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가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psp (토론 | 기여)
잔글 →‎생애: 없었음으로 → 없었으므로
Npsp (토론 | 기여)
6번째 줄:
부인은 덕수인(德水人) [[장운상]](長雲翔)의 딸로 현부인 덕수장씨(縣夫人 德水長氏)이다.
 
연성수의 장남으로 기해(己亥) [[1599년]](선조 32)에 탄생하였다. 초수(初授) 영가부수(永嘉副守)에 제수되었다. [[1617년]](광해 9) [[11월 25일]] 서궁 [[인목왕후|폐비]] 문제에 대한 상소를 논의논의할 할때 여러 종실과 함께 의논드리길, "공론은 흔쾌히 따름으로써 종묘 사직을 안정시키소서." 하였다. [[1618년]](광해 10) [[2월 6일]] 서궁 폐비 문제로 연일 논의가 있었는데 정청(庭請)에 참여하지 않은 종실(宗室)로 처음부터 끝까지 정청의 대열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하여 [[이이첨]] 무리가 양사(사헌부와 사간원)을 시켜 "임금을 잊고 역적을 비호한 그들의 죄를 다스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면서 멀리 유배보내도록 명하소서." 상소하여 유배되었다. [[1623년]](인조 1) [[조선 인조|인조]]가 즉위하고 귀양에서 풀려났다.
 
병자(丙子)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몽진하였으나 청나라 군대에게 포위되어 있다는 소식을 듣고, 이복동생 [[광성군]](廣城君) [[이제길]](李悌吉)과 논의하고, 이에 전 찰방 [[원성모]](元成模), 전 첨절제사 [[장운상]](張雲翔), 사인 [[원이길]], 무인 [[원영길]], 주부 [[홍요경]](洪堯儆), 장사 [[기득윤]](奇得胤) 등이 서로 약속하여 맹세하고 의병을 모으니 모두가 공과 이복동생 [[광성군]](廣城君) [[이제길]](李悌吉)을 추대하여 선봉장으로 삼아 남한산성에 다다라서 왕을 배알할 계책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