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하지야 왕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Luckas-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ar:مملكة أبخازيا
Jjangmou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압하지야]] 왕국'''은 '''압하스 왕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캅카스]]에 [[중세]] 초기의 [[봉건주의]] 왕국으로 [[780년대]]부터 [[1008년]]에 [[조지아]] 왕국([[타오-클라르제티]] 참조)과 연합하여 왕위를 계승하게 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압하스 왕국'''은 [[780년대]]에 [[캅카스]]에 위치한 [[왕국]]으로 [[1008년]]에 멸망되었다.
{{토막글|조지아의 역사}}
 
==역사 기록학의 수수께끼==
{{토막글|역사}}
조지아, [[아르메니아]], [[비잔틴 제국|비잔틴]], [[무슬림]]의 연대기에 의해서 지배된 왕국의 근본역사를 기술하는 것은 현대 금석학과 고고학적인 기록에 의해서 지원된다.
 
압하스 왕국의 문제, 특히 왕가의 뿌리와 민족 구성에 대한 질문은, 현대의 조지아와 압하스 학자들 간의 주된 논쟁점이다. 그 논쟁은 논제에 대한 근본 자료의 결핍으로 인해 크게 확대될 수 있다. 대부분의 압하스 역사가들은 이 왕국이 고대 [[압하스인|압하스 부족들]]이 인근 지역을 넘어서 세력을 확장할수 있게 되어 부족들 간에 통합된 결과로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 그 주장에 대하여 조지아 역사가 측에서는 반대되는 입장을 보인다. 그들중에 몇명은 그 왕국은 완전히 조지아라고 주장한다.
 
대부분의 국제 학자들은 "압하지야"와 "압하스인"의 용어들이 얼마간의 기간이 지난 다음인 그 시대에 넓은 의미에서 사용되었고 조지아인([[조지아어]]의 자매어인 [[카르트벨리아어|그들의 구역 언어]]를 사용했던 [[밍그렐리아족]], [[라즈족]], [[스반족]]을 포함)들과 가능한 현대 압하스인([[아바스고이족]], [[압실라에족]], [[지기족]])<ref>Graham Smith, Edward A Allworth, Vivien A Law et al., pages 56-58; ''Abkhaz'' by [[:en:W. Barthold|W. Barthold]] [[:en:V. Minorsky|V. Minorsky]] in the [[:en:Encyclopaedia of Islam|Encyclopaedia of Islam]].</ref>들 모두로 구성된 왕국의 모든 인구에게 모든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널리 퍼졌음을 주요 요인으로 들어 다양한 인구 구분<ref>Graham Smith, Edward A Allworth, Vivien A Law et al., pages 56-58.</ref> 의 민족적 동일성을 평가함에 있어서 엄연히 다르다는데 동의한다. 조지아어로 말하는 중대한 (우세 언어가 아니라면) 비율은 문학과 문화의 언어로 조지아어를 [[그리스어]]로 대체한 결과를 가져다준 비잔틴의 정치와 문화적 지배를 떨쳐버리기 위한 압하스 왕들의 조작이 더해진 것 같다.<ref>Alexei Zverev, ''Ethnic Conflicts in the Caucasus''; Graham Smith, Edward A Allworth, Vivien A Law et al., pages 56-58; ''Abkhaz'' by W. Barthold [V. Minorsky] in the [[:en:Encyclopaedia of Islam|Encyclopaedia of Islam]]; ''The Georgian-Abkhaz State'' (summary), by George Anchabadze, in: Paul Garb, Arda Inal-Ipa, Paata Zakareishvili, editors, Aspects of the Georgian-Abkhaz Conflict: Cultural Continuity in the Context of Statebuilding, Volume 5, August 26-28, 2000.</ref>
 
==초기 역사==
{{조지아의 국가의 지위}}
고전 자료들의 압하지야, 또는 아바스기야는 [[비잔틴 제국|비잔틴]] 통치 하의 [[공국|왕자 공국]]이었다. 왕국은 오늘날 [[압하스 공화국]]의 현재 북서부 지역에서 주로 [[흑해]]연안을 따라 구성되었으며 북쪽으로 오늘날 [[러시아]]의 [[크라스노다르 크라이]] 영토로 확장했다. 수도는 [[아나코피아]]였다. 압하스는 비잔틴의 태수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세습 [[아촌]]에 의해 통치되었다. 나라는 [[기독교]] 국가이고 [[피티우스]]는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의 직접적으로 부속된 [[대주교]]좌였다. 피신중인 조지아 왕자들인 [[에그리시의 미르]]와 [[카르틀리의 아르칠]]을 뒤쫓던 [[아랍인]]들이 736년에 압하스로 밀려들어왔다. [[압하스의 레온 1세|레온 1세]] 아촌에 의해 기도된 완고한 저항에다가 [[이질]]과 [[홍수]]까지 겹쳐 침략자들을 후퇴하게 했다. 그리고 나서 레온 1세는 미르의 딸과 혼인했고, 후계자 [[압하스의 레온 2세|레온 2세]]는 770년대에 에그리시(라지카)를 획득하여 왕조의 통합에 공을 세웠다. 추측컨데 라지카 [[왕국 계승|왕국의 계승자]]와 같은, 새로운 정치 형태는 [[조지아]](예를 들어, [[레온티 므로벨리]]에 의한 조지아의 왕의 비타에)와 [[아르메니아]](예를 들어, [[오반네스 드라스카나케르치]]에 의한 아르메니아의 역사) 연대기에 있는 에그리시라고 계속하여 불리웠을 것이다.
 
아랍에 대항한 성공적인 바어와 새로운 영토의 획들은 압하스 왕자에게 비잔틴 제국으로 부터 자치권을 더 요구할 수 있는 충분한 권력이 되었다. 대략 766년으로 향해가고, 레온은 [[하자르족]]의 도움을 보태 그의 완전한 독립국을 이뤘다. 그는 압하스의 왕의 칭호로의 책임을 맡았고 그의 수도를 동조지아의 도시인 쿠타티시(오늘날 [[쿠타이시]])로 옮겼다. 조지아 연보에 따르면, 레오는 그의 왕국을 여덟 공작령 공국으로 세분했다. 공국으로는 압하스령 [[수후미|추후미]], [[베디아]], [[구리아]], [[라차]], [[타크베리]], [[스바네티]], [[알그베티]], 그리고 쿠타이시가 있었다.
 
압하지아 왕국의 전성기는 850~950년 사이이다. 10세기 초반에는, 비잔틴 자료들에 따르면, 왕국은 3백 [[고대 그리스|그리스]] 마일의 흑해 연안을 따라 [[캅카스]]를 등지고 [[칼데아]] [[테마]]의 접경에서 [[니코프시스]] 강의 입구까지 영토를 늘렸다. 왕국의 점점더 증가하는 확장주자들의 경향은 왕국의 영역을 동부로 확장하게 끔했다. [[압하스의 게오르게 1세]](872/873~878/879년)의 왕국이 시작되고, 압하지아 왕은 [[카르틀리]]([[조지아]]의 중앙과 동쪽 부분)도 통제했고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바그라투니 왕조|바그라티조]]의 공무에 지장을 줬다. 약 908년경에 [[압하스의 콘스탄티네 3세|콘스탄티네 3세]](898/899~916/917년)가 마침내 인접한 아랍-통제 [[트빌리시|트필리시]]를 그의 왕국으로 가져와, 카르틀리의 중대한 부분을 합병시켰다. 그의 아들 [[압하스의 게오르게 2세|게오르게 2세]](916/917~960년) 통치 하에서, 압하스 왕국은 세력과 명성이 최고조에 달했다. 그 당시의 단기간 동안에, 동조지아의 [[카케티]]와 조지아-[[캅카스 알바니아|알바니아]]의 [[헤레티]]의 행진은 압하스의 종주권을 인식한 것이기도 했다. [[비잔틴 제국|비잔틴]]과의 일시적인 동맹으로, 게오르게 2세는 [[아라니아]]에서 [[미콜라스 미스티코스]]의 선교 활동들을 후원했다.<ref>[[:en:Vakhushti Bagrationi|Vakhushti Bagrationi]], ''The History of Egrisi, Abkhazeti or Imereti'', part 1.</ref>
 
[[Image:Bagrat III of Georgia (Gelati mural).jpg|thumb|[[압하스의 바그라트 2세]], 그는 [[바그라티오니]] 왕가의 조지아의 바그라트 3세이기도 하다.]]
하지만, 게오르게의 후계자는 왕국을 강하고 온전하게 보존할 수 없었다. [[압하스의 레온 3세|레온 3세]](960~969년)의 통치 기간 동안에, 카케티와 헤레티는 그들 스스로 압하스의 통치에서 해방되었다. [[데메트리우스 3세]](969~976년) 통치 때에 시작된 쓰라린 [[내전]]과 봉건 반란은 [[맹인 테오도시우스 3세]](976~978년) 통치 때에 가서는 왕국이 완전히 무정부 상태에 빠지게 했다. 그 때에 [[트랜스캅카스]]의 주도권은 마침내 조지아의 [[타오-클라르제티]]의 [[바그라티오니 왕조|바그라티조]]에게 넘어갔고, 아들이 없는 테오도시우스의 조카(누이의 아들)가 그의 양부 [[타오의 다비드 3세]]의 도움으로 압하스의 왕좌에 앉았다. 1008년, 바그라트는 그의 친부 [[카르틀리의 구르겐|구르겐]]이 죽음으로 그의 왕위도 계승하여 조지아의 왕중에 왕이 되었다. 그리하여 두 왕국들이 왕위의 계승을 통해 통일되었다. 실제로 두 왕위의 계승은 통일 조지아 군주국의 토대가 되어 공식적으로 그 당시의 [[조지아 왕국]]으로 칭했다.
 
==셀주크의 침입==
11세기의 2반기에는 1040년내 말에 중앙 아시아와 이란의 대부분을 포함하여 광대한 유목민 제국의 건설을 계승한 셀주크 투르크의 파멸을 초래하는 침입이 두드러졌다. 1071년에 셀주쿠의 군대들은 [[만지케르트 전투]]에서 연합 비잔틴-아르메니아와 조지아의 병력들을 파괴했고 1081년에는 아르메니아, [[아나톨리아]], [[메소포타미아]]의 전부를 그리고 조지아의 대부분을 셀주크에 의해서 점령했고 황폐화되었다.
 
오직 압하지아와 스바네티, [[라차]], 케비-케브슈레티의 산악 지역들만이 셀주크의 종주국으로 인정하지 않았고, 무수히 많은 피난민들에게 상대적으로 안전한 피난처가 되었다. 1099년 말에 [[조지아의 다비드 4세]]는 압하스와 스바네티에는 그의 든든한 후방 기지들이 있었기에 셀주크에게 공물을 진상하는 것을 중지했고 트빌리시와 에레티를 제외한 대부분의 조지아 영토를 그의 유효한 통제권 아래로 가져다 놓았다. 1105~1124년에 다비드 왕 휘하의 조지아 군대들은 연속적으로 훌륭한 군사 작전들을 펼졌고 조지아의 나머지 지역들 뿐만 아니라 기독교인들이 거주하는 서부 [[시르반]]의 기시-카발라 지역과 [[아르메니아]]의 큰 부분까지도 해방됐다.
==통치자들==
샤블라니(아마도 [[스반족]] 혈통의)의 존과 아다르나세를 제외한 압하스의 대부분의 왕들은 현대 역사에서 첫번째 왕이 레온인 레온조, 또는 아노스 왕자의 아노스조가 왕으로서 승인을 필요로 하는 왕가의 사람들로 기술되어 이따금씩 알려졌다. [[키릴 토마노프]] 왕자는 아노스의 이름과 아츠바 또는 [[안차바제]]의 후기 압하스의 귀족 가문과 관계 짓는다.<ref>Rapp, pages 481-484.</ref> 협약에 의해, 압하지야 왕들의 치세 기간은 아바스기야의 아르촌의 존속 년수들로 이어진다. 그들의 통치 기간에 대한 연속성이 약간 부족하기도 하다. 아래의 연대기적 자료는 토마노프가 조사했던 자료이다.
 
===아노스조 왕가===
*[[압하스의 레온 2세|레온 2세]], 767/768~811/812년
*[[압하스의 테오도시우스 2세|테오도시우스 2세]], 811/812~837/838년
*[[압하스의 데메트리우스 2세|데메트리우스 2세]], 837/838~872/873년
*[[압하스의 게오르게 1세|아그츠에피의 게오르게 1세]], 872/873~878/879년
 
===샤블라니 왕가===
*[[압하스의 존|존 샤블라니]], 878/879년~880년경
*[[압하스의 아다르나세|아다르나세 샤블라니]], 880년경~887/888년
 
===아노스조 왕가(아츠바/안차바제)===
*[[압하스의 바그라트 2세|바그라트 1세]], 887/888~898/899년
*[[압하스의 콘스탄티네 3세|콘스탄티네 3세]], 898/899~916/917년
*[[압하스의 게오르게 2세|게오르게 2세]], 916/917~960년
*[[압하스의 레온 3세|레온 3세]], 960~969년
*[[압하스의 데메트리우스 3세|데메트리우스 3세]], 969~976년
*[[압하스의 테오도시우스 3세|테오도시우스 3세]], 976~978년
 
===바그라티오니 왕가===
*[[조지아의 바그라트 2세|바그라트 2세]], 978~1014년
 
==같이 보기==
*[[압하스의 왕]]
*[[압하스의 공국]]
*[[압하스 공화국]]
*[[조지아의 역사]]
 
==참조==
<references />
 
==참고 문헌 및 더 보기==
#{{언어링크|en}} [http://poli.vub.ac.be/publi/ContBorders/eng/ch0101.htm Alexei Zverev, Ethnic Conflicts in the Caucasus 1988-1994], in B. Coppieters (ed.), ''Contested Borders in the Caucasus'', Brussels: '''VUB'''Press, 1996
# Graham Smith, Edward A Allworth, Vivien A Law, Annette Bohr, Andrew Wilson, ''Nation-Building in the Post-Soviet Borderlands: The Politics of National Identi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September 10, 1998), ISBN 0-521-59968-7
#[http://www.encislam.brill.nl/data/EncIslam/S8/SIM-0148.html Encyclopaedia of Islam]
#{{언어링크|en}} [[:en:Center for Citizen Peacebuilding|Center for Citizen Peacebuilding]], [http://web.archive.org/web/20070330115824/http://www.socsci.uci.edu/~cpb/progs/pdfs/english5.htm Aspects of the Georgian-Abkhazian Conflict]
#{{언어링크|ru}} [http://www.vostlit.narod.ru/Texts/rus6/Wachushti/text9.htm Вахушти Багратиони. История царства грузинского. Жизнь Эгриси, Абхазети или Имерети. Ч.1]
#S. H. Rapp,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Bvba (September 25, 2003) ISBN 90-429-1318-5
#{{언어링크|en}} [http://web.archive.org/web/20070812141131/http://gseweb.harvard.edu/~t656_web/peace/Articles_Spring_2003/Gigineishvili_Levan_ConflictingNarrativesAbkhaziaGeorgia.htm Conflicting Narratives in Abkhazia and Georgia. Different Visions of the Same History and the Quest for Objectivity], an article by Levan Gigineishvili, 2003
#{{언어링크|en}} [http://src-home.slav.hokudai.ac.jp/sympo/Proceed97/kitagawa.html The Role of Historiography in the Abkhazo-Georgian Conflict], an article by Seiichi Kitagawa, 1996
#{{언어링크|en}} [http://www.conflicts.rem33.com/images/abkhazia/abkh_histr%202.htm History of Abkhazia. Medieval Abkhazia: 620-1221] by Andrew Andersen
#Georgiy I Mirsky, G I Mirskii, ''On Ruins of Empire: Ethnicity and Nationalism in the Former Soviet Union (Contributions in Political Science)'', Greenwood Press (January 30, 1997) ISBN 0-313-30044-5
#Ronald Grigor Suny,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2nd edition (December 1994), Indiana University Press, ISBN 0-253-20915-3, page 45
#Robert W. Thomson (translator), ''Rewriting Caucasian History: The Medieval Armenian Adaptation of the Georgian Chronicles: The Original Georgian Texts and Armenian Adaptation (Oxford Oriental Monograph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June 27, 1996), ISBN 0-19-826373-2
#Toumanoff C., ''Chronology of the Kings of Abasgia and other Problems'' // Le Museon, 69 (1956), S. 73-90.
 
[[분류:780년대 건국]]
[[분류:1008년 멸망]]
[[분류:8세기 건국]]
[[분류:압하스 공화국]]
[[분류:조지아의 역사]]
[[분류:유럽의 옛 나라]]
[[분류:아시아의 옛 나라]]
[[분류:압하스의 역사]]
[[분류:조지아의 역사]]
 
[[ar:مملكة أبخازي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