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비대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Ryuskae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Ho949494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변동비대칭'''({{llang|en|Fluctuacting Asymmetry}})''' 은 생물이 좌우대칭에서 벗어난 정도를 말한다<ref name="vanValen1962">[1] ^ L. Van Valen.(1962). A study of fluctuating asymmetry. ''Evolution'' '''16,''' [http://dx.doi.org/125-142 ]</ref>. 변동비대칭은 신체 - 손가락 길의 좌우대칭처럼 -신체 또는 특정 조직에서도 측정할 수 있다. 이 개념은 얼굴 대칭성같은 대칭 개념과 관련있으며, 이를 측정하면 [[게놈|genome]]이 완벽하지 못한 환경에서 전달 또는 방해를 받아 정상적 표현형을 성취할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는 Waddington이[[웨딩톤]]([[:en:Waddington|Waddington]])이 Canalization의[[발생 세분화]]의 개념을 설명하면서 주장한 내용이다.<ref>[2] ^ Waddington, C.H (1957''The strategy of the Genes.'' London: George Allen &amp; Unwin.</ref>. 이 개념은 진화와 발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며, resilience나발달 developmental안전성<ref stabilitygroup="주"> 탄성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정상적 발달을 하는 능력 -</ref> 의 근거가 되고 있다.<ref name="vanValen1962"></ref>
 
개인차 연구에서, 변동비대칭은 사회적 우월성<ref>[5] ^ B. Furlow, S. W. Gangestad and T. Armijo-Prewitt.(1998).Developmental stability and human violence.''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 '''265''' ,[http://dx.doi.org/1-6 ]</ref>, 작업 기억<ref>[7] ^ R. A. Yeo, D. Hill, R. Campbell, J. Vigil and W. M. Brooks.(2000).Developmental instability and working memory ability in children: a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investigation.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17,''' [http://dx.doi.org/143-159 ]</ref>,
지능<ref>[9] ^ B. Furlow, T. Armijo-Prewitt, S. W. Gangestad and R. Thornhill. (1997).Fluctuating asymmetry and psychometric intelligence.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 Series B: Biological Sciences'' , '''265''' ,[http://dx.doi.org/823-829 ]</ref>과 관련이 있었다.
<ref>[10] ^ T.C. Bates. (2007).Fluctuating asymmetry and intelligence. ''Intelligence,'' '''35,''' [http://dx.doi.org/10.1016/J.Intell.2006.03.013 41-46]</ref>
노인의 경우, 얼굴대칭성은 인지적 노화와 관련이 있었다.<ref>[14] ^ L. Penke, T. C. Bates, A. J. Gow, A. Pattie, J. M. Starr, B. C. Jones, D. I. Perrett and I. J. Deary. (2009).Symmetric faces are a sign of successful cognitive aging.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30,''' [http://dx.doi.org/429-437 ]</ref> 또 신체가 대칭적인 개인이 춤을 출 경우 그 춤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한다는 증거가 있다. 다윈이 춤이 성적으로 선택된 구애 신호라고 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참고 문헌주석==
<references></references>
 
==주해==
<references group="주"/>
 
{{DEFAULTSORT:Fluctuating Asymm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