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맘사 학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새 문서: {{힌두교}} '''미맘사 학파'''(Mimāṃsā)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의 하나로, '''카르마 미맘사 학파'''{{.cw}}'''제사 미맘사 학파''' 또...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미맘사 학파'''(Mimāṃsā)는 [[힌두교]]의 정통 [[육파철학]] 중의 하나로, '''카르마 미맘사 학파'''{{.cw}}'''제사 미맘사 학파''' 또는 '''푸르가 미맘사 학파'''라고도 한다.
 
미맘사 학파는 《[[베다 성전(聖典)]]》속에 규정되어 있는 [[제사 ]][[의례]](祭祀儀禮)의 실행 의의를 철학적으로 연구하여 통일적 해석을 주는 학파이다.<ref name="글로벌-미맘사 학파">[[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동양사상/동양의 사상/인도의 사상/정통바라문 계통의 철학체계#미맘사 학파|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정통바라문 계통의 철학체계 > 미맘사 학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이 학문을 제사(祭事) 미맘사(카르마 미맘사)라고또는 하는데카르마 미맘사라고 하는하는데 것은"미맘사"는 심찰고구(審察考究)라고 하는 의미이다뜻이다.<ref name="글로벌-미맘사 학파"/>
 
미맘사 학문은학파는 [[쟈이미니]](기원전 200~100?)에 의하여 확립되었는데,성립되었다. 이 계통의 학설을 기록한 짧은 문구가 암송에 의하여 전해져, 기원[[기원전 100년경100년]]경 하나의 조직으로 종합 편찬되어 근본 경전인 《[[미맘사 수트라]]》가 성립되었다. 이 학파는학파의 목적은 [[다르마]](法)의 고찰 연구가 그 목적이라고 하는데연구인데, 여기서 말하는 [[다르마]]는 《[[베다]]》에 규정되어 있는 제식(祭式)의 실행이며, 제식을제식(祭式)을 통해 획득된 힘을 통해 종교상의 이상을 실현하게 된다고 해석한다.
 
후대에 [[쿠마릴라]](650?∼700?)와 [[프라바카라]](650?~750?)가 나타나서 약간 상이한 학설을 주장하였다.
 
==교의==
미맘사 학파는 제식(祭式)의 실행실행은 [[카스트]] 중 상층3계급(上層三階級)에게만상층 3계급에게만 허용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미맘사의미맘사 학파의 학자에게는학자들에게는 《[[베다]]》의 절대성을 논증하는 것이 우선 제일 필요한 것이 되었다. 미맘사 학파에 따르면, 《[[베다]]》는 인간이 제작한 것이 아니고 우주의 변화생멸을 초월하여 영원토록 실재하고 있다. 그러나 《[[베다]]》는 언어로 된 것이기 때문에 베다의 상주영원성(常住永遠性)을 주장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상주성(常住性)을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리하여 미맘사 학파에서는 '''어상주론'''(語常住論)을 주장하게 되었다.
 
미맘사 학파의 '''어상주론'''에 따르면, 언어라는 것은 단지 [[음성]](音聲)만이 아니라아니며 음성을[[음성]]을 초월하여 실재하는 것이다. 음성은[[음성]]은 무상(無常)한 것이지만 언어는 음성과 의미와의 매개체(媒介體)이므로 상주(常住)이다. 그런데 정당한 관념 내지 지식은 항구적으로 실재하는 것(常住)으로서 선천적인 것이요, 인간의 경험으로부터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베다]]》 속에만 있다. 사람들은 여기에 절대적으로 복종해야 된다. 이것에 복종하는 것이 이른바 [[다르마]](法)이다.
 
특정한 제사를 실행하면 우리들 자신에 일종의 여력이 남아 그것이 나중에 과보(果報)를 가져온다. 그 여력을 신득력(新得力: 아푸르바)라 한다. 그 신득력(新得力)이 바르고 착하면 미래에 있어서 생천(生天) 등 번영(繁榮: 아브휴다야)의 과보(果報)를 얻어 복락을 향수한다.
 
특정한 제사를[[제사]]를 실행하면 우리들 자신에 일종의 여력이 남아 그것이 나중에 과보(果報)를 가져온다. 그 여력을 '''신득력'''(新得力: 아푸르바)라 한다. 그 신득력(新得力)이 바르고 착하면 미래에 있어서 생천[[천계]]에 태어나는("[[생천]]{{.cw}}生天") 등의 번영(繁榮: 아브휴다야)의 과보(果報)를 얻어 복락을 향수한다.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