 없어 [[세포질]]에 DNA가 부유하나, [[진핵생물]]은 세포핵 내의 [[염색체]]에 DNA가 있다.<ref>Pulves 외, 이광웅 외 역, 생명 생물의 과학, 2006, 교보문고, ISBN 89-7085-516-5, 199쪽</ref>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RNA]]가 DNA의 역할을 대신하기도 한다.<ref>《생명의 파노라마》(말론 호아글랜드, 버트 도드슨, 황현숙 역, 사이언스북스, 2001 ISBN 89-8371-050-0)</ref>
 
생물은 [[세포]]의 [[세포분열|분열]] 과정에서 DNA를 [[DNA 복제|복제]]하여 자신의 유전 정보를 자손에게 넘겨주게 된다. 생물이 다음 세대를 재생산하는 [[생식]]에는 [[성별]]의 구분이 없는 [[무성생식]]과 [[암컷|암]]·[[수컷|수]]가 구분되는 [[유성생식]]이 있다. 무성생식은 [[체세포]]의 분열을 통해 유전형질이 전달되며, 유성생식은 암·수 각자의 [[감수분열]]에 의해 만들어지는 [[정자]]와 [[난자]]가 [[수정 (생물학)|수정]]되어 새로운 개체로 [[발생]]한다. 결국 유전이란 [[생식]]을 통해 유전형질이 전달되는 것이다.<ref>Pulves 외, 이광웅 외 역, 생명 생물의 과학, 2006, 교보문고, ISBN 89-7085-516-5, 742-745쪽</ref>
 
[[DNA 복제]] 과정에서 드물게 자식들이 부모의 유전자와 다른 유전자를 갖게 되는 [[돌연변이]]가 발생한다. 돌연변이는 [[대립형질]]의 발생과 [[진화]]의 원인이 된다.<ref>존 시몬스, 여을환 역, 사이언티스트 100, 세종서적, 1997, ISBN 89-85-50969-1,305쪽</ref>
 
==유전 기제==
[[파일:Zell-substanz-book-illustrations.jpg|thumb|세포의 분열]]
===유전자 복제===
모든 유전 현상은 [[DNA 복제]]를 통한 유전형질의 전달을 기반으로 한다. 체세포 분열로 유전형질을 전달하는 생식인 무성생식에서는 자신의 DNA를 그대로 복제하여 자손에게 물려준다. 그러나, 유성생식에서는 [[유전자 재조합]]을 거쳐 [[대립형질]]을 섞은 후 [[감수분열]]을 통해 생식세포를 만들기 때문에 보다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유성생식이 이렇게 복잡한 과정을 거쳐 유전형질을 자식 세대로 물려주게끔 [[진화]]한 것의 이점을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멀러의 깔쭉톱니 가설]]이 있다. 즉, 무성생식을 계속할 경우 해로운 돌연변이가 누적되어 결국 종의 생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ref>Muller H (1964). "The relation of recombination to mutational advance". Mutat. Res. 106: 2–9. PMID 14195748</ref>
 
===형질의 발현===
[[유전자]]에 의해 전달되는 [[유전형질]]이 생물 발생의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생물이 실제 발생하고 생장하면서 나타나는 특징인 [[발현형질]]은 유전형질 자체의 특징과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우성과 열성====
유전형질 자체의 특징으로 인한 것으로는 [[멘델의 유전법칙]]에서 정립된 [[우성]]과 [[열성]]이 대표적이다. 우성 유전인자와 열성 유전인자가 짝을 이룰 경우 우성 인자만이 발현특징으로 나타나고 열성 인자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발현되지 않은 열성 인자 역시 다음 세대로 유전된다.<ref>멘델의 논문(영문): Gregor Mendel (1865). "[http://www.mendelweb.org/Mendel.html Experiments in Plant Hybridization]"</ref> 우성과 열성에는 멘델의 유전법칙과 같이 하나의 [[유전자 자리]]에 한 가지 유전인자만이 배치되어 독립의 법칙을 따르는 경우도 있으나, 한 유전자 자리에 다수의 유전인자가 선택적으로 들어서는 [[양적 형질 위치]]를 가질 수도 있다.
 
{| class="wikitable" style="float:left; clear:left; text-align:center; margin:2em;"
|+ ABO 혈액형의 유전형과 표현형
|colspan="2" rowspan="2" | 구분
|colspan="3"|부
|-
| A || B || O
|-
|rowspan="6"| 모
|rowspan="2"| A || AA || AB || AO
|-
| A형 || AB형 || A형
|-
|rowspan="2"|B || AB || BB || BO
|-
| AB형 || B형 || B형
|-
|rowspan="2"| O || AO || BO || OO
|-
| A형 || B형 || O형
|}
대표적인 양적 형질 위치에 따른 우성과 열성의 발현은 [[인간]]의 [[혈액형]]을 들 수 있다. ABO 혈액형에서는 A형 인자와 B형 인자가 같은 유전자 자리에 선택적으로 들어서는 우성이고 O형 인자는 열성이다. 그 결과 왼쪽의 표와 같이 양쪽 부모로 부터 O형 인자를 물려받는 경우에만 O형 혈액형이 발현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AA와 AO는 모두 A형으로 BB와 BO는 모두 B형으로 AB는 AB형으로 발현한다.<ref name="최현석"/>
 
왼쪽의 표는 혈액형 발현의 우열만을 가리킬 뿐 실제 인구 분포에서의 혈액형을 뜻하지는 않는다. 실제 인구 분포에서의 혈액형은 지역 사회별로 특정 혈액형에 편향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혼혈이 아닌 [[페루]]의 원주민은 모두 O형 혈액형을 가지고 있다.<ref>[http://bloodbook.com/world-abo.html Racial and Ethnic Distribution of ABO Blood Types - BloodBook.com, Blood Information for Life<]</ref>
 
====환경의 영향====
발현형질은 유전자의 특성 뿐만 아니라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대부분의 [[파충류]]는 별도의 [[성 염색체]]가 없어 알이 놓여진 온도에 따라 암수로 [[발생]]한다. [[거북]]은 대개 따듯한 곳에 낳은 알이 암컷이 되고 응달의 알은 수컷이 된다. 미국산 [[악어]]는 반대로 따듯한 곳의 알이 수컷이 된다.<ref>이인식, 성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8, ISBN 89-37-42410-X, 114쪽</ref>
 
[[포유류]]의 경우 [[X 염색체]], [[Y 염색체]]와 같은 성 염색체에 의해 수정 단계에서 성별이 결정된다. 그러나 포유류 역시 [[샴 (고양이)|샴 고양이]]의 온도 민감성 돌연변이와 같이 환경에 의해 발현형질이 달라질 수 있다.<ref>Imes, DL; Geary; Grahn; Lyons (2006). "Albinism in the domestic cat (Felis catus) is associated with a tyrosinase (TYR) mutation.". Animal genetics 37 (2): 175–8. doi:10.1111/j.1365-2052.2005.01409.x. PMID 16573534</ref>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호흡]]에 필수적인 [[세포 소기관]]이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가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ATP]]를 공급하며 세포안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가운데 13 종은 미토콘드리아에 의해서 조절된다. 미토콘드리아에는 세포핵의 DNA와는 다른 별도의 DNA가 존재한다. 그런데 미토콘드리아는 [[난자]]에만 존재하고 [[정자]]에는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미토콘드리아가 갖는 DNA는 모계를 통해서만 유전된다.<ref>서활, 조직공학, 연세대학교출판부, 1999, ISBN 89-71-41450-2, 25쪽</ref>
 
미토콘드리아의 모계 유전은 진화의 과정을 보다 단순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진화인류학]]과 같은 학문에서는 인간의 진화를 역추적하기 위한 단서로서 사용된다.<ref>리처드 리키, 최정필 역, 오리진, 세종서적, 1995, ISBN 89-85-50923-3, 269-271쪽</ref>
 
==바깥고리==
* [http://navercast.naver.com/science/biology/212 네이버 캐스트 - 제노믹 임프린팅]
 
==주석==
{{토막글|생물학}}
{{주석}}
 
[[분류:유전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