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주아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Npsp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Npsp (토론 | 기여)
2번째 줄:
 
==단어의 유래와 역사==
[[프랑스어]]로 ‘성’(城)을 의미하는 bourg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부를 축적한 계급은 성안에성 안에 살고 그렇지 못한 계급은 성밖에서성 밖에서 살았기 때문에 생긴 명칭이다. 이러한 유래에 따라 부르주아는 [[자본가]] 계급을 뜻하게 되었으며, 반대말은 무산자를 의미하는 [[프롤레타리아]]이다. 이들은 근대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등장했으며 [[프랑스 대혁명]] [[역사]]에서는 영세상인이나 일용직 노동자 등의 [[민중]]과 기득권층([[로마 가톨릭]] [[성직자]]<ref>
 
이들은 근대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등장했으며 [[프랑스 대혁명]] [[역사]]에서는 영세상인이나 일용직 노동자 등의 [[민중]]과 기득권층([[로마 가톨릭]] [[성직자]]<ref>여기서 말하는 로마 가톨릭 성직자는 [[추기경]] 같은 고위 성직자를 말한다. 오히려 [[로마 가톨릭]] [[신부 (기독교)|신부]] 중에는 사목을 통해 빈곤층의 어려움을 이해하는 비교적 진보적 사고를 가진 이들도 있었다.</ref>, 왕족, [[귀족]]) 사이의 제3계층을 의미하는 뜻으로 쓰였다. 민중과는 달리 재산과 학식을 갖고 있었지만 기득권층의 권력을 갖고 있지 못했기 때문이다. 유럽 [[시민혁명]]으로 기득권층이 몰락한 이후에는 자본가라는 이름으로 산업혁명 시대의 지배계급이 되었으며, [[노동자 계급]]과의 갈등으로 [[사회주의]]의 도전을 받게 된다. 동음 이의어로 다크 부르주호, 부르주호 등이 있다.
 
유럽 [[시민혁명]]으로 기득권층이 몰락한 이후에는 자본가라는 이름으로 산업혁명 시대의 지배계급이 되었으며, [[노동자 계급]]과의 갈등으로 [[사회주의]]의 도전을 받게 된다. 동음이의어로 다크 부르주호, 부르주호 등이 있다.
 
==바깥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