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훈의 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37번째 줄:
방훈에게 있어서 다행이었던 것은, 최언증과 그 부하들이 백성으로부터 가혹한 수탈을 자행하여 지극히 평판이 나빴던 것이었다. 이 때문에 당시의 정치에 불만을 품은 백성들과 호족들이 방훈의 군세에 가담하면서 민란의 성격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868년]] [[음력 9월|9월]](《[[신당서]]》에서는 [[음력 10월|10월]])에는 서주의 본거지인 [[팽성]]이 함락되었고, 최언증은 사로잡히고 그의 부하들은 장이 도려내지는 극형을 당하였으며 그들의 일족들은 몰살되었다. (단, 최언증은 방훈군이 서주를 점거한 이후에 이를 토벌하러 나온 정부군이 서주성 앞에 이르자 그들이 보는 앞에서 방훈군에 의해 살해되었다.) 이로서 서주는 교병들의 수중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어서 방훈군은 [[화이허|회수]] 어귀를 점거하여 [[장안]]의 당나라 황실을 위협하였다. [[장강]]과 회수 일대는 대혼란에 빠졌고, 이후 그 일대의 많은 백성들이 반란을 일으켜 방훈군의 진격에 호응하면서 방훈군은 기세를 크게 떨쳤다. 그 과정에서 참가한 인원도 이 무렵에는 20만 대군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어서 방훈군은 [[화이허|회수]] 어귀를 점거하여 [[장안]]의 당나라 황실을 위협하였다. [[장강]]과 회수 일대는 대혼란에 빠졌고, 이후 그 일대의 많은 백성들이 반란을 일으켜 방훈군의 진격에 호응하면서 방훈군은 기세를 크게 떨쳤다. 그 과정에서 참가한 인원도 이 무렵에는 20만 대군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 실적을 거둔 방훈은 조정을 위협하여 스스로 무녕군 절도사의 자리에 오르려고 했다. 그런데, 조정의 방침은 어디까지나 토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