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궁중무용: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Endy Leo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Endy Leo (토론 | 기여)
108번째 줄:
:당악무로서, [[조선 태종]] 때 비롯한 춤이다. 죽간자 2명, 무원 2명. 회팔선(會八仙)의 주악리에 죽간자 2명이 족도(足蹈)하며 나아가 좌우로 나누어 선 다음, 전구호(前口號)를 부른다. 이어 무원 2명이 손을 들고 앞에 나가면 석노교(惜奴嬌)를 아뢰고 무작(舞作)하다가, 창사(唱詞)가 끝나면 여러 가지 주악에 따라 대무(對舞)·배무(背舞)하고, 혹은 무진(舞進)·무퇴(舞退)하며, 후구호(後口號)를 마지막으로 춤이 끝난다.
 
다음으로 조선시대에 발생되어 <악학궤범> <시용향악정재도의>에 기록된 것을 보면 다음의 것이 있다.
# ;문덕곡무(文德曲舞)
:향악무로서, [[조선 태종]] 때 생긴 춤이다. 태조 창업의 문덕(文德)을 송축하는 가사를 부르며, 다섯 사람이 나아가서 치어(致語)가 끝나면 이내 문덕곡을 부르며, 개언노장(開言路章)을 노래하고, 주악에 따라 여기(女妓) 4명이 북쪽으로 향하여 염수(斂手)·족도(足蹈)하고, 보공신장(保功臣章)·정경계장(正經界章)·정례악장(定禮樂章)을 순차로 노래한 다음, 악절(樂節)에 좇아 끝을 여민다.
# 봉래의무(鳳來儀舞)
 
등이 있고, <정재홀기>와 <무용종류기록철>에 기록된 것에
# ;봉래의무(鳳來儀舞)
# 초무(初舞)
:[[조선 세종]] 때 이룩된 춤에는 '[[용비어천가]]'의 시가를 많이 부르는 것이 특색이다. 주악으로서는 [[향악]]과 [[당악]]을 섞어서 연주하나, 치화평무(致和平舞)와 취풍형무(醉豊亨舞)로 변할 때에는 향악만 연주한다. 남악(男樂)과 여악(女樂)이 있으며, 봉죽간자(奉竹竿子) 두 명과 무기(舞妓) 여덟 명이 나와서 춤을 추는데, 무기 여덟 명은 가로 두줄로 늘어서서 주악과 [[박 (악기)|박]](拍)의 소리에 맞추고, 절차를 따라서 구호와 '용비어천가'를 부르며 족도(足蹈)·대무(對舞)·배무(背舞)·회무(回舞)를 하다가 치화평무로 바꾼다.
# 첨수무(尖袖舞)
 
# 공막무(公莫舞)
등이 있고, <정재홀기>와 <무용종류기록철>에 기록된 것에 다음의 것이 있다.
# 춘앵전
# ;초무(初舞)
# 경풍도무(慶豊圖舞)
# 첩승무;첨수무(疊勝尖袖舞)
# 최화무;공막무(崔花公莫舞)
# ;춘앵전
# 항장무(項莊舞)
# ;경풍도무(慶豊圖舞)
# 사자무(獅子舞)
;첩승무(疊勝舞)
#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최화무(崔花舞)
등이 있다.
# ;항장무(項莊舞)
# ;사자무(獅子舞)
#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그리고 비록 <무용종류기록철>에는 조선시대에 발생된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정재홀기>가 보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저히 재연(再演)할 수 없는 것으로,
줄 130 ⟶ 133:
# 연화무(蓮花舞)
# 춘대옥촉(春臺玉燭)
등이 있다.
 
=====조선의 외래 궁중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