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olvven (토론 | 기여)
새 문서: 방산수(方山守, 1460년 ~ ?)는 조선시대 전기의 왕족이자 시인으로 이름은 이난(李瀾)이며, 세종의 서손자이자 계양군(...
 
Solvve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방산수 이난'''(方山守 李瀾, [[1460년]] ~ ?)는 [[조선]]시대 전기의 왕족이자 시인으로 이름은 이난(瀾)이며, [[조선 세종|세종]]의 서손자이자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서자였다. 부인은 [[동래 정씨]] 직장 정계은의 딸이다.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이다.
 
== 생애 ==
5번째 줄:
 
관련자들이 어우동과의 혐의를 부인하는 가운데 그는 혐의를 부인하지 않고, 도리어 그간 [[어우동]]과 만났던 남성들의 이름을 실명으로 언급했다. [[1482년]](성종 23년) [[8월]] 석방되었으나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이감]](李堪) 등에 의해 불가하다는 탄핵이 빗발쳤고, [[1492년]] [[7월]] 복작되었으나 역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최세걸(崔世傑) 등의 반대가 빗발쳤으나 [[조선 성종|성종]]이 이를 모두 무마시켰다. 이후의 행적은 미상이다.
 
[[어우동]]과 함께 [[의금부]]에 투옥되었을 때 그는 [[어우동]]에게 "예전에 [[유감동|감동]](甘同)이 많은 간부(奸夫)로 인하여 중죄(重罪)를 받지 아니하였으니, 너도 사통(私通)한 바를 숨김없이 많이 끌어대면, 중죄를 면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ref name="실록1">성종실록 122권, 성종 11년(1480 경자년) 10월 18일(갑자) 5번째기사</ref>
 
이로 인해 어을우동이 간부(奸夫)를 많이 열거(列擧)하고, 방산수 난도 어유소(魚有沼)·노공필(盧公弼)·김세적(金世勣)·김칭(金偁)·김휘(金暉)·정숙지(鄭叔墀) 등을 끌어대었으나, 모두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석방되었다. 방산수의 증언에 의하면,
 
"[[어유소]]는 일찍이 어울우동의 이웃집에 피접(避接)하여 살았는데, 은밀히 사람을 보내어 그 집에 맞아들여 사당(祠堂)에서 간통하고, 뒤에 만날 것을 기약(期約)하여 옥가락지[玉環]를 주어 신표(信標)로 삼았습니다. 김휘는 어을우동을 사직동(社稷洞)에서 만나 길가의 인가(人家)를 빌려서 정(情)을 통하였습니다.<ref name="실록1"/>" 하며 진술 하였다.
 
=== 사후 ===
줄 23 ⟶ 29:
이런 듯 꿈속의 정을 그리겠구나 / 可寫如今夢裏情
 
== 관련 항목 ==
* [[어우동]]
* [[태강수]]
* [[수산수]]
* [[어유소]]
 
{{토막글|군주}}
줄 30 ⟶ 42:
[[분류:조선의 왕족]]
[[분류:조선의 문신]]
[[분류:조선의 작가]]
[[분류:조선의 시인]]
[[분류:전주 이씨]]
[[분류:서울특별시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