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수산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S.BULLET.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수정
1번째 줄:
{{출처 필요}}
'''대한민국 수산청'''(水産廳)은 [[수산]]에 관한 정책 및 계획의 수립, 시설과 자재의 관리, [[어선]]·[[어항]] 및 어업의 지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중앙행정기관이었다. 1948년 [[상공부]] 수산국에서 1961년 [[농림부]] 산하 수산국으로 담당하던 업무를 분리하여 1966년 수산청으로 발족되었다. 1996년 8월 [[해운항만청]]과 함께 [[대한민국 해양수산부|해양수산부]]로 통합되었다.
대한민국 수산청(水産廳)은 1948년 상공부 수산국에서 1961년 농림부 산하 수산국으로 변경되었다가 1966년 수산청이 되었다. 1996년 8월 해양수산부가 신설되면서 해운항만청과 통합되어 해양수산청이 되었다. 인천·부산·여수·제주·목포·동해·대산·울산·군산·포항·마산 등에 11개의 지방해양수산청이 있었다. 하부조직으로 총무과· 어정국· 생산국· 시설국으로 이루어졌으며, 소속기관으로는 국립수산진흥청· 국립수산물검사소· 수산공무원교육원· 어업지도생산소· 어항사무소(서 울· 동해· 남해안)를 두고 있었다. 청장(정무직) 각 1인과 총무과·선원선박과·항무과·해양환경과·수산관리과·계획조사과·항만공사과 시설과(혹은 항만개발과) 등이 있으며, 각 지역 수산청마다 출장소·기술관리소가 있는 곳도 있다. 해양수산부의 소속기관으로서 선원, 선박, 해양환경, 항만운영, 항만(어항)건설 및 유지보수, 어촌 지도업무 등 바다와 관련된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였다. 2008년 정부조직개편으로 해양수산부가 폐지되면서 수산기능이 농림수산식품부로 넘어가고 지방해양항만청으로 바뀌었다.
 
== 연혁 ==
* [[1966년]] [[2월 28일]] : 수산청 신설 (어정국, 생산국, 시설국, 기획관리관)
* [[1970년]] [[3월 13일]] : 차장 신설, 어업진흥담당관(2갑) 신설, 기획관리관을 기획관리담당관으로 개편
* [[1972년]] [[2월 16일]] : 기획관리담당관을 기획관리관으로, 어업진흥담당관을 어업진흥관으로 개편
* [[1977년]] [[3월 14일]] : 차장 밑에 국제어업심의관(2을) 신설
* [[1981년]] [[11월 2일]] : 국제어업심의관 폐지, 어정국의 유통과를 어정과로, 수출진흥담당관을 무역과로 개편, 생산국의 증식담당관을 증식과로, 내수면담당관을 내수면과로 개편
* [[1984년]] [[5월 28일]] : 청평양어장을 국립수산진흥원 소속으로 이관, 수산국의 내수면과를 자원조성과로 개편
* [[1988년]] [[11월 7일]] : 어업지도선 요원 증원
* [[1989년]] [[8월 24일]] : 어업지도선 승선요원 증원
* [[1991년]] [[6월 19일]] : 생산국에 어장보전과 신설, 어항사무소 신설(1 → 3개소), 어업지도선관리사무소 신설, 어업지도선 승선요원 증원
* [[1992년]] [[8월 9일]] : 기능직 10등급 운전원 4인 감축
* [[1994년]] [[1월 17일]] : '행정기관의 조직과 정원에 관한 통칙' 개정에 따른 복수직급제 시행
* [[1995년]] [[4월 12일]] : 국제협력관(3급)을 신설하고 그 밑에 국제협력담당관과 무역진흥담당을 소속시킴. 국, 과의 명칭변경 및 기능조정
* [[1996년]] [[8월 8일]] : 해양수산부로 통합
 
== 조직 ==
인천·부산·여수·제주·목포·동해·대산·울산·군산·포항·마산 등에 11개의 지방해양수산청이 있었다. 하부조직으로 총무과· 어정국· 생산국· 시설국으로 이루어졌으며, 소속기관으로는 국립수산진흥청· 국립수산물검사소· 수산공무원교육원· 어업지도생산소· 어항사무소(서 울· 동해· 남해안)를 두고 있었다.
 
== 역대 청장 ==
 
 
[[분류:폐지된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