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두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Pandira (토론 | 기여)
Pandira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3번째 줄: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다. 본관은 해평(海平), [[자 (이름)|자]]는 자앙(子仰), [[호 (이름)|호]]는 오음(梧陰), [[시호]]는 문정(文靖)이다.<ref>[http://people.aks.ac.kr/view.jsp?id=PPL_6JOb_A1533_1_0008464 한국역대인물정보시스템 - 윤두수] </ref> 서인 중진 문신. 이조정랑으로 있던 명종 때 권신 이량(李梁)의 아들 이정빈을 천거하자 그는 끝까지 거절하여 무고로 파직되었다가 이량 등이 실각한 후 복직되었다.
 
[[선조]]동인들로부터[[동인]]들로부터 진도군수 이수의 뇌물을 받았다는 혐의를 받고 파직되었다가 다음해 연안부사로 나가 선정을 베풀었다. [[대사헌]] 때 당쟁 과정에서 회령에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으로[[임진왜란]]으로 복직되어 임금을 개성에 호종, 어영대장을 지낸 후 영의정까지[[의정부]][[영의정]]까지 올랐다.
 
[[윤근수]]의 형이며, [[윤보선]]·[[윤치영]]·[[윤치호]]의 선조이자<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71182.html 대통령·장관·서울대총장…대이어 '지배 엘리트'] 한겨레 2009.08.14</ref>, [[대한제국 순종|순종]]비 [[순정효황후]]의 친정인 [[윤덕영]], [[윤택영]]의 선조였다. 또한 [[조선 선조|선조]]의 부마 [[윤신지]]의 할아버지이기도 하다. 이중호(李仲虎)·이황(李滉)의 문인이다.
 
== 생애 ==
39번째 줄:
=== 관료 생활 ===
==== 관료생활 초반 ====
[[1555년]] 생원시(生員試)에 급제하고, [[1558년]] 문과 식년시에 을과 17등위로 급제하여<ref> 문과 별시에~: [http://kdaq.empas.com/koreandb/history/bang/stat_king_list.html?kn=13&ty=1558 문과방목] </ref> 승문원에서 일하게 되었고, 예문관검열, 홍문관정자, 저작 등의 직위를 지냈다.
 
1563년 이조정랑에 재임 중 [[이량]](李樑)이 그의 아들 정빈을 이조좌랑에 천거한 것을 박소립, [[기대승]] 등과 함께 반대하였다. 이에 대사헌 이감(李戡)의 탄핵을 받아 삭직되었다. 이때 [[이감]]은 그가 [[박소립]], [[이문형]], [[허엽]] 등과 파벌을 만들고 부박하게 선동한다며 탄핵했으나 [[심의겸]]이 [[이감]]이 [[이량]]의 당여라고 공격하여 [[대호군]]으로 전임되면서 사태가 수습되었다. 그해 영의정 [[윤원형]], 우의정 [[심통원]] 등의 상계(上啓)로 무죄임이 밝혀진 뒤 수찬에 다시 서용(敍用)되었다.
48번째 줄:
[[1579년]] 대사간 김계휘(金繼輝)의 주청으로 다시 기용되어 연안부사(延安府使)가 되었다. [[1581년]] 황해감사의 서장(書狀)에 의하여 재령군수 최립(崔岦) 등과 함께 구황(救荒)을 잘하였다 하여 옷 한벌을 하사받았다. 이후 한성좌윤·오위부총관·형조참판을 역임하고, [[1587년]] 전라도관찰사(通政大夫守全羅道觀察使), [[1589년]] 평안감사(平安監司)가 되고,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 2등이 되어 해원군(海原君)에 봉하여졌다. 이후 형조판서(刑曹判書), [[대사헌]], 호조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냈다.
 
[[1591년]] [[사헌부]][[대사헌]]이 되었다. [[대사헌]] 재직 중 왕세자 책봉 문제로 벌어진 [[동인 (정치)|동인]]과 [[서인]] 간의 [[당파싸움]]인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이산해]] 등과 함께 [[신성군]]을 지지하기로 했으나 [[광해군]]을 지지하는 문제로 누명을 받아쓰고 동생과 함께 삭탈관직되어 회령으로 유배를 갔다.
 
==== 임진왜란 시절 ====
{{참고|임진왜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다시 기용되어 피난가는 [[선조]]를 호송하여 어영대장(御營大將)과 우의정, 좌의정으로 연달아 승진하여 국난 극복에 주력하게 된다. 이때 그는 [[명나라]]에 원군을 요청하자는 주장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며 [[조선]]만의 힘으로도 능히 [[일본]]의 침공을 저지할 수 있다며 임진강 방어선을 돌파하고 [[서울]]과 [[개성]]을 연달아 점령한 [[고니시 유키나가]]가 지휘한 일본군의 공격으로부터 [[평양]]을 사수하려 했으나 패하고 만다.
 
줄 95 ⟶ 96:
== 기타 ==
[[서인]](西人)이었던 그는 [[임진왜란]] 당시 [[동인]]의 지지를 받는 [[이순신]](李舜臣)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는데, 이때문에 [[이순신]]이 [[임진왜란]]을 극복한 성웅(聖雄)으로 신격화되면서 그를 비난할 때 역비난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한편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지낸 [[윤보선]](尹潽善), [[서울특별시장]] [[윤치영]](尹致瑛) 등은 그가 [[이순신]]을 부정적으로 본 것이 비난의 대상이 되자, 누군가에 의한 무고라고 해명한다.
 
== 주석 ==
줄 107 ⟶ 110:
* [[봉석주]]
* [[윤훤]]
* [[홍순언]]
 
== 참고 문헌 ==
* 선조실록
* 선조수정실록
* 국조보감
* 난중일기
* 징비록
 
{{토막글|한국 사람}}
 
[[분류:1533년 태어남]]
줄 113 ⟶ 126:
[[분류:조선의 유학자]]
[[분류:조선의 정치인]]
[[분류:조선의 작가]]
[[분류:조선의 저술가]]
[[분류:성리학]]
[[분류:과거 급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