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lto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 분류:경상북도 출신자 수정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약력==
[[1933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났으며,출생으로 [[1956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1956년부터 1959년까지 [[공군사관학교]] 교관으로 재직하면서 [[쉬프]](Schiff)의 양자역학과 [[벡커]](Becker)의 전자기학을 공부하면서 이론물리학 연구에 전념했다.
[[1985년]] [[8월]]부터 [[1994년]] [[4월]]까지 [[포항공과대학교]] 초대 총장으로 재직하면서 연구 중심의 교육을 통해 기술 입국을 실현할 수 있다는 강한 신념과 철학을 바탕으로 포스텍 설립과 발전을 이끌었으며, 순수 국내 기술로 범국가적연구시설인 [[포항방사광가속기]]의 건설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교내 체육대회 중 불의의 사고로 포항방사광가속기의 완공을 보지 못한 채 작고하였다.<ref> [http://www.postech.ac.kr/mueunjae/kor/page/subpage.php?Pcode=Kimhogil&Ccode=02&pageNum=1&subNum=2 김호길 박사 연보] </ref>
 
1961년 [[국제원자력기구]](IAEA) 장학생으로 영국 버밍엄(Birmingham)대로 대학교로 유학을 떠난 그는 재발생 추출이론(Theory of Regenerative Extraction)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싸이클로트론(cyclotron) 분야의 연구를 병행하였다.
중국 사회과학원의 신관결 박사가 국제 퇴계학상 수상을 위해 1989년 내한하여, 김호길 박사에게 지어준 것으로 그가 호방한 성품 뿐만 아니라, 자연, 인문과학 등 광범위한 학문과 지식을 갖추었음을 표현한 것이다.<ref> [http://www.postech.ac.kr/mueunjae/kor/page/subpage.php?Pcode=Kimhogil&Ccode=01&pageNum=1&subNum=1 무은재란?] </ref>
 
그는 이후 1964년부터 1966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ley)의 [[로렌스 연구소]](Lawrence Berkeley Laboratory) 연구원으로 자리를 옮기며 물리학 연구에 전념했다. 1966년부터 1978년까지는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물리학과와 전기공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재미한국 과학기술자협회 창립에 깊이 관여하기도 했다.
[[한동대학교]] [[김영길 (공학자)|김영길]]총장의 형이기도 하다.
 
이후 다시 로렌스 연구소의 선임연구원을 맡으면서도 끝내 미국 시민권을 따지 않았던 그는 1983년 한국의 과학발전과 후진양성을 위해 영구 귀국했으며 당시 럭키금성그룹(현 [[LG그룹]]) 구자경 회장의 초청으로 [[경상남도]] [[진주]]에 위치한 연암공전 초대 학장직을 맡았다. 4년제 대학 인가를 받기 위해 노력했지만, 정부의 인가 불허로 좌절되었으며, 이후 공대 신설을 추진하던 포항제철(현 [[포스코]])과 인연을 맺으며 1985년 [[포항공과대학교]] 초대총장(당시 명칭은 제철학원 소속 학장요원)으로 선임된다.<ref name="20years">포항공과대학교 20년사 편찬위원회, <<포항공과대학교 20년사>>, 포항공과대학교, 2007, 69~76 </ref>
==학력==
* [[버밍엄대학교]], 이학박사, 1964년
*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1956년
 
4년제 대학 인가를 받기 위해 노력했지만, 정부의 인가 불허로 좌절되었으며, 이후 공대 신설을 추진하던 포항제철(현 [[포스코]])과 인연을 맺으며 1985년 [[포항공과대학교]] 초대총장(당시 명칭은 제철학원 소속 학장요원)으로 선임된다.<ref name="20years">포항공과대학교 20년사 편찬위원회, <<포항공과대학교 20년사>>, 포항공과대학교, 2007, 69~76 </ref>
==약력==
[[1933년]] [[경상북도]] [[안동]]에서 태어났으며, [[1956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았다. 1956년부터 1959년까지 [[공군사관학교]] 교관으로 재직하면서 [[쉬프]](Schiff)의 양자역학과 [[벡커]](Becker)의 전자기학을 공부하면서 이론물리학 연구에 전념했다.
 
[[1985년]] [[8월]]부터 [[1994년]] [[4월]]까지4월까지 [[포항공과대학교]] 초대 총장으로 재직하면서 연구 중심의 교육을 통해 기술 입국을 실현할 수 있다는 강한 신념과 철학을 바탕으로 포스텍 설립과 발전을 이끌었으며, 순수 국내 기술로 범국가적연구시설인 [[포항방사광가속기]]의 건설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1994년]] 교내 체육대회 중 불의의 사고로 포항방사광가속기의 완공을 보지 못한보지못한작고하였다사망했다.<ref> [http://www.postech.ac.kr/mueunjae/kor/page/subpage.php?Pcode=Kimhogil&Ccode=02&pageNum=1&subNum=2 김호길 박사 연보] </ref>
1961년 [[국제원자력기구]](IAEA) 장학생으로 영국 버밍엄(Birmingham)대로 유학을 떠난 그는 재발생 추출이론(Theory of Regenerative Extraction)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싸이클로트론(cyclotron) 분야의 연구를 병행하였다.
 
중국 사회과학원의 신관결 박사가 국제 퇴계학상 수상을 위해 1989년 내한하여, 김호길 박사에게 지어준 것으로 그가 호방한 성품 뿐만 아니라, 자연, 인문과학 등 광범위한 학문과 지식을 갖추었음을 표현한 것이다.<ref> [http://www.postech.ac.kr/mueunjae/kor/page/subpage.php?Pcode=Kimhogil&Ccode=01&pageNum=1&subNum=1 무은재란?] </ref>
그는 이후 1964년부터 1966년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C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ley)의 [[로렌스 연구소]](Lawrence Berkeley Laboratory) 연구원으로 자리를 옮기며 물리학 연구에 전념했다.
 
[[한동대학교]] [[김영길 (공학자)|김영길]]총장의 형이기도 하다.
1966년부터 1978년까지는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물리학과와 전기공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재미한국 과학기술자협회 창립에 깊이 관여하기도 했다.
 
==학력==
이후 다시 로렌스 연구소의 선임연구원을 맡으면서도 끝내 미국 시민권을 따지 않았던 그는 1983년 한국의 과학발전과 후진양성을 위해 영구 귀국했으며 당시 럭키금성그룹(현 [[LG그룹]]) 구자경 회장의 초청으로 [[경상남도]] [[진주]]에 위치한 연암공전 초대 학장직을 맡았다. 4년제 대학 인가를 받기 위해 노력했지만, 정부의 인가 불허로 좌절되었으며, 이후 공대 신설을 추진하던 포항제철(현 [[포스코]])과 인연을 맺으며 1985년 [[포항공과대학교]] 초대총장(당시 명칭은 제철학원 소속 학장요원)으로 선임된다.<ref name="20years">포항공과대학교 20년사 편찬위원회, <<포항공과대학교 20년사>>, 포항공과대학교, 2007, 69~76 </ref>
* [[버밍엄대학교]], 이학박사, 1964년
*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학사, 1956년
 
==학술활동==
줄 58 ⟶ 57:
[[분류:대한민국의 물리학자]]
[[분류:경상북도 출신]]
[[분류:사고사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