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유식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불교}} '''성유식론'''(成唯識論, 산스크리트어: Vijnaptimatratasiddhi­sastra 비즈냐프티마트라타싯디 샤스트라)은 세친(世親: c. 320-400)의 ...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유식설]](唯識說)은 중기 대승불교의 유가행자(瑜伽行者)라고 불리는 사람들 사이에서 발생하여 [[미륵]](彌勒){{.cw}}[[무착]](無着){{.cw}}[[세친]](世親)에 의하여 계승되고 체계화된 학설로서, 일체의 식(識)은 표현이며 [[유식]](唯識)만이 진실이고 외계의 대상은 실유(實有)가 아니다(唯識無境)라고 하는 것이 불교 [[무아|무아설]](無我說)의 귀결이라고 주장한다. 본론(本論)도 이런 입장에서 우선 외도(外道)의 설을 논파(論破)하고 이어서 대상을 낳는 주체(主體)인 [[아라야식]], 아법2집(我法二執)의 근원이 되는 [[마나식]], 6가지 요별작용(了別作用)을 하는 [[6식]](六識)을 분명히 하고 나아가 제법(諸法)을 성격상으로 나눈 3성(三性)과 3성이 공(空)임을 나타내는 [[삼무성]](三無性)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식수행(唯識修行)의 해위(楷位)로서 5위(五位)의 상을 설명하는 것으로 끝을 맺었다. 중국과 일본의 [[법상종]](法相宗)은 이 논에 기하여 세워진 종파이다.
 
==참고 문헌==
* {{글로벌|제목=성유식론|주소=http://donation.enc.daum.net/wikidonation/ency.do?vol=025&code=001006003000000000}}
 
{{불교 논서|state=uncollapsed}}
{{불교 둘러보기}}
[[분류:불교 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