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승 상호작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시들해봇 (토론 | 기여)
10번째 줄:
이 라그랑지안은 [[전반적 대칭]] '''Z'''<sub>2</sub> 대칭을 지닌다. 즉, φ를 −φ로 바꾸어도 라그랑지안은 바뀌지 않는다.
 
복소 스칼라 마당의스칼라장의 경우, 라그랑지안은 다음과 같다.
 
:<math>\mathcal{L}=\partial^\mu \phi^* \partial_\mu \phi -m^2 \phi^* \phi -\frac{\lambda}{4}(\phi^* \phi)^2</math>
18번째 줄:
:<math>\mathcal{L}=\frac{1}{2}\partial^\mu \phi_a \partial_\mu \phi_a - \frac{m^2}{2}\phi_a \phi_a -\frac{\lambda}{8}(\phi_a \phi_a)^2.</math>
 
이 이론은 [[특수직교군|SO(n)]] 대칭을 지닌다. 하나의 복소 스칼라 마당은스칼라장은 두개의 실수 스칼라 마당과스칼라장과 동등하다.
 
이론의 [[안정성]](stability)을 보장하가 위해, [[결합 상수]] λ은λ는 양수이어야 한다.
 
4차원에서는 이 이론은 [[효과적 마당유효 이론]]으로만 존재한다. 외냐면왜냐면 이 이론은 [[란다우 극]](Landau pole)을 가지기 때문이다.
 
==정규양자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