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먼-와인버그 모형: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suchiya Hikaru님 정비틀을 달기보단 집적 달아주는 건 어떨까요?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정리 필요}}
[[양자장론]]에서, '''콜먼 와인버그 모형''' (Coleman–Weinberg model)은 직접적으로 자발대칭파괴를 일으키는 항이 없어도 [[양자요동]]으로 인하여 [[자발대칭파괴]]가 일어나는 스칼라 [[양자전기역학]] 모형이다. 원래 [[표준 모형]]의 [[계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표준 모형에서는 [[전약력]] 자발대칭파괴 눈금이 플랑크 눈금에 비하여 매우 작다. 그러나 표준 모형은 자발대칭파괴 눈금의 크기를 낮출 수 있는 아무런 대칭이 없다. [[시드니 콜먼]] (Sidney Richard Coleman)과 [[에릭 와인버그]] (Erick J. Weinberg)는 아예 대칭 자발대칭파괴 눈금이 정확히 0이고, 실제 자발대칭파괴는 양자요동에 인한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이를 보이기 위하여, 콜먼과 와인버그는 스칼라 [[양자전기역학]]의 경우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였다. 이를 콜먼 와인버그 모형이라고 한다.
{{분류 필요}}
{{출처 필요}}
[[양자장론]]에서, '''콜먼 와인버그 모형''' (Coleman–Weinberg model)은 [[복사보정]]으로 인하여 [[자발대칭파괴]]가 일어나는 스칼라 [[양자전기역학]] 모형이다. [[시드니 콜먼]] (Sidney Richard Coleman)과 [[에릭 와인버그]] (Erick J. Weinberg)가 도입하였다.
 
==역사==
[[양자장론]]에서, '''콜먼 와인버그 모형''' (Coleman–Weinberg model)은 직접적으로 자발대칭파괴를 일으키는 항이 없어도 [[양자요동]]으로 인하여 [[자발대칭파괴]]가 일어나는 스칼라 [[양자전기역학]] 모형이다. 원래 [[표준 모형]]의 [[계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입되었다. 표준 모형에서는 [[전약력]] 자발대칭파괴 눈금이 플랑크 눈금에 비하여 매우 작다. 그러나 표준 모형은 자발대칭파괴 눈금의 크기를 낮출 수 있는 아무런 대칭이 없다. [[시드니 콜먼]]콜먼과 (Sidney Richard Coleman)과 [[에릭 와인버그]] (Erick J. Weinberg)는와인버그는 아예 대칭 자발대칭파괴 눈금이 정확히 0이고, 실제 자발대칭파괴는 양자요동에[[양자요동]]에 인한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이를 보이기 위하여, 콜먼과 와인버그는 스칼라 [[양자전기역학]]의 경우 이와 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였다. 이를 콜먼 와인버그 모형이라고 한다.
 
표준 모형에 이 메커니즘을 적용하면 [[힉스 보존]] 및 Z보존의 대략적인 질량을 예측할 수 있다.
:<math>m_H\lesssim 10\text{ GeV}</math>
:<math>m_t\lesssim m_Z</math>
그러나 이 예측은 실험적으로 반증되었다. 따라서, 전약력 대칭은 콜먼 와인버그 메커니즘으로 깨지지 않는다.
 
==구성==
콜먼 와인버그 모형은 우선 스칼라 양자전기역학의 라그랑지안으로부터 시작한다.
<math>L = -\frac{1}{4} (F_{\mu \nu})^2 + (D_{\mu} \phi)^2 - m^2 \phi^2 - \frac{\lambda}{6} \phi^4</math>
줄 44 ⟶ 52:
| id=ISBN 0-486-43503-2
}}
 
 
[[분류:양자장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