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서적 인용}}
6번째 줄:
《[[반야경]](般若經)》과 [[용수]]의 《[[중론]](中論)》 등에 나오는 공 사상을 바탕으로 성립된 인도 불교의 종파가 [[중관파]]이다. [[중국의 불교|중국]]{{.cw}}[[한국의 불교|한국]]{{.cw}}[[일본의 불교|일본]] 불교의 [[삼론종]]은 《[[중론]]》{{.c}}《[[십이문론]]》{{.c}}《[[백론]]》의 [[삼론]]을 연구{{.cw}}강술하는 종파로 [[인도 불교]]의 [[중관파]]에 해당한다.<ref name="고익진-p99">고익진 (1989). 《한국 고대 불교 사상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p. 99.</ref>
 
공 사상은 [[인도의 불교|인도]] [[대승불교]]의 이대조류인 [[중관파]]와 [[유가유식파]] 모두의 근저가 되는 사상이다. [[유가유식파]]에서도 공 사상이 중시된 것은 [[유가유식파]]와 [[법상종]]의 소의 논서인 《[[성유식론]](成唯識論)》의 서두에서 논의 저술 목적 중의 하나로, 이공(二空: 두 가지 공)에 대해서 미혹된 견해나 잘못된 견해를 가진 사람들이 이공(二空)의 교의를 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하여 그들이 [[해탈]]([[열반]])과 [[보리 (불교)|보리]]([[반야]])로 나아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는 것에서 잘 알 수 있다.<ref name="성유식론(成唯識論)-제1권-조론의이유">{{서적 인용|저자=호법 등 지음, |편집자=현장 한역. 《[|장고리=http://www.cbeta.org/result/normal/T31/1585_001.htm |장=성유식론(成唯識論)]》, |기타=제1권, |제목=대정신수대장경, |꺾쇠표=예 |id=T31, No. 1585, CBETA, T31n1585_p0001a09(12) - T31n1585_p0001a12(10). |확인일자=2011년 4월 3일에3일 확인.|인용문=<blockquote>
:;원문: 今造此論為於二空有迷謬者生正解故。生解為斷二重障故。由我法執二障具生。若證二空彼障隨斷。斷障為得二勝果故。由斷續生煩惱障故證真解脫。由斷礙解所知障故得大菩提。
:;편집자 번역: 지금 이 논서를 저술하는 이유는 이공(二空: 두 가지 공)에 대해서 미혹하고 오류가 있는 사람들이 이공(二空)을 바르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공(二空)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두 가지 무거운 장애(二重障: 번뇌장과 소지장)를 끊기 위한 때문이다. 아집(我執)과 법집(法執)의 (두 가지) 집착으로 인해 이 두 가지 장애가 함께 일어난다. 이공(二空)을 증득하게 되면 그에 따라 이들 (두 가지) 장애도 끊어진다. (이들 두 가지) 장애를 끊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두 가지 뛰어난 과보(二勝果: 열반과 보리, 또는 해탈과 보리)를 얻기 위한 때문이다. (이것을 더 자세히 말하자면) 윤회하는 삶(生)을 계속되게 만드는 원인인 번뇌장(煩惱障)을 끊음으로써 참다운 해탈(眞解脫: 유식학에서 해탈은 열반과 같은 것이다)을 증득하게 되기 때문이며, 지혜(解: 앎{{.cw}}이해{{.cw}}지식)를 장애하는 소지장(所知障)을 끊음으로써 대보리(大菩提: 큰 깨달음{{.cw}}완전한 깨달음{{.cw}}출세간의 무분별지혜{{.cw}}무상정등보리{{.cw}}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blockquote>}}</ref> 또한, [[중국의 불교|중국]]{{.cw}}[[한국의 불교|한국]]{{.cw}}[[일본의 불교|일본]]{{.cw}}[[티베트 불교|티베트]] 등의 [[대승불교]]는 모두 [[인도의 불교|인도]]의 [[대승불교]]를 바탕으로 하므로, 공 사상은 [[대승불교]] 전체의 기초적인 또는 근본적인 교의라고 할 수 있다.
 
== 공 사상 ==
57번째 줄:
== 이공 ==
 
[[대승불교]]의 교의에서 공은 크게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의 '''이공'''(二空: 두 가지 공)으로 나뉜다.<ref name="운허-二空(이공)">{{서적 인용|저자=운허 & |출판사=동국역경원, [|장고리=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D%B4%EA%B3%B5&rowno=2 "|장=二空(이공)"], |꺾쇠표=예|제목=불교 사전》. |확인일자=2011년 4월 3일에 확인.3일}}</ref><ref name="성유식론-이공">{{서적 인용|저자=호법(護法) 등 지음, |편집자=현장(玄奘) 한역, 김묘주 번역. 《[|장고리=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kyoung/index_kyoung.asp?kyoungList=897 |장=성유식론(成唯識論)]》,|제목=대정신수대장경 |꺾쇠표=예|기타=제1권,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출판사=동국역경원, [|쪽=2 / 583] 쪽의 번역자 주석. |확인일자=2011년 4월 3일에 확인.3일|인용문=
: 번역자 김묘주 주석: 두 가지 공[二空]은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이다. 아공(我空)은 인무아(人無我)라고도 하며, 유정의 심신(心身)에 상일주재(常一主宰)하는 인격적 실체[我]가 존재하지 않는 이치, 또는 그것을 깨쳐서 아집(我執)이 소멸된 경지를 말한다. 법공(法空)은 법무아(法無我)라고도 하며, 외계 사물은 자기의 마음을 떠나서 독립적으로 실재하지 않는 이치, 또는 그것을 깨쳐서 법집(法執)이 소멸된 경지를 말한다.}}</ref> 아공(我空)은 인공(人空)이라고도 하는데, 이 때문에 이공(二空)을 '''인법이공'''(人法二空)이라고도 한다. 이공(二空)의 교의는 초기 [[대승불교]]의 근본적인 교의 또는 사상이 되었다.
 
=== 이치로서의 이공 ===
 
'''아공'''(我空)은 '''인공'''(人空)이라고도 하는데, 인간 자신 속에는 [[실체]]로서의 [[자아]]가 있다고 보는 '''아집'''(我執)에 대해, 인간 자신 속에는 [[실체]]로서의 [[자아]]가 없다고 보는 견해 혹은 이치<ref name="성유식론-이공"/>, 또는 이러한 [[깨우침]]을 증득한 상태 또는 경지<ref name="성유식론-이공"/>이다. 아집(我執)은 '''번뇌장'''(煩惱障)이라고도 하는데, 번뇌장은 중생의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여 [[열반]](또는 [[해탈]])을 가로막아 중생으로 하여금 [[윤회]]하게 하는 장애라는 의미이다.<ref name="성유식론(成唯識論)-제1권-조론의이유"/><ref name="운허-煩惱障(번뇌장)">{{서적 인용|저자=운허 & 동국역경원, [|장고리=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88%EB%87%8C%EC%9E%A5&rowno=1 "|장=煩惱障(번뇌장)"], 《불교 사전》.|제목=앞의 책|확인일자=2011년 4월 3일에 확인.3일}}</ref>
 
'''법공'''(法空)은, 존재하는 만물 각각에는 [[실체]]로서의 [[자아]]가 있다고 보는 '''법집'''(法執)에 대해, 존재하는 모든 것은 [[인연]]에 의해 생기는 것이므로 [[실체]]로서의 [[자아]]는 없다는 견해 혹은 이치<ref name="성유식론-이공"/>, 또는 이러한 [[깨우침]]을 증득한 상태 또는 경지<ref name="성유식론-이공"/>이다. 법집(法執)은 '''소지장'''(所知障)이라고도 하는데, 소지장은 참된 지혜, 즉 [[보리]](菩提)가 발현되는 것을 가로막는 장애라는 의미이다.<ref name="성유식론(成唯識論)-제1권-조론의이유"/><ref name="운허-所池障(소지장)">{{서적 인용|저자=운허 & 동국역경원, [|장고리=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6%8C%EC%A7%80%EC%9E%A5&rowno=1 "장=所池障(소지장)"], 《불교 사전》.|제목=앞의 책|확인일자=2011년 4월 3일에 확인.3일}}</ref>
 
아공(我空)을 '''인무아'''(人無我)라고도 하며 법공(法空)을 '''법무아'''(法無我)라고도 한다.<ref name="성유식론-이공"/> 그리고 이 둘을 통칭하여 '''이무아'''(二無我)라고 하는데, 이무아(二無我)는 이공(二空)과 같은 뜻이다.<ref name="운허-二無我(이무아)">운허{{서적 & 동국역경원, [인용|장고리=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D%B4%EB%AC%B4%EC%95%84&rowno=1 "|장=二無我(이무아)"],|제목=같은 《불교 사전》. |확인일자=2011년 4월 3일에 확인.3일}}</ref>
 
이공(二空)의 교의 또는 사상은 후대에 아공(我空){{.cw}}법공(法空){{.cw}}구공(俱空)의 [[삼공]](三空)의 교의 또는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73번째 줄:
[[불교]]에서, 수행에 의해 [[깨달음]]을 성취해 간다는 입장에서는 이공(二空)은 실제로 증득될 수 있고 또한 증득되어야 하는 특정한 경지를 뜻한다.
 
예를 들어, [[유가유식파]]의 경우, 이 종파의 소의 논서인 《[[성유식론]]》에 따르면 이공 중 [[아공]]의 경지에 다다르면 [[아집]]인 [[번뇌장]]이 소멸되어 [[열반]]([[해탈]])이 성취되고, [[법공]]의 경지에 다다르면 [[법집]]인 [[소지장]]이 소멸되어 [[보리]]([[반야]]{{.cw}}대지혜{{.cw}}완전한 깨달음)가 성취된다.<ref name="성유식론(成唯識論)-제1권-조론의이유"/><ref name="성유식론-이장-김묘주주석">{{서적 인용|저자=호법(護法) 등 지음, 현장(玄奘) 한역, 김묘주 번역.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kyoung/index_kyoung.asp?kyoungList=897 성유식론(成唯識論)]》, 제1권,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동국역경원, [2 / 583] 쪽의 번역자 주석. 2011년 4월 3일에 확인.|
장고리=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kyoung/index_kyoung.asp?kyoungList=897 |장=성유식론(成唯識論) |제목=앞의 책|쪽=2|확인일자=2011년 4월 3일|인용문=번역자 김묘주 주석: 아공의 도리를 깨쳐서 번뇌장을 끊으면 해탈, 즉 열반을 증득한다. 법공의 도리를 깨쳐서 소지장을 끊으면 곧 큰 깨달음[大菩提]을 성취해서 붓다가 된다.}}</ref>
 
《[[성유식론]]》에서는 이와 관련된 수행 단계를 더 자세히 설명하는데, 크게 [[자량위]](資糧位){{.cw}}[[가행위]](加行位){{.cw}}[[통달위]](通達位){{.cw}}[[수습위]](修習位){{.cw}}[[구경위]](究竟位)의 다섯 단계("[[오위]]{{.cw}}五位")로 나누고 있다.<ref name="성유식론(成唯識論)-오위(五位)">{{서적 인용|저자=호법(護法) 지음, 현장 한역. 《[|장고리=http://www.cbeta.org/result/normal/T31/1585_009.htm |장=성유식론(成唯識論)]》, |기타=제9권, |제목=대정신수대장경, |꺾쇠표=예 |id=T31, No. 1585, CBETA, T31n1585_p0048b11(07) - T31n1585_p0048b15(06). |확인일자=2011년 4월 3일에 확인.3일|인용문=
:何謂悟入唯識五位。一資糧位。謂修大乘順解脫分。二加行位。謂修大乘順決擇分。三通達位。謂諸菩薩所住見道。四修習位。謂諸菩薩所住修道。五究竟位。謂住無上正等菩提。}}</ref> 이 중에서 네 번째인 [[수습위]]는 다시 [[십지]](十地)의 열 단계로 나뉘는데, [[십지]]는 극희지(極喜地){{.cw}}이구지(離垢地){{.cw}}발광지(發光地){{.cw}}염혜지(焰慧地){{.cw}}극난승지(極難勝地){{.cw}}현전지(現前地){{.cw}}'''원행지'''(遠行地: 제7지){{.cw}}부동지(不動地){{.cw}}선혜지(善慧地){{.cw}}'''법운지'''(法雲地: 제10지)이다.<ref name="성유식론(成唯識論)-십지(十地)">호법{{서적 등 지음, 현장 한역. 《[인용|장고리=http://www.cbeta.org/result/normal/T31/1585_009.htm |장=성유식론(成唯識論)]》, 제9권, 대정신수대장경,|제목=같은 책|id=T31, No. 1585, CBETA, T31n1585_p0050c17(00) - T31n1585_p0051b07(01). |확인일자=2011년 4월 3일에 확인.3일|인용문=
:次修習位其相云何。頌曰。
: 29無得不思議  是出世間智
83번째 줄:
:論曰。菩薩從前見道起已。為斷餘障證得轉依。復數修習無分別智。此智遠離所取能取。故說無得及不思議。或離戲論說為無得。妙用難測名不思議。是出世間無分別智。斷世間故名出世間。二取隨眠是世間本。唯此能斷獨得出名。或出世名依二義立。謂體無漏及證真如。此智具斯二種義故獨名出世。餘智不然。即十地中無分別智。數修此故捨二麤重。二障種子立麤重名。性無堪任違細輕故令彼永滅故說為捨。此能捨彼二麤重故便能證得廣大轉依。依謂所依即依他起與染淨法為所依故。染謂虛妄遍計所執。淨謂真實圓成實性。轉謂二分轉捨轉得。由數修習無分別智斷本識中二障麤重故能轉捨依他起上遍計所執及能轉得依他起中圓成實性。由轉煩惱得大涅槃。轉所知障證無上覺。成立唯識意為有情證得如斯二轉依果。或依即是唯識真如。生死涅槃之所依故。愚夫顛倒迷此真如。故無始來受生死苦。聖者離倒悟此真如。便得涅槃畢究安樂。由數修習無分別智斷本識中二障麤重故能轉滅依如生死及能轉證依如涅槃。此即真如離雜染性。如雖性淨而相雜染。故離染時假說新淨。即此新淨說為轉依。修習位中斷障證得。雖於此位亦得菩提而非此中頌意所顯。頌意但顯轉唯識性。二乘滿位名解脫身。在大牟尼名法身故。
:
:云何證得二種轉依。謂十地中修十勝行斷十重障證十真如二種轉依由斯證得。言十地者。一極喜地。初獲聖性具證二空能益自他生大喜故。二離垢地。具淨尸羅遠離能起微細毀犯煩惱垢故。三發光地。成就勝定大法總持能發無邊妙慧光故。四焰慧地。安住最勝菩提分法燒煩惱薪慧焰增故。五極難勝地。真俗兩智行相互違合令相應極難勝故。六現前地。住緣起智引無分別最勝般若令現前故。七遠行地。至無相住功用後邊出過世間二乘道故。八不動地。無分別智任運相續相用煩惱不能動故。九善慧地。成就微妙四無閡解能遍十方善說法故。十法雲地。大法智雲含眾德水蔽一切如空麤重充滿法身故。如是十地總攝有為無為功德以為自性。與所修行為勝依持令得生長故名為地。}}</ref> 《[[성유식론]]》에 따르면 [[아집]]인 [[번뇌장]]은 [[수습위]]의 [[십지]] 중 제7지인 [[원행지]](遠行地)에서 '''완전히 제거'''되어 제8지부터는 [[아공]]의 경지에 있게 된다.<ref name="성유식론(成唯識論)-십지(十地)"/> 그리고 [[법집]]인 [[소지장]]은 [[수습위]]의 [[십지]] 중 제10지인 [[법운지]](法雲地)에서 완전히 제거 될 수 있는데, '''완전히 제거'''되면 다섯 단계("[[오위]]{{.cw}}五位")의 마지막인 [[구경위]](究竟位)에 이르게 되고 해당 [[보살]], 즉 [[대승불교]]의 수행자는 비로소 [[부처]]가 된다.<ref name="성유식론(成唯識論)-십지(十地)"/>
 
[[유가유식파]]는 [[열반]]과 [[해탈]]은 동의어로 사용하는 반면, [[열반]]과 [[보리]]는 용어를 구분해서 사용한다. [[유가유식파]]의 문맥에서 [[열반]](또는 해탈)은 [[아집]]인 [[번뇌장]]이 완전히 제거된 [[아공]]의 상태를 의미한다.<ref name="성유식론-이장-김묘주주석"/> 그리고 [[보리]]는 [[법집]]인 [[소지장]]이 완전히 제거된 [[법공]]의 상태를 의미한다.<ref name="성유식론-이장-김묘주주석"/> 《[[성유식론]]》에서는 [[열반]]을 진해탈(眞解脫: 참다운 해탈)이라고도 표현하며 [[보리]]를 대보리(大菩提: 큰 깨달음{{.cw}}완전한 깨달음)라고도 표현하고 있다.<ref name="성유식론(成唯識論)-제1권-조론의이유"/><ref name="성유식론-이장-김묘주주석"/>
 
== 삼공 ==
'''삼공'''(三空)은 아공(我空){{.cw}}법공(法空){{.cw}}구공(俱空)을 통칭하는 불교 용어이다. 삼공의 각각은 증득한 경지를 뜻하기도 하고 또는 경지를 증득하기 위한 수단을 뜻하기도 한다.<ref name="운허-삼공">{{서적 인용|저자=운허 & 동국역경원, [|장고리=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2%BC%EA%B3%B5&rowno=1 |장=三空(삼공)], 《불교|제목=앞의 사전》책}}</ref>
 
'''아공'''(我空{{.cw}}ātma-śūnyatā) 은 실아(實我)가 없다는 것으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나"라고 부르는 존재는 색{{.cw}}수{{.cw}}상{{.cw}}행{{.cw}}식의 [[5온]](五蘊)이 화합하여 이루어진 존재로, 진실로 "나"라고 집착할 것이 "없다"(공무{{.cw}}空無)는 것을 뜻한다.<ref name="운허-아공">운허{{서적 & 동국역경원, [인용|장고리=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5%84%EA%B3%B5&rowno=1 |장=我空(아공)], 《불교|제목=같은 사전》책}}</ref> 또한, 수행에 의해 나라는 관념과 나의 소유물이라는 주관적 미집(迷執)인 [[아집]](我執)을 벗어난 경지를 뜻한다.<ref name="운허-구공">운허{{서적 & 동국역경원, [인용|장고리=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5%AC%EA%B3%B5&rowno=3 |장=俱空(구공)], 《불교|제목=같은 사전》책}}</ref>
 
'''법공'''(法空)은 제법(諸法) 또는 만유(萬有), 즉 물질(색{{.c}}色)과 마음(심{{.c}}心)의 [[법 (불교)|모든 존재]]는 모두 [[원인과 결과]], 즉 [[인연법]]에 의해 생긴 임시적인 가짜 존재로서 거기에는 고정된 [[실체]]로서 집착할 것이 없다는 뜻으로, 이러한 의미에서 만유(萬有)의 체(體)가 "없다"(공무{{.cw}}空無)는 것 뜻한다.<ref name="운허-법공">운허{{서적 & 동국역경원, [인용|장고리=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2%95%EA%B3%B5&rowno=3 |장=法空(법공)], 《불교|제목=같은 사전》책}}</ref> 또한, 수행에 의해 물질과 마음의 여러 가지에 대한 객관적 미집(迷執)인 [[법집]](法執)을 벗어난 경지를 뜻한다.<ref name="운허-구공"/>
 
'''구공'''(俱空)은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의 경지에 차례로 도달한 후, 다시 그 아공(我空)과 법공(法空)까지도 버려 비로소 제법(諸法)의 [[본성]]에 계합하는 것을 뜻한다.<ref name="운허-구공"/> 또한, 수행에 의해 이러한 경지를 증득한 것을 뜻한다.
 
[[신라]]의 승려인 [[원효]]는 자신의 저서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에서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의 대의를 기술하는 문단에서, [[본성]], 즉 마음의 근원은 있음(有)과 없음(無)을 떠나 있어 홀로 청정(淨)하며 그러면서도 마음의 근원의 참된 이치 또는 성품에 해당하는 아공(我空){{.cw}}법공(法空){{.cw}}구공(俱空)의 3공(三空)의 바다는 그냥 비어 있기만 한 것이 아니라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를 원융하고 있어 담연하다(湛然: 깊다, 충만하다)고 하였다.<ref name="금강삼매경론-대의"/> 또한 원효는 마음의 근원은 깨뜨림이 없으면서도 깨뜨리지 않음이 없고 세움이 없으면서도 세우지 않음이 없으므로 무리(無理: 이치가 끊어진 자리)의 지리(至理: 모든 것을 세우는 지극한 이치)이자 불연(不然: 그러한 것이 끊어진 자리)의 대연(大然: 크게 그러한 것, 즉 만법을 세우는 큰 것)이라고 하였다.<ref name="금강삼매경론-대의">{{서적 인용|저자=원효 지음. 《[|장고리=http://www.cbeta.org/result/normal/T34/1730_001.htm |장=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기타=제1권, |제목=대정신수대장경, |꺾쇠표=예 |id=CBETA. T34n1730_p0961a07(01) - T34n1730_p0961a21(00). |확인일자=2011년 4월 4일에 확인.4일
:|인용문=第一述大意者。夫一心之源離有無而獨淨。三空之海融真俗而湛然。湛然融二而不一。獨淨離邊而非中。非中而離邊。故不有之法不即住無。不無之相不即住有。不一而融二。故非真之事未始為俗。非俗之理未始為真也。融二而不一。故真俗之性無所不立。染淨之相莫不備焉。離邊而非中。故有無之法無所不作。是非之義莫不周焉。爾乃無破而無不破。無立而無不立。可謂無理之至理。不然之大然矣。是謂斯經之大意也。良由不然之大然。故能說之語妙契環中。無理之至理。故所詮之宗超出方外。無所不破故名金剛三昧。無所不立故名攝大乘經。一切義宗無出是二。是故亦名無量義宗。且舉一目以題其首。故言金剛三昧經也。}}</ref><ref name="글로벌-금강삼매경론">[[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한국의 종교/한국의 불교/한국불교의 역사#금강삼매경론|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역사 > 금강삼매경론]],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ref>
 
== 함께 보기 ==
112번째 줄:
== 참고 문헌 ==
=== 불교 경전 및 논서 한역본 ===
* {{서적 인용|저자=용수 지음, |편집자=구마라집 한역.《[|장고리=http://www.cbeta.org/result/normal/T30/1564_001.htm |장=중론(中論)]》, |꺾쇠표=예|제목=대정신수대장경, |id=T30, No. 1564, CBETA.}}
* {{서적 인용|저자=호법 등 지음, |편집자=현장 한역. 《[|장고리=http://www.cbeta.org/result/normal/T31/1585_001.htm |장=성유식론(成唯識論)]》, |꺾쇠표=예|제목=대정신수대장경, |id=T31, No. 1585, CBETA.}}
=== 불교 경전 및 논서 한글본 ===
* 용수 지음,{{서적 인용|저자=용수|편집자=구마라집 한역, 박인성 번역. 《[|url=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kyoung/index_kyoung.asp?kyoungList=510 |꺾쇠표=예|제목=중론(中論)]》, |id=K.577(16-350), T.1564(30-1), |기타=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출판사=동국역경원.}}
* {{서적 인용|저자=호법 등 지음, |편집자=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url=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kyoung/index_kyoung.asp?kyoungList=897 |꺾쇠표=예|제목=성유식론(成唯識論)]》, |id=K.614(17-510), T.1585(31-1), |기타=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출판사=동국역경원.}}
=== 기타 참고 문헌 ===
{{글로벌|분류=불교|제목=[[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세계사상/사 상 용 어/동양사상 관계/불교 관계#공|세계사상 > 사 상 용 어 > 동양사상 관계 > 불교 관계 > 공]]}}