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으타질라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Aydin1884 (토론 | 기여)
Aydin1884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무으타질라파'''({{llang|ar|المعتزلة‎}}) 또는 '''무타질라파'''는 [[바스라]]와 [[바그다드]]에서 번성한 [[이슬람교]]의 사변 [[이슬람 신학|신학]]파로, 8세기 [[우마이야조]]에서 시작되어 9세기 무렵 [[압바스조]] 치하에서 [[칼리프]] [[마으문]] 치하에서 절정기를 맞았다. 특히 9세기 무으타질라 학자들은 [[그리스 철학]]을 이슬람 신학과 융합하여 독자적이고 정교한 신학 체계를 완성했다는 점에서 이슬람 신학사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추후 이들은 정치적인 이유로 박해를 받게 되었고, 절충적인 [[아슈아리파]] 및 [[마투리디파]] 등이 등장하면서 점차 쇠퇴하였다.
 
무으타질라파는 그리스적 유산인 [[합리성]]과 [[이성]](아끌)을 중시하였으며, 이를 신학 교리 수립에 도입하여 논리적인 체계를 세운 것은 이들이 처음이었다. 이들은 이성의 눈으로 사물을 바라볼 때 의문이 생기며, 그러한 의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지식이 생겨난다고 보았다. 무으타질라 신학이 수립된 이후 이처럼 합리적인 논리 체계를 갖춘 사변 신학을 비로소 '[[칼람]]', 칼람을 연구하고 논거를 통해 교의의 타당함을 옹호하는 사변 신학자를 '무타칼림'('대화하는 이'라는 뜻, 복수는 '무타칼리문')이라 부르게 되었다.<ref>'무타칼림'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은 7세기의 [[무함마드 이븐 알하나피야]]였으나, 당시에는 [[무르지아파]]가 제시한 문제를 논의하는 사람이라는 좁은 의미로만 사용되었다.</ref><ref name="a">김정위, 《이슬람사상사》, 민음사, 1987, 74-75쪽.</ref>
 
정치적 관점에서는 무으타질라파는 여러 대립되는 입장을 융합하여 중도적 입장을 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이로써 극단적 대립을 완화하고 [[정치]] 체제의 안정성을 확보하려 노력하였다.<ref>같은 책, 76쪽.</ref>
 
== 기원 ==
사료에 의하면 무으타질라파는 8세기 중엽 생겨났다고 한다. 그 기원은 대죄를 범한 [[무슬림]]의 문제에서 답하는 과정에서 중도적 입장을 취하여 갈라져 나온 분파였다. 당시 이 문제에서는 여러 입장이 대립하고 있었는데, 대죄를 범한 이는 무슬림이 아니라는 [[카와리즈파]]의 입장과, 대죄를 범한 이도 무슬림이라는 [[무르지아파]]의 입장이 대표적인 극단이었으며 [[하산 알바스리]] 등의 비교적 절충적인 입장도 있었다. 어느 날 하산 알바스리의 제자들이 이 문제에 대한 하산 알바스리의 설명을 요구하였는데, 하산 알바스리는 먼저 곁에 앉은 제자 [[와실 이븐 아타]]에게 견해를 물었다. 그러자 와실 이븐 아타는 대죄를 범한 이는 '무슬림과 비무슬림의 중간적 위치에 있다'는 대답을 하며 물러났다. 이를 두고 하산 알바스리는 '그가 물러났다(이으타잘라)'고 평했는데, 여기서 '무으타질라(스스로 물러난 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ref>같은 책, 72쪽.</ref>
 
== 특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