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푸르트 학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uckas-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hr:Frankfurtska škola
Nemonemo (토론 | 기여)
영문 위키에서부터 번역
1번째 줄:
'''프랑크푸르트 학파'''(Frankfurt 學派, {{llang|de|Frankfurter Schule}} )는 1930년대 이후 등장한 [[괴테 프랑크푸르트 대학|프랑크푸르트 대학]]의 [[사회 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신 마르크스주의]] 사회 이론가 집단을 가리키는 말이다. <ref name="britannica">"Frankfurt School". (2009). In [[Encyclopædia Britannica]]. Cited from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217277/Frankfurt-School http://www.britannica.com/EBchecked/topic/217277/Frankfurt-School] (Retrieved December 19, 2009)</ref> 이 학파는 초기에는 [[마르크스]]의 일부 추종자들이 마르크스 사상을 이해하지도 못하고 일부분만을 반복해 말한다고 비판하던 정통 [[마르크스주의]]자들로 이뤄져 있었다. 하지만 이 중 일부가 전통적 마르크스 이론으로는 20세기에 [[자본주의]]가 예상 밖으로 급격하게 발전한 것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자본주의]]와 [[소련]] 사회주의에 모두 비판적이던 이런 학자들은 또 다른 사회 발전 과정의 가능성을 지적하는 글들을 펴내기 시작했다.<ref>Held, David (1980). ''Introduction to critical theory: Horkheimer to Haberma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14</ref>
'''프랑크푸르트 학파'''(Frankfurt 學派)는 1930년대 이후에 [[프랑크푸르트]]의 사회연구소를 무대로 활약한 [[좌파]] [[철학자]] 집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후 파시즘의 등장과 서구 [[자본주의]] 세계를 분석한 학파로 [[1968년]] 이른바 [[68년 학생운동]]이라 일컫는 서방 세계와 [[일본]]의 대학가를 강타한 학생 운동의 지적 배경이 됐다. 이 학파의 중심 인물은 [[허버트 마르쿠제]], [[막스 호르크하이머]], [[테오도어 아도르노]], [[에리히 프롬]], [[레오 뢰벤탈]], [[프리드리히 폴로크]] 등이었다.
 
[[마르크스]]의 접근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학자들은 사회 변화를 일으킬 요건들이 무엇인지 고민했다.<ref>Held, David (1980), p. 15</ref> 이들은 칸트의 비판 철학과 이를 계승한 독일 [[관념론]] (특히 헤겔 철학)을 이용해 [[변증법]]적 모순이 현실의 본질적 특성이라고 말하며 [[실증주의]]과 [[유물론]], [[결정론]]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노력했다. 이런 면에서 이들의 이론에서 [[비판 이론]]적 특징이 발달하게 되었다.
 
1960년대부터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이론은 [[위르겐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합리성]]<ref>Habermas, Jürgen. (1987).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Third Edition, Vols. 1 & 2, Beacon Press.</ref><ref>Habermas, Jürgen. (1990). ''Moral Consciousness and Communicative Action'', MIT Press.</ref>과 언어적 [[상호주관성]], 하버마스가 "현대성에 대한 철학적 담론"이라 칭한 것들<ref>Habermas, Jürgen. (1987).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Modernity''. MIT Press.</ref>에 대한 연구를 지표로 삼아 발전하기 시작했다.
 
'''프랑크푸르트 학파'''(Frankfurt학파의 學派)는 1930년대 이후에 [[프랑크푸르트]]의 사회연구소를 무대로 활약한 [[좌파]] [[철학자]] 집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후 파시즘의 등장과 서구 [[자본주의]] 세계를 분석한 학파로사상은 [[1968년]] 이른바 [[68년 학생운동]]이라 일컫는 서방 세계와 [[일본]]의 대학가를 강타한 학생 운동의 지적 배경이 됐다. 이 학파의 중심 인물은 [[허버트 마르쿠제]], [[막스 호르크하이머]], [[테오도어 아도르노]], [[에리히 프롬]], [[레오 뢰벤탈]], [[프리드리히 폴로크]] 등이었다.
 
== 학파 구성원들의 특징 ==
줄 36 ⟶ 42:
 
더 이상 프롤레타리아는 역사의 소명을 실천할 역사적 계급이 아니라고 인정하고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과정이 분절화되어 노동계급이 총체적 인식에 도달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졌다. 그리하여 인간해방을 기대할 이는 프롤레타리아라기보다는 비판적 지식인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계급적 운동이라기보다는 왜곡된 이데올로기를 극복할 비판운동에 희망을 걸게 되었다는 것이다.
 
== 참고 문헌 ==
 
<references/>
 
[[분류:정치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