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히터 규모와의 차이
Luckas-bot (토론 | 기여) 잔글 (r2.7.1) (로봇이 더함: th:มาตราโมเมนต์แมกนิจูด) |
|||
모멘트 규모와 리히터 규모 모두 [[로그 (함수)|로그 함수]]를 사용한다. 모멘트 규모가 1씩 증가하면 방출되는 에너지는 약 31배 (≒<math>\sqrt{1000}</math>)만큼 커지게 된다.
==
1935년 [[찰스 릭터]]는 규모 3.0 ~ 7.0 사이의 중진의 방출되는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
캘리포니아 공대의 지진학자 [[톰 행크스 (지진학자)|톰 행크스]]와 [[가나모리 히로오]]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979년에 모멘트 규모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중진에 대해서는 리히터 규모와 비슷한 값을 갖는다. 다른 규모 단위와는 달리, 모멘트 규모는 지진의 규모 측정에 상한선이 없다. 하지만 모멘트 규모는 소규모 지진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ref name="MMSperHanks" /> 이러한 이유로 미국 지질조사국에서는 대부분의 수를 차지하는 규모 3.5 미만의 지진에 대해서는 모멘트 규모를 사용하지 않고, 리히터 규모와 같은 다른 단위를 사용한다.
모멘트 규모와 리히터 규모 모두 지진의 흔들림의 정도(토양, 깊이, 진원과의 거리 등에 따라 결정)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둘은 단지 지진이 방출하는 에너지의 양만을 나타낸다.
== 함께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